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과작업시스템(HPWS)과 조직 구성원들의 직무성과 사이에 직무만 족의 하위변인인 내재적(Intrinsic) 요인인 간에 관계에 매개효과를 보일 것으로 예측하였다. <표 11>은 독립변수인 고성과작업시스템과 종속변 수인 직무성과 사이에 직무만족(내재적 요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회 귀모형이다.
앞선 검증방식과 동일하게, 1단계에서 주효과 확인을 위해, 고성과작 업시스템을 투입하였다. 1단계의 회귀모형을 해석하기 전에 모형의 적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F 통계량과 Dubin-Waton 값을 살펴보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F 통계량은 유의수준을 함께 확인하여야 하고, Dubin-Waton 값은 2를 기준으로 오차항들이 독립임을 판단하여야 한다.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를 보는 1단계의 경우, F는 69.940, p<0.001 로 나타났으며, Dubin-Waton 값은 1.942로 2에 근접하여 회귀모형이 적 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독립변인에 의한 종속변인의 설명력인 R2 값을 1단계에서 살펴보면 32.3%(수정된 계수 30.3%)로 나타났다. 1단계 의 결과를 분석해 보면, 고성과작업시스템(β=0.463, p<0.001)은 직무성과 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단계에서 직무만족의 하위변인인 내재적 요인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 여 독립변수가 매개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2단계의 회귀모형 을 해석하기 전에 모형의 적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F 통계량과 Dubin-Waton 값을 살펴보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F 통계량은 유의수 준을 함께 확인하여야 하고, Dubin-Waton 값은 2를 기준으로 오차항들 이 독립임을 판단하여야 한다. 독립변수와 매개변수의 관계를 보는 2단 계의 경우, F 통계량은 148.582, p<0.001로 나타났으며, Dubin-Waton 값 은 1.990으로 2에 근접하여 회귀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독립변인에 의한 종속변인의 설명력인 R2 값을 2단계에서 살펴보면 41.8%(수정된 계수 40.1%)로 나타났다. 2단계의 결과를 분석해 보면, 고 성과작업시스템(β=0.625, p<0.001)은 내재적 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확인된 고성과작업시스 템과 내재적 요인의 정(+)의 관계와 일치하는 것이다.
3단계에서는 직무성과를 종속변인으로 고성과작업시스템과 내재적 요 인을 함께 투입하였다. 3단계의 회귀모형을 해석하기 전에 모형의 적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F 통계량과 Dubin-Waton 값을 살펴보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F 통계량은 유의수준을 함께 확인하여야 하고, Dubin-Waton 값은 2를 기준으로 오차항들이 독립임을 판단하여야 한다.
모형이 타당한지 확인하는 통계값을 살펴보면, F 통계량은 41.519, p<0.001에서 유의하고, Dubin-Waton 값은 1.951로 2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나므로 모형이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매개변수를 투입함 에 따라 1단계보다 3단계의 설명력이 10.1%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3단계의 결과를 살펴보면, 내재적 요인(β=0.416, p<0.001)이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확 인된 내재적 요인과 직무성과의 정(+)의 관계와 일치하는 것이다.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3단계에서 독립변수의 β값이 1단계보 다 절대값이 작아지는지와 t값이 유의한지 여부에 관한 확인이 필요하 다. 이에 독립변수인 고성과작업시스템의 β값이 .463(p<0.001)에서 .203(p<0.001)로 작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매개변수인 내재적 요인 또한 .416(p<0.001)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3단계에서 독립변수인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유의하게 나타남 에 따라 내재적 요인이 고성과작업시스템과 직무성과 사이에서 부분 매 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11> 직무만족 하위변인(내재적 요인)의 매개효과 회귀분석
Variable
1단계 (직무성과)
2단계 (내재적 요인)
3단계 (직무성과)
β t β t β t
성별
-.009 -.153 .052 .968 -.031 -.568
연령.086 .999 .053 .665 .064 .802
학력.100 1.609 .074 1.296 .069 1.196
근속연수.086 .988 .162 2.006
*.019 .231
업무유형-.101 -1.839 -.018 -.360 -.093 -1.838
직급.078 .826 -.069 -.785 .107 1.219
HPWS.463 8.363
***.625 12.189
***.203 3.113
***내재적 요인
.416 6.444
***R2/R2adj
.323 / .303 .418 / .401 .423 / .404
△R2
.198 .362 .101
F 통계량
69.940
***148.582
***41.519
***Durbin-Watson
1.942 1.990 1.951
주1) N=247, *p<0.05, **p<0.01, ***p<0.001(양측), VIF는 4.0 이하 주2) 내재적 요인 : 직무만족의 내재적 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