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본고는 김동인의 소설을 이야기 층위와 서술자의 층위로 구분한 후, 두 층위의 관계와 변화 양상을 살피고자 했다. 특히 1920년대 중반에 확립된 근대단편소설 양식을 김동인 문학의 정적으로 보고, 이후의 작 품들을 퇴보, 혹은 연장으로 바라보는 기존 연구의 관점을 재고함으로 써 1930년대 이후의 작품들이 갖는 의미를 밝히고자 했다. 김동인은 한국 소설의 형성기부터 근대 소설 양식의 확립을 위해 내용과 형식의 측면에서 다양한 형태의 작품들을 창작해 왔다.

그러나 본고는 초기 실험적이고 미숙했던 시기를 거쳐 「배따라기」,

「감자」와 가튼 작품들이 창작된 중기에 이르러 단편소설 양식이 확립 되었다는 그간의 연구사에서 암묵적으로 합의된 결론에 대해 근본적인 물음을 제기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김동인의 초기 작품들은 주로 일원묘사의 형식으로 표현되어 인물의 내면을 경유한 주관적 세계와 관점의 문제를 보여준다. 이야기 속의 인 물은 그가 속한 세계에서 자신만의 주관적인 세계를 가진다. 그러나 한 편으로 그들은 세계에 속해있는 존재이기 때문에 사회의 모순과 부딪치 며 갈등을 일으키기도 한다. 일원묘사의 문체는 인물의 관점으로 사회 의 모습을 보여주지만, 결과적으로 그 사회가 개인의 편협한 인식 속에 서 재구성되어 왜곡되거나 축소되어버린다. 그렇기에 개인을 초월한 거 대 담론들, 혹은 개인의 외부에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세계에 대한 인식이 부재 한다는 점에서 비판의 여지가 있다. 그러나 사회 구성원으 로서의 개인이 아닌, 하나의 인식 주체로서 개인이 세계를 바라보는 관 점주의적 인식론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개인을 부각시키고자 하는 김동인의 목적이 드러난다.

중기에 이르러 김동인은 엄격했던 일원묘사의 문체를 벗어난다. 이러 한 형식의 변화는 서술자가 인물의 내면에서 벗어나 인물의 외부에 독 립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세계를 인식하고, 개인과 사회, 사회 속의 개 인에게 일어나는 갈등을 부각시킨다. 이 시기의 소설들은 이야기의 층 위에서 독자들로 하여금 선과 악의 이분법적 가치 판단에 대해 재고하

도록 만든다. 사회에 확립된 보편적/도덕적 가치 판단에 대립되는 다양 한 관점을 가진 인물의 유형을 만들고 그들이 처한 환경과 상황에 따른 행위를 통해 이분법적 가치 판단의 곁에 제 3의 항을 제시한다. 인물들 은 선과 악이라는 이분법만으로 재단할 수 없으며, 각자의 삶, 상황, 혹 은 가치관에 따라서 선악이 아닌 다른 인식 방법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야기의 종결에 이르러 도덕적 금기를 범한 인물들은 비극적 결말을 맞이하게 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인물과 종결의 불일치는 서 술자의 태도와 관련하여 형식상의 한계점으로 지적된다. 소설의 형식 하나만 놓고 본다면 서술자는 이야기 전체를 장악하고 있으며 결말까지 이어지는 명확한 인과가 드러나기 때문에 잘 만들어진 소설 (well-made novel)처럼 느껴지지만, 기존의 가치 판단을 넘어서고자 하는 내용과 가치 판단을 넘어서지 못 하는 서술자의 태도는 결국 내용 과 형식 사이에 미세한 균열을 남기게 된다.

