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절 가설설정
이러한 관점에서 현재까지 고성과작업시스템(HPWS)은 기업의 생산성 향 상이나 조직 및 근로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하는 연구(Stirpe et al., 2017; Naiara et al., 2017; Heffernan et al., 2016; Melesse, 2016; 박종욱 외, 2016; 양재완, 2016; Jiang et al., 2015; Michaelis et al., 2015; 나인강, 2014;
권기욱 외, 2012)가 주를 이루고 있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근로자에게 부정 적인 영향을 미치는 연구도 함께 진행되고 있다(Gulzar et al., 2014; Jensen et al., 2013; Jensen et al., 2011).
고성과작업시스템은 근로자의 희생을 통해 조직에 대한 경쟁 우위를 창출 하는 과정에서 개별 직원에게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다고 하였다(Gulzar et al., 2014). 지각된 고성과 작업시스템은 직원의 심리적 결과(불안감, 조무 소진, 역할 과부하)와 정(+)의 관계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직원들의 부정 적인 행동이 더욱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고성과 작업시스템이 직무소진 또는 직무 긴장도를 감소시킨다는 결과를 제시한 연구도 있어 상 반된 결과를 보이고 있다(Voord et al., 2015; Fan et al., 2014; Sun et al., 2007).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고성과작업시스템(HPWS)이 근로자의 부정적인 심 리상태와의 관계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선행연구에서도 근로자의 심리상태 를 다루기는 하지만 조절 또는 매개의 형태로 결과변수에 영향을 주는 변수 로 활용하고 있다(Gulzar et al., 2014; Zhang et al., 2014A; Jensen et al., 2013; Ramsay et al., 2000).
고성과작업시스템과 근로자의 심리상태 및 행동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헌신(commitment)과는 정(+)의 관계가 나타났고(Voorde et al., 2015), 조직 시민행동과 정(+)의 관계(박종욱 외, 2016; 양재완, 2016; Zhang et al., 2014B), 이직의도와 부(-)의 영향(Romina et al., 2014), 직무소진과 부(-)의 관계(Fan et al., 2014)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고성과작업시스템이 긍정 적인 방향으로 근로자의 심리상태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반대로 고성과작업시스템이 부정적인 방향으로 근로자의 심 리상태나 행동으로 나타나는 연구를 살펴보면, 이직의도와 정(+)의 관계 (Jensen et al., 2011), 비생산적인 행동(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과 정(+)의 관계(Gulzar et al., 2014)로 확인된 연구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루고자 하는 고성과 작업시스템이 근로자의 부정적인 감 정에 대한 영향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Gulzar et al.(2014)는 파 키스탄의 기업 287개를 대상으로 고성과 작업시스템(HPWS)에 대한 인식이 직원들의 심리적 결과(불안, 직무소진, 역할과부하)와 정(+)의 관계가 있으 며, 이로 인해 직원들이 직장에서 부정적인 행동이 더욱 심해진다고 하였다.
이는 고성과 작업시스템(HPWS)을 근로자가 어떻게 받아들이는 정신적인 결과에 따라 부정적인 행동으로 표출됨을 알 수 있다.
고성과 작업시스템(HPWS)이 낮은 수준의 직무통제(Job Control)가 일어 날 때, 근로자에게 부정적인 감정을 유발하여 불안과 역할과부하를 통해 이 직의도를 높인다고 하였다(Jensen et al., 2013).
즉, 고성과 작업시스템(HPWS)은 근로자가 받아들이는 정도에 따라 부정 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특히, 일반기업 근로자가 아닌 공 무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고성과 작업시스템(HPWS)이 근로자에게 부 정적인 영향을 주는 연구를 볼 수 있다(Jensen et al., 2011; Jensen et al., 2013).
위 선행연구를 토대로 공공기관을 및 일반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지각된 고성과 작업시스템(HPWS)과 근로자의 냉소주의(cynicism)와의 관계를 규 명하고자 아래와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 고성과작업시스템은 냉소주의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