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장에서는 교사전문성의 개념과 중요성을 탐색하였으며, 최 근의 교사전문성 참여는 현장에 기반한 대안적 성격으로서의 활동 이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번 장에서는 학교 내 사회적 자본의 속성을 살펴보고, 사회적 자본과 교사전문성 참여 간 관계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바탕으로 근무지역에 따른 학교의 사회적 자본의 차이가 교사전문성 개발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사회적 자본은 Coleman(1988)의 논의에서 시작되었으며, 타인과의 관 계를 통해 개인의 인적 자본의 향상에 기여한다(김태연, 2014; 김한 별, 2009). 이러한 사회적 자본의 구성 요인으로 신뢰, 규범과 제재 (norms and sanction), 정보 연결망(information channels)을 중심으로 사회적 자본이 구성되고 있으며, 개인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관계의 양과 질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Coleman, 1988).
이러한 사회적 자본이 학교 현장에 적용되면서, 학생과 교사의 인 적자본의 향상을 설명해주는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낮 은 인적자본을 가진 대상이 높은 사회적 자본과 결합되면서 인적자 본의 향상이 이루어진다는 사회적 자본의 기본 개념은 저경력 교사 의 전문성을 어떻게 증진시킬 것인가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왔다. 이 관점에서의 학교의 사회적 자본은 교사전문성을 촉진시키는 학습 조 직의 역할을 수행하는 전제 조건이라는 점에서 중요성을 가지고 있 다(김태연, 2014). 사회적 자본을 구성하는 요소에 대한 정의는 다양 하지만 공통적으로 학교 조직이 타 조직 간의 관계, 조직 구성원이 외부 조직과 연결되는 정도, 조직 내부의 유대관계 및 상호작용의 정 도를 포함하고 있다(최준호, 2010).
사회적 자본은 크게 관계적 자본(relational capital)과 시스템 자본 (system capital)으로 나누어 정의할 수 있다. 관계적 자본에서의 사회 적 자본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관계의 양과 질의 개념에서 바 라보고 있으며, 좁은 의미에서의 사회적 자본이라고 볼 수 있다. 이 러한 관점에서의 사회적 자본이론은 낮은 인적자본을 가진 교사가 동료 교사들과 대화와 상호작용을 통해 전문성을 향상시켜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었다는 실증적 연구(Leana, 2011)를 지지하는 관점이라 할 수 있다.
시스템 자본에서의 사회적 자본은 학습 조직의 관점을 기반으로 한다. 이는 단위학교의 사회적 자본을 만들 수 있는 조직적인 시스템
이 얼마나 구축되어 있는지에 따라 교사의 사회적 자본 형성에 영향 을 줄 수 있다는 관점이다. 최종덕(2007)은 학교의 문화적, 제도적, 조직적 특성이 교사의 협력과 협동을 촉진시키며, 학교가 추구하는 교육 목표, 규범, 사회적 신뢰는 사회적 자본의 특성과 유사하다고 바라보았다(Putnam, 1995). 이러한 관점에서 학교 내 협력 활동을 촉 진시킬 수 있는 제도 및 교장의 리더십은 광의적 의미에서 사회적 자 본으로 간주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단위학교 내 전문적학습공동체 의 활성화, 연구학교, 교육청에서 제공되는 교원 연수와 같은 행정적 인 측면에서의 지원은 시스템 자본에서 바라볼 수 있다.
이처럼 학교의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는 학자마다 다르며, 학교 의 근무지에 따라 가지고 있는 교사의 인적 특성, 지역의 고유한 특 성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표 Ⅱ-2]와 같이 학교의 사회적 자본의 구성 요소를 제시하였다. 공통적으로 학 교의 사회적 자본을 구성하는 요소를 밝힌 연구들은 구성원의 상호 작용의 범위와 빈도의 관점에서 밝히거나, 상호 작용을 지원해줄 수 있는 제도를 중심으로 논의되었음을 알 수 있다.
[표 Ⅱ-2] 학교의 사회적 자본을 분석한 선행연구
유형 학교의 사회적 자본 구성요소
Coleman(1988) 신뢰, 호혜성의 규범, 연결망 김태선,김천기
(2007)
대인 신뢰, 제도 신뢰, 구성원 간 의사소통, 구성원의 학교 참여, 사회적 관계, 호혜성, 사회적 통제
최준호(2010) 학생, 학부모, 교사, 학교의 교사와의 관계, 학교와의 관계, Hagreaves(2012) 팀 중심의 의사소통, 학습, 신뢰, 협력 문화, 교사 간 네트워크 이호준 외(2015) 동료교사와의 협력, 의사소통
이승호, 김근진, 김민아(2016)
다른 교사 수업 참관, 교실수업개선활동 참여, 프로젝트활동, 수업교재연구, 학년회의 참석,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 참여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