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지원인식은 최근에 연구주제로 주목받는 요인으로써, 직무만족이 나 조직몰입과 같은 유사한 개념들과의 명확한 구분을 위한 연구와 선행 요인과 결과요인을 검증하는 연구 등으로 구분되고 있다(한수진·강소라, 2019; Singh, Zhang, Wan, & Fouad, 2018). 직무만족은 직무에 대한 긍 정적인 감정 상태로 직무에 대해 구성원이 가지고 있는 전반적인 태도를 의미하지만, 조직지원인식은 구성원이 자신이 속한 조직에 대한 구성원의 인지된 믿음 정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Porter et al., 1974). 또한, 조직과의 관계에 대한 개인의 태도적인 측면에서 조직몰 입과 유사하지만, 구성원의 조직에 대한 몰입과 구성원에 대한 조직의 몰 입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Shore & Tetrick. 1991).
<표 4>에 따른 최근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조직지원인식이 여러 연구
에서 조절변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조직 이 자신에게 충분한 지원과 몰입을 하고 있다는 인식이 높을 때, 조직이 추구하는 여러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등의 조절변수이자 사회적 지원의 개념으로서의 역할을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다(조윤형·나윤진, 2013). 이에 개인의 문화적 지향성과 조직몰입 및 직무관여 간의 관계, 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와 공무원의 윤리적 행동 간의 관계 등과 같이 개인의 감정이나 태도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맹현아·김상수, 2019; 한수진·강소라, 2019).
또한, 여성 엔지니어의 직업적 헌신이 직업의 이직의도의 부정적인 영 향을 감소시키는데 조직지원인식이 조절하거나, 부하가 조직으로부터 지 원인식을 낮게 느끼고, 상사와 높은 상호작용 관계를 맺고 있는 경우, 상 사의 이직의도가 부하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강하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이진복·곽원준, 2017; Singh et al., 2018). 또한, 조직지원인식은 셀프리더십과 개인-조직 적합성 간의 관계, 개인-조직 적합성과 주관적 안녕 간의 관계를 각각 조절하여, 조직과 직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다고 보았다(신대훈·이지영·노명화, 2016). 이를 통해, 조직 구성원의 직 무태도와 생각이 조직지원인식과 같은 조직의 맥락에 의해 영향을 받아 형성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최우재·조윤형, 2019)
지금까지의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들을 정리해보면, 조직지원인식은 구성원의 내재적 특성인 구성원의 태도 및 감정과 연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맹현아·김상수, 2019; 한수진·강소라, 2019). 대체로 구성원의 태도와 관련된 주제들은 조직의 지속가능성을 높여주고 조직 효과성 측 면에서 성과창출로 이어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김만수·이형탁, 2017; Wanberg & Banas, 2000).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직 구성원의 태 도 및 감정 관련된 변수인 직무만족이 조직지원인식의 수준에 따라, 조 직 효과성을 나타내는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자
(연도) 독립변수 종속변수 매개/조절변수 비고
Tolentino et al.
(2017)
intimate partner aggression
career outcomes
job performance outcomes(매)
POS(조) Singh et
al.
(2018)
occupational commitment
occupational turnover intentions
POS(조)
신대훈·
이지영·
노명화 (2016)
셀프 리더십 주관적 안녕
조직지원인식(조) 개인-조직적합성(매) 개인-직무적합성(매)
오혜·
홍운기 (2017)
개별적 근무조건 조직지원인식
이직의도 과업성과 인식(매)
이진복·
곽원준 (2017)
상사의 이직의도 부하의 이직의도 LMX(조)
조직지원인식(조)
전지영 외
(2018) 조직지원인식 업무성과
생활만족도 일-가정 촉진(매)
맹현아·
김상수 (2019)
개인주의 집단주의
조직몰입
직무관여 조직지원인식(조)
최다은·
윤동열·
김성훈 (2019)
경력개발 이직의도 조직몰입(매)
상사지원인식(조)
최우재·
조윤형 (2019)
고용가능성 (내부유연성,
외부이동성)
조직 구성원들의 적응수행
심리적웰빙과 주관적웰빙(매) 조직지원인식(조) 한수진·
강소라 (2019)
고객, 작업환경, 직무 관련
스트레스
공무원의 윤리적
행동 조직지원인식(조)
<표 4> 조직지원인식(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의 선행연구
제3장 연구방법
제1절 연구모형
본 연구의 목적은 고성과작업시스템(HPWS)이 도입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된 A 공공기관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여,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직 무성과(job performance)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 직무만족 (job satisfaction)이 어떻게 매개효과를 갖는지 확인하는데 있다. 또한, 직무만족을 통한 고성과작업시스템과 직무성과 간의 매개관계는 조직지 원인식(POS)의 정도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어떠한 경로를 통하여 직무성과를 향 상시키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에 고성과작업시스템을 독립변수로, 직 무성과를 종속변수, 직무만족을 매개변수로 하고 조직지원인식이 조절변 수로 작용하는지를 검증하고자 [그림1]과 같은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그림1] 연구모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