좋은 것과 나쁜 것의 이분법적 인식 아래에서 인물의 행위를 판단하 는 서술자는 인물들의 행위가 비도덕적이라 판단을 내린 후, 비도덕적 개인의 결말, 즉 징죄(懲罪)되는 개인의 서사를 인과적으로 배열함으로 써 이분법적 인식으로부터 벗어나려던 인물들을 다시 가치 판단의 세계 로 돌려놓게 되는 것이다. 이는 선악 양자를 모두 미(美)라는 가치 아 래 놓아두겠다던 김동인의 지향과 대치되는 현상으로, 소설의 내용과 형식이 호환하지 못 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후기에 이르러 형식에 대한 강박에서 벗어나게 된 김동인은 오히려 이전보다 자유롭고 다양한 형식의 작품들을 발표한다. 가치 판단이 전 제되어 결과로부터 원인들을 배열하던 이전 시기와 달리, 이 시기 서술 자는 하나의 사건으로부터 시작하여 알 수 없는 미지의 결말을 향해 나 아간다. 서술자는 인물보다 많은 정보량을 갖고 있지만 이는 결코 절대 적이지 않으며 세계와 진리를 모르는 무지의 상태에 놓여있다는 점에서 궁극적으로 인물과 함께 사건과 그 결과에 의문을 제기한다. 그렇기에 서술자가 갖고 있는 이야기에 대한 총체적인 정보들조차 초월적인 지위 를 보장하지 않는다.

「배따라기」에서 등장한 ‘운명’이라는 개념이 이미 결과가 정해져 있

으며, 과정은 결과를 향하 나아가는 단계일 뿐이라는 의미를 가진다면, 이 시기의 ‘우연’과 ‘우발성’은 존재론적인 관점에서 그 근본을 알 수 없고, 사건의 의미조차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가치평가 이전의 문 제가 된다. 선악의 이분법에 의문을 품던 중기의 시도는 이 시기에 이 르러 비로소 내용과 형식의 양면에서 조화를 이루게 되는데, 이는 사건 의 인과를 자유롭게 배치하던 이전의 서술자에서 벗어나 세계에 대한 자신(서술자)의 무지를 인정하고, 발생하는 사건들을 존재론적 ‘현상’으 로 받아들임으로써 이루어진다.

본고는 김동인의 소설 양식 확립이 1920년대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 라, 1930년대 이후로도 끊임없이 모색의 과정을 거치고 변화하고 있다 는 것을 밝히고자 했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김동인에 대한 작가론적 연 구사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김동인은 한국근대소설 확립기의 가장 대표 적인 작가로, 이 시기 문학사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김동인을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소설의 양식이란 확립되는 것이 아니라 내용과 함께 끊 임없이 변화하는 것으로, 1920년대 이전에서부터 이후의 시기까지 종 합적으로 고려하는 시각이 필요하다. 이 과정은 한국 문학의 내재적으 로 자생적인 변화 혹은 확대를 살피는 방법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1. 기본자료

김동인 저, 권영민 편, 『김동인전집』 1~17, 조선일보사, 1988.

김동인, 『감자』, 한성도서주식회사, 1935.

『開闢』, 『文藝公論』, 『別乾坤』, 『靈臺』, 『新天地』, 『朝光』,

『朝鮮文壇』, 『朝鮮日報』, 『朝鮮中央日報』, 『中外日報』 『創造』,

『學之光』

2. 국내논저 (1) 단행본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민음사, 2002.

김용재, 『한국 소설의 서사론적 탐구』, 평민사, 1993.

김태준, 『(增補)朝鮮小說史』, 학예사, 1939.

김윤식, 『김동인연구』, 민음사, 2000.

, 『한국현대문학사』, 현대문학, 1990.

김춘미, 『金東仁 硏究』,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5.

백승영, 『니체, 디오니소스적 긍정의 철학』, 책세상, 2005.

백철, 『新文學思潮史』, 민중서관, 1963.

이병기·백철, 『한문학전사』, 신구문화사, 1975.

이정우, 『개념-뿌리들』, 그린비, 2012.

이재선, 『한국단편소설연구』, 한국학술정보, 1975.

