•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최고지도자(수령) 체제의 시행

Dalam dokumen 북한인권 조사위원회 보고서 (Halaman 111-122)

개 요

D. 최고지도자(수령) 체제의 시행

110

유교 사상의 잔재가 전반적으로 한국 문화에 얽혀있기는 하지만, 북한에서 는 김일성이 자신과 조선노동당의 권한을 확립하고 자신의 통제 아래 두기 위해 유 교적 가치들을 도구화하였다. 김일성은 통치자와 피통치자 간의 관계가 상호 구속적 이라는 전통적인 유교적 전제를 확대 적용하여 지도자에 대한 절대적 복종을 요구

하는

‘수령,’ 또는 최고지도자 체제

42를 수립하였고, 김정일과 김정은이 이를 계승하

고 있다. 유교적 개념인

“천명(天命, Mandate of Heaven)”에 따르면 나라를 통치

할 권리는 하늘이 부여한다. 이 명령은 모든 사람들의 이익을 위해 정의롭고 공평하 게 통치할 의무를 통치자에게 위임하였다.

‘수령’ 체제는 김일성(과 그의 후계자들)

을 지혜롭고 자비로운, 도전 받지 않는 통치자로 설정하였고, 그의 통치하에 인민들 은 풍요롭고 정의로운 사회에 살게 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논리의

‘수령’

체제는 북한에서 아무 제한 없이 인권 침해가 일어나는 기제가 되었다.

111

1949년에 김일성은

‘수령,’ 최고지도자로서의 지위를 확보하였다. 그는 정

권에 대한 어떠한 반대도 제거하기 위해서 정교한 지도 이념, 한 개인이 이끄는 유 일당, 중앙계획경제, 통신 수단의 독점, 그리고 폭력과 정치경찰을 동반한 안보 체 계를 갖춘 통치 체제를 구축하였다. 우선적으로 북한은 국가안보기구 설립에 주력하 였다. 소련의 안보 체계를 모델로 설립한 내무성에는 4천에서 5천여 명의 본부 직 원과 더불어 1만 2천여 명의 일반경찰, 3천여 명의 정치경찰, 그리고 총 4만 5천여

42_ 수령(최고지도자) 체제는 국가, 당, 군의 모든 권한을 유일한 지도자에게 부여한다.

명의 경비대, 국경경비대, 그리고 철도보안대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정치보위국은 당국에 대한 저항과 전복 활동을 적발하고 좌절시켜 정권에 대한 충성을 보장할 임 무를 맡고 있었다. 정치보위국은 또한 군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였던 보위사령부 산하 정치방위국에 작전상 지휘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보안 체제는 당시 인구의 약 5%로 추정되는 40만 명의 사람들을 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43

112

김일성 정권 초반부터 시작되었던 정치적, 이념적 반대자에 대한 탄압은 6

25전쟁 중에 더욱 심화되었다.44 68만 5천 명에서 몇 백만 명으로 추정되는 많은 수의 주민이 전쟁 중에 남한으로 이주하였다.45 1945년 이전, 정치적으로도 활발했고 상당수의 인구를 구성했던 개신교도들 중 많은 이들이 북한을 떠났다. 북쪽에 남은 개신교 인구는 종종 의심의 대상이 되었다. 많은 수가 체포, 구금 또는 처형 당하였다.

1951년 김일성은 내무성을 재정비하여 정치적 반대에 대한 탄압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정치보위국을 사회안전성이라는 독자적인 부서로 승격시켰다.

113

6

25전쟁 이후, 김일성은 그의 권력을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해 경쟁 파벌

43_ Ken E. Gause, “Coercion, Control, Surveillance and Punishment: An Examination of the North Korean Police State,” HRNK, 2012, pp. 88~91. (Exhibit W07). 또한 http://www.hrnk.org/uploads/pdfs/HRNK_Ken‐

Gause_Web.pdf 참조

44_ 북한에서 출판된 공식적인 김일성 전기에 따르면: “당의 조직 노선의 관철을 방해하는 종파 분자들과 지방할거 주의자들의 책동을 짓 부시고 당 사업의 근본적인 전환을 가져 오기 위하여 1945년 12월, 김일성은 북조선공 산당 조직국 3차 확대집행위원회를 주최하였다 … 회의는 김일성을 책임 비서로 임명함으로써 당의 중앙 지도 기관을 강화하는 역사적인 조치를 취하였고, 당 중앙의 지시와 당의 규율을 거역한 종파분자들에 대한 엄격한 처단을 실시하였다.” Kim Il Sung: Condensed Biography, pp. 122~123.

