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동기와 변화·관리의 냉소, 직무소진의 하위변인과의 관계

고성과작업시스템(HPWS)의 하위 변인과 직원들의 심리상태인 냉소주의 (cynicism)의 하위변인 사이에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는 동기(motivation)와 변화·관리의 냉소(Change & Management)와의 관계에서 직무소진의 하위 변인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표16>의 모델 2와 모델 3은 독립변수인 고 성과작업시스템(HPWS)의 하위요인인 동기(motivation)가 직원들의 냉소주 의(cynicism)의 하위변인 변화·관리의 냉소(Change & Management)간에 직 무소진의 하위변인이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회귀모형이다.

모형이 타당한지 확인하는 통계값을 샆펴보면 직무소진의 하위변인 중 감 정적인 소진(Emotional Exhaustion)을 매개변수로 투입한 모형 3은 F통계 량은 9.275(p<0.001)에서 유의하고 Durbin-Watson 값은 1.820로 나타나 모 형이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직무소진의 하위변인 중 개인의 성취 (Personal Accomplishment)을 매개변수로 투입한 모형 4는 F통계량은 6.356(p<0.001)에서 유의하고 Durbin-Watson 값은 1.824로 나타나 모형이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위변인 중 비개인화(Depersonalization)을 매개 변수로 투입한 모형 5의 F 통계량은 9.144(p<0.001)에서 유의하고 Durbin-Watson 값은 1.795로 나타나 모형이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감정적인 소진(Emotional Exhaustion)을 투입한 모델 3을 살펴보면 독립변수의

β값이 모델 2보다 β값보다 절대값으

로 작아지는 것과 t값이 유의한지 확인이 필요하다. 모델 3과 모델 2를 살 펴보면 독립변수인 동기(motivation)의

β값이 –.310에서 –.261으로 작아졌

음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매개변수인 감정적인 소진(Emotional Exhaustion) 또한

β값이 .273(p<0.001)이 유의한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모델 3에서 독

립변수인 동기(motivation)가 유의하기 나타남에 따라 감정적인 소진

(Emotional Exhaustion)은 동기(motivation)와 변화·관리의 냉소(Change &

Management)사이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매개변수를 투입됨 에 따라 모델 2보다 모델 3이 설명력이 6.7%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개인의 성취(Personal Accomplishment)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변수를 투입한 모델 4을 살펴보면 독립변수의

β값이 모델 2보다 β값보다

절대값으로 작아지는 것과 t값이 유의한지 확인이 필요하다. 모델 4과 모델 2를 살펴보면 독립변수인 동기(motivation)의

β값이 –.310에서 –.304으로

작아졌음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매개변수인 개인의 성취(Personal Accomplishment) 또한

β값이 .273(p<0.05)에서 유의하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개인의 성취(Personal Accomplishment)는 동기(motivation)와 변화·관리의 냉소(Change & Management)사이에서 매개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비개인화(Depersonalization)를 투입한 모 델 5를 살펴보면 독립변수의

β값이 모델 2보다 β값보다 절대값으로 작아지

는 것과 t값이 유의한지 확인이 필요하다. 모델 5과 모델 2를 살펴보면 독 립변수인 동기(motivation)의

β값이 –.310에서 –.263으로 작아졌음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매개변수인 비개인화(Depersonalization) 또한

β값이

.265(p<0.001)이 유의한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모델 5에서 독립변수인 동 기(motivation)가

β값이 -.263(p<0.001)로 유의하기 나타남에 따라 비개인화

(Depersonalization)는 동기(motivation)와 변화·관리의 냉소(Change &

Management)사이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매개변수를 투입됨 에 따라 모델 2보다 모델 3이 설명력이 6.4%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Variable

change & management cynicism

Model 1 Model 2 Model 3 Model 4 Model 5

β

t

β

t

β

t

β

t

β

t

성별

.030 .523 .037 .693 .064 1.229 .034 .639 .059 1.136

연령대

-.217 -2.709

**

-.237 -3.113

**

-.185 -2.515

*

-.230 -3.010

**

-.194 -2.640

**

학력

.126 2.224

*

.122 2.269

*

.084 1.610 .127 2.345

*

.095 1.837

직급

-.010 -.148 .010 .159 -.025 -.416 .007 .117 .034 .569

보직

.093 1.549 .059 1.027 .061 1.115 .061 1.064 .087 1.583

근무부서

.030 .533 .051 .946 .041 .785 .052 .966 .052 1.006

근속연수

.292 3.617

***

.259 3.365

***

.211 2.842

**

.255 3.308

**

.202 2.706

* 기관구분

-.139 -2.230

*

-.128 -2.151

*

-.112 -1.965 -.129 -2.181

*

-.129 -2.267

* 근로자수

.058 .879 .137 2.130

*

.145 2.342

*

.137 2.136

*

.154 2.496

소속

-.096 -1.600 -.083 -1.454 -.076 -1.382 -.082 -1.428 -.094 -1.708

MOT

-.310 -6.057 -.261 -5.218

***

-.304 -5.898

***

-.263 -5.254

***

BEMO

.273 5.435

***

BPAC

-.051 -1.008

BDEP

.265 5.316

***

R2/R2adj .095 / .068 .186 / .159 .253 / .226 .118 / .159 .250 / .223

△R

2 .091 .067 .068 .064

F starisric

6.841*** 9.275*** 6.356*** 9.144***

Durbin-Watson 1.820 1.824 1.795

*p<0.05, **p<0.01, ***p<0.001(two-railed test), Durbin-Watson : 1.997, VIF는 2 이하

Note. MOT : motivation, BEMO : burnout emotional exhaustion, BPAC : burnout personal accomplishment BDEP : burnout depersonalization

<표16> 동기와 변화·관리 냉소, 직무소진 하위변인의 회귀분석 결과

2) 참여기회와 변화·관리의 냉소, 직무소진의 하위변인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