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교사효능감

Dalam dokumen 비영리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66-69)

의 영향 요인이 존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모형 3]에서 시간 불변 학교 근무지역 특성을 통제한 모형을 투입하여 이를 분석하였 다. 학교가 가지고 있는 근무지역 여건에 따라 종속 변수에 대한 영 향 요인은 다르게 나타날 것이며, 해당 지역 내 학교 고유한 특성을 탐색하는 데 용이하다. 넷째, [모형 4]에서는 교사의 비율 등과 같은 학교 내 인적 특성이 영향 요인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모형 5]는 최종 모형으로서 학교의 제도적 자원을 투입하였으며, 학교 내 교사전문성과 관련된 정책, 맥락을 포함하는 전반적인 모형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 연 구문제에서 단계별 투입 변인에 대한 구체적인 결과는 [부록 1] ~ [부록 12]에 수록되어 있다.

첫째, 교사효능감에 대한 기본 모형의 분석 결과 읍면지역이 평 균 3.814점, 중소도시는 3.837점, 대도시는 3.895점으로 도시 규모의 증가에 따라 교사가 인지하고 있는 교사효능감에 개인 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읍면지역인 경우 전국 평균에 비하여 교사 가 인지하고 있는 교사효능감의 크기가 낮으며, 집단 간 상관계수 인(ICC)을 볼 때, 지역에 따라 학교에 따른 영향력의 크기가 다름을 알 수 있다. 특히, 중소도시인 경우, 학교 간 분산이 크므로 교사전 문성에서 근무지역의 영향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지 역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가 있음에도 집단 간의 상관계수는 읍 면지역, 대도시에서 0.05이상 유의미한 수준으로 보이지 않았다. 이 에 대하여, kreft & De Leeuw(1998)는 집단 내 상관계수(ICC)값이 약 0.02정도라도 종속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집단 변수를 살펴볼 수 있음을 밝힌 바 있다(김은수, 이유진, 2018). 이를 바탕으로 최종 모 형[모형 5]에 따라 추가적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효능감에 영 향을 미치는 결과는 [표 Ⅳ-6]과 같다. 교사효능감인 경우 세 지역 모두 교직경력에 대하여 정적인 영향력을 보이고 있으며, 담임여 부, 성별인 경우 지역에 따라 상반된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보여주 고 있다.

반면, 지역에 따라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학교 수 준에서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읍면지역인 경우, 총 학급 수가 1 학급 증가할수록 교사효능감은 0.003 (p<0.1), 학교 평균 소모임, 학 교 평균 수업개선참여는 교사효능감에 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학교 평균 수업개선참여가 1회 증가할 경우 교사효 능감이 0.126점 상승함을 의미한다. 읍면지역에서 교사전문성 향상 을 위한 제도가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미루어볼 때, 교사 수, 학교 내 전문성 개발 활동이 읍면지역 내 교사전문성 에 긍정적인 영향을 행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표 Ⅳ-6] 교사효능감에 대한 지역별 위계적선형모형 결과

구분 읍면지역 중소도시 대도시

회귀계수 표준오차 회귀계수 표준오차 회귀계수 표준오차 교사수준<개인변수>

절편 3.716***(0.061) 3.866***(0.063) 3.933***(0.079)

성별(남성) -0.013 (0.038) -0.032 (0.051) -0.140†(0.075) 석박사여부 0.013 (0.069) -0.055 (0.104) -0.011 (0.100)

교직경력 0.067***(0.015) 0.088***(0.015) 0.097***(0.021)

담임여부 0.134* (0.061) -0.013* (0.063) -0.017 (0.080)

학교수준<근무지역특성>

총학급수 0.003†(0.002) 0.003 (0.002) 0.001 (0.003)

학생이해도 0.629 (0.452) 0.147 (0.696) 2.042* (0.801) 학교수준<학교제도 및 조직특성>

학교 평균 재직경력 -0.042 (0.050) 0.021 (0.041) 0.004 (0.064)

2급 정교사 비율 0.097 (0.166) 0.477† (0.244) -0.134 (0.782)

석박사교원비율 0.105 (0.201) 0.307 (0.344) 0.571 (0.510) 학교장 리더십 -0.003 (0.095) -0.005 (0.075) 0.100 (0.079) 수석교사 배치여부 -0.061 (0.201) -0.076 (0.082) 0.014 (0.091) 학교 평균소모임 0.186* (0.077) 0.297* (0.150) 0.071 (0.166) 수업개선참여횟수 0.126** (0.046) -0.103 (0.073) 0.055 (0.112) 학교 평균 교사대화 0.043 (0.043) 0.042 (0.066) 0.028 (0.100)

<변량>

학교 0.001 0.007 0.001

교사 0.260 0.221 0.313

전체 0.261 0.228 0.314

84.813 55.910 41.877

ICC 0.004 0.031 0.002

†p<0.1 *p<.05, ** p<.01, *** p<.001

중소도시인 경우 2급정교사 비율, 학교 평균 소모임수가 1수준 증 가할 때, 교사효능감에 각각 0.477 (p>0.1), 0.297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변수가 학교 내 교사의 인적 특성, 교 사 간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변수라는 점에서 인적특성이 교사효능 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시사한다. 이 외에도 기초모형 이후 변 수를 단계별로 투입했을 때, 총 학급수에 대한 영향력의 크기가 변 화([부록 3])가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추가적인 고찰이 필요하다.

대도시인 경우 학교 평균 학생 수업이해도가 1수준 증가하면 교 사효능감이 2.042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기존의 읍 면지역, 중소도시와 다른 양상으로서 대도시에서는 교사효능감에 영 향을 미치는 제도, 상호작용의 영향력이 약함을 의미한다. 또한, 학생 수업이해도가 교육 환경을 대변해주는 대리지표라는 점에서 교사들이 선호하는 학교가 작용하였음을 의미한다.

Dalam dokumen 비영리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66-69)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