45_ 한국 통계청이 실시한 1955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전체 인구의 735,501명이 (6․25전쟁 이전과 전쟁 중에) 북쪽에서 남한으로 이주했다고 한다. KINU, White Paper on Human Rights in North Korea (2013), p. 509. 정전 협상 중에 북한은 전쟁 중에 50만 명이 북에서 “납치”되었으며 따라서 이들의 송환을 주장하였다. 한국전쟁납북 사건자료원, 1952년 1월 1일, 3일, 12일의 정전협정 절차 필기록, People of No Return: Korean War Abduction

에 대한 일련의 숙청을 단행하였다. 북한 지도부 내 종파 분쟁은 크게 네 분파의 파 벌 간에 벌어졌다. 500여 명 정도 되는 국내파는 일제 식민지 시절 지하 공산당 운 동을 펼친 조선인들이었다. 많은 수의 국내파들은 남쪽에서 북한으로 이주해 온 사 람들이었다. 연안파는 1920년대와 1930년대 중국으로 이주하여 상해에 기반을 두 었다가 국공내전 본부였던 연안으로 공산당원들과 함께 이주한 조선인들이었다. 소 련파는 소련에서 태어나거나 자란 한민족으로서 약 150명에서 200명 정도가 소련 파를 형성하였다. 김일성은 그와 함께 만주 일대에서 일제에 맞서 싸운 조선인들로 구성된 빨치산파를 지지하면서 다른 파벌 간의 투쟁을 조장하였다. 1952년 12월 김 일성은 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파벌을 비난하는 긴 연설을 전달하였다. 1953 년 국내파의 실패한 쿠데타에 대한 소문이 퍼졌고, 국내파 지도부들의 체포로 이어 졌다. 남한에서 게릴라 활동을 조직하는 임무를 맡았던 남조선노동당 지도부 12명 은 쿠데타 기획 및 미국의 간첩 혐의로 체포되었다. 심하게 조작되고 적극적으로 선 전되었던 재판에 따라 10명이 유죄선고를 받고 사형에 처해졌고, 두 명은 장기 징 역을 선고 받았다.46

114

김일성은 갈수록 심해져 가는 그의 독재 정치와 개인 우상화 그리고 경제 정책 노선에 대하여 지도부 내부로부터 지속적으로 압력을 받았다. 1953년 이후, 소련 자체도

“탈스탈린화” 운동을 전개하고 있었고 이는 김일성이 지배 권력을 확립

하려는 노력에 불리하게 작용하였다. 소련은 오히려 집단지도 체제, 평화적 공존을 추구하며 스탈린 시대의 과잉을 만회하려고 노력하고 있었다.

115

1956년 8월, 연안파 인사들이 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공개적으로 김 일성을 비난하였다. 소련의 자료에 따르면, 한 간부는

“국가와 당의 권력을 장악하

46_ Andrei Lankov, From Stalin to Kim Il Sung, pp. 78~109.

려는 김일성을 공격하였다.”47 김일성은

“8월 종파사건”을 조작하려던 연안파 지도

부에 한발 앞서 그들을 고립시키고 곧 연안파 구성원들을 숙청하였다.48

116

김일성의 정권 장악에 대한 당내 비판에 대한 대응으로 김일성은 내무성을 확장시켜 북한 최초의 대규모 숙청을 거행하였다. 1957년 5월 30일, 조선노동당 중 앙위원회 상무위원회는 “반혁명분자들과의 투쟁을 전당, 전인민적 운동으로 강화 전 개할 데 대하여”(5

30)라는 결정을 채택하여 북한의 모든 성인의 정치적 배경에 대 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과정으로 북한의 김일성 정권 수립 과정에 전환점을 마련 하게 되었다. 이전의 숙청은 지주, 기독교인, 김일성의 잠재적 경쟁자였던 당 고위 급 인물들과 같이 특정집단의 사람들을 겨냥하였다.49 1960년대까지 지속된 이번 숙청으로 수천 명이 처형되었고, 주로 공개처형되었다. 사회안전상이었던 방학세는 1958년과 1959년 사이에 10만 명의 사람들이

“적대반동분자”로 드러났다고 소련

외교관에게 전하였다.50 1959년 북한주재 독일 민주공화국 대사 또한 본국으로 보 낸 보고에서 “근래에 이견을 표출하는 동지들에 대한 처형이 증가하고 있다. 그들은 시골, 탄광, 수력발전 댐 지역 그리고 정치범수용소로 보내지고 있다”고 기록하였다.51

47_ 소비에트 대사관 제1서기관 G. Ye Samsonov와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장 고휘남(Ko Hui‐nam) 간의 대화 녹취 자료. Andrei Lankov, From Stalin to Kim Il Sung, p. 169.