손정수, 『텍스트의 경계』, 태학사, 2002.

신범순, 『이상 문학 연구-불과 홍수의 달』, 지식과 교양, 2013.

조남현, 『소설신론』,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조연현, 『韓國現代文學史』, 人間社, 1961.

(2) 학술 논문

강인숙, 「동인 문학의 두 개의 축-유미주의와 자연주의」, 『문예운 동』, 2011.

, 「자연주의를 중심으로 한 김동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 사논문,

, 「에밀 졸라의 이론으로 조명해 본 김동인의 자연주의」, 『건 대학술지』, 1982.

강헌국, 「김동인의 창작방법론과 그 실천」, 『국어국문학』 177, 2016.

구창환, 「谷崎潤一部 및 Oscar Wilde와 比較해 본 金東仁의 眈美主 義」, 『語文學論叢』, 조선대학교 국어국문학연구소, 1968.

고영자, 「예술지상주의: 김동인의 「광염소나타」와 芥川龍之介의

「地獄變」 小考」, 용봉인문논총, 1997.

김동리, 「自然主義의 究竟-金東仁 論」, 『신천지』, 1948.6.

김상규, Oscar-Wilde와 金東仁硏究:主로 作品에 나타난 唯美性을 中心 으로」, 경북대학교 석사논문, 1960.

김시몽, 「김동인에 의한 복합적 자연주의」, 『비교한국학』, 2013, 203~224면.

김용남, 「김동인과 오스카 와일드의 유미주의」, 『비교문학』, 한국비 교문학회, 1995.

김윤식, 「반역사주의 지향의 과오」, 『문학사상』, 1972.11.

김은전, 「東仁文學과 唯美主義」, 先淸語文, 1976.

남은미,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龍之介)와 金東仁의 藝術至上主義 對比: 「地獄變」과 「狂畵師」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 교 석사논문, 1993.

노태훈, 「세계문학으로서의 조선근대문학 기획-김동인 단편소설을 중 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 58권 0호, 민족문학사학회·민족

문학사연구소

박진, 「미케 발의 서사 이론 연구-서사학과 텍스트이론의 결합」,

『현대문학이론연구』 21, 현대문학이론학회, 2004.

박현수, 「1920년대 초기 소설의 근대성 연구-김동인, 염상섭, 나도향, 현진건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논문, 1999.

박현수, 「완성과 파멸의 이율배반, 동인미-김동인의 유미주의에 대한 고찰」, 『대동문화연구』 84, 2013.

손유경, 「1920년대 문학과 同情(sympathy) - 김동인의 단편을 중심 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 16, 2004.

유승환, 「김동인 문학의 리얼리티 재고-비평과 1930년대 초반까지의 단편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 22, 2007.8.

윤정헌, 「김동인 액자소설 연구」, 『국어국문학』 97, 국어국문학회, 1987.

이경민, 「염상섭의 자기혁명과 초기 문학」, 『민족문학사연구』 60권 0호, 2016.4.

이지훈, 「김동인 소설에 나타난 식민지 법의 의미 연구」, 『한국현대 문학연구』 42, 2014.4.

이학영, 「김동인 문학에 나타난 복잡성의 인식 연구」, 『한국현대문 학연구』 41, 2013.12.

이현숙, 「전영택 소설 연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임화, 「朝鮮新文學史論序說-李人稙으로부터 崔曙海까지」, 『朝鮮中央 日報』, 1935.10.9.~11.13.

장수익, 「1920년대 초기 소설의 시점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1998.

정연희, 「김동인 소설의 서술자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논문, 2002.

주요한, 「性格破産-東仁君의 「마음이 여튼 者여」를 봄」, 『창조』, 1921.5

조시정, 「1930년대 후반 한국문학의 모색과 도스토예프스키」, 서울대 학교 박사 학위 논문, 2015.8.

최시한, 「김동인의 시점과 시점론」, 『김동인 문학의 재조명』, 새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