48_ 북한의 공식적인 김일성 전기에 따르면: “1956년 8월 당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김일성은 반당, 반혁명 종파 분자들을 폭로하고 제거하려는 결단적 조치를 취했다. … 반제국주의 베테랑과 다른 참석자들은 이러한 위급한 도전에 대한 일격을 가하였다. 폭로와 파괴가 예정되었던 분파는 단순한 파벌이 아니라 미 제국주의자들과 함 께 당과 국가를 전복시키려던 극악무도한 반당, 반혁명 잔당이었다.” Kim Il Sung: Condensed Biography, pp. 200~201.

49_ Andrei Lankov, “The Repressive System and Political Control in North Korea,” English version of a chapter from Severnaia Koreia의 영어버전: vchera i segodnia (North Korea: Yesterday and Today), 1995 년에 러시아어로 출판(Moscow, Vostochnaia literatura). http://north‐korea.narod.ru/control_lankov.htm 참조.

50_ 안드레이 란코프는 1950년대부터 북한에서 공개처형이 관행화되었다고 한다. 그는 소련 자료에서 방학세와 펠 리셴코 고문관 사이의 대화를 인용하고 있다. “Kim Takes Control: The “Great Purge” in North Korea,

1950년대 말 진행된 대규모 숙청을 지속하기 위하여 비밀 정치범수용소 체계가 수 립되었고 이후 계속 확대되었다.52

117

5

30결정으로

‘성분’ 제도가 실질적으로 실시되었다. ‘성분’을 문자 그대로

받아들이면

“구성 요소”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사회적 배경을 의미한다. 이 체제는 북

한 주민들을 정권에 대한 정치적 충성심을 기준으로 하여, 가족 배경과 가족 구성원 들의 특정 행위를 참고로 확인한 뒤 여러 계층으로 구분하였다. 이 평가에 기반하여 북한 주민들은 광범위하게 핵심, 반동, 그리고 적대 계층으로 분류되었다.53 주거 지, 직업, 식량, 보건, 교육 및 기타 공공 서비스에 대한 결정이 모두

‘성분’으로 좌

우되었다. 공식적인

‘성분’ 제도는 더욱 상세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변하기도 하였지

만, 가장 주요한 특징은 부계를 통해 세습이 되는, 한 번 정해지면 이의 제기가 불 가능하다는 점이었다.54 5

30결정에 따라 내각은 제149호 결정을 공표하여 적대 계층이 비무장 지대 또는 해안가 근접지역, 평양 또는 개성으로부터 50km 또는 기 타 대도시의 20km 이내에 거주하는 것을 금지하였다. 사실상 많은 수의 적대 계층 은 북쪽의 척박한 산악지대로 추방되었고, 그들을 위해 마련된 특별 거주지로 강제 이주되었다.55

118

1953년 6

25전쟁이 종료된 후, 북한 당국은 농장을 집단화하고 중공업에 기반한 중앙계획경제체제를 수립했다. 농장에 남은 사람들은 그들의 수확물의 일부

학생들이 군경비대가 지키고 있던 평양의 수용소에 보내지고 있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있었다. 독일원문에 대한 인용은 통일 후 동독보존자료에서 찾을 수 있다, Liana Kang‐Schmitz, “Nordkoreas Umgang mit Abhängigkeit und Sicherheitsrisiko,” pp. 225~226 참조.

52_ IV장 D.3 참조.

53_ 이러한 분류체계는 다양한 시점에서 수정된 것으로 보이는데 추후에 세 개의 광범위한 분류는 핵심, 기본, 그리 고 반동과 적대 계층을 포함한 “복합”으로 변경되었다.

54_ IV장 B 참조.

55_ Ken E. Gause, “Coercion, Control, Surveillance and Punishment,” p. 101.

Dalam dokumen 북한인권 조사위원회 보고서 (Halaman 11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