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 소모임 참여는 교사가 학교 내·외에서 참여하고 있는 교과 모임으로 최근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전문적학습공동체를 통한 대안적 교사전문성 개발 활동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교사 소모임 참여는 교사가 단위학교 내외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나타낸다는 점 에서 학교, 교사의 네트워크 형성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기초모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 [표 Ⅳ-11]과 같다. 교사 소모임 참여에 대한 기초모형 분석 결과, 도시 규모에 비례하여 교 사 소모임 참여에 대한 회귀계수의 차이가 있음이 분석되었다. 구 체적으로 읍면지역, 중소도시에서 집단 내 상관계수(ICC)가 높은 것 은 교사의 학교변인에 대한 영향력의 크기가 크다는 점에 대하여 추론할 수 있다. 이에 최종 모형을 분석한 결과는 [표 Ⅳ-12]와 같다.
기초모형 전체 읍면지역 중소도시 대도시
회귀계수(표준오차) 회귀계수(표준오차) 회귀계수(표준오차) 회귀계수(표준오차) 고정효과
0.866*** (0.028) 0.860***(0.042) 0.904***(0.055) 0.930***(0.047) 무선효과
학교 간 변량 0.045 0.059 0.067 0.004
학교 내 변량 0.631 0.595 0.620 0.708
290.937*** 157.862*** 92.637*** 47.541
ICC 0.070 0.090 0.098 0.006
[표 Ⅳ-11] 교사 소모임 참여 기초모형
교사 소모임 참여는 교사 수준에서 공통적으로 성별에 정적인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읍면지역에서 남교사일 때, 교사 소 모임 참여가 0.267회 증가하며, 교직 경력이 증가함에 따라 0.04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석박사 교원의 비율, 학교 평균 소모임이 대부분의 변량을 차지하는 등 이는 읍면지역 내 단위학교 의 사회적 자본에 가장 큰 영향을 받고 있음을 의미한다.
대도시인 경우, 학생이해도가 높아짐에 따라 교사 소모임 참여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학생의 학업성취도가 높은 지역일수록 지역 별 교육의 여건이 좋으며, 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영향을 미친다는 정제영 외(2014a)의 연구와 같은 맥락이다. 반면, 학교 평균 학교장 리더십이 증가할수록, 수석교사가 배치될수록 교사의 소모임의 참 여정도는 부적인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의 소모임의 운영 양상이 학교 내 자율성을 바탕으로 형성되는 학습 조직의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교사 소모임은 교사 네트워크의 형성 정도와 관계가 있다는 점에 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초등학교의 교사는 여성의 비율이 7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의 남교사인 경우 선·후 배사이의 끌어주기의 문화가 강하게 작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화 적 특성이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절편을 고려해볼 때, 읍면지역에서의 교사 소모임은 대부분 학교 내에서 이루어지는 교 사 소모임이며, 학교 외적인 소모임 참여는 중소도시, 대도시에 비 하여 적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타 학교와의 교류 및 만남이 공간적, 시간적 한계에 따라 어려울 수 있으며, 교사의 범위가 한정되어 있 다. 또한 학교 이동에 따라 구성원의 이동 변화가 크기 때문에 교사 소모임 참여 및 지속에서의 장애 요인으로 지적된 바 있다(경기도 교육연구원, 2017).
[표 Ⅳ-12] 교사 소모임 참여에 대한 지역별 위계적선형모형 결과
구분 읍면지역 중소도시 대도시
회귀계수 표준오차 회귀계수 표준오차 회귀계수 표준오차 교사수준<개인변수>
절편 0.724***(0.089) 0.888**(0.117) 0.863***(0.098)
성별(남성) 0.267***(0.079) 0.181†(0.100) 0.220* (0.102) 석박사여부 -0.042 (0.114) -0.042 (0.114) 0.403* (0.189)
교직경력 0.039† (0.024) 0.059* (0.030) 0.001 (0.036)
담임여부 0.047 (0.095) -0.058 (0.117) -0.028 (0.114)
학교수준<근무지역특성>
총학급수 -0.002 (0.003) -0.001 (0.004) -0.002 (0.004)
학생이해도 -0.433 (0.694) 0.816 (1.524) 1.706†(0.988) 학교수준<학교제도 및 조직특성>
학교 평균 재직경력 0.081 (0.065) 0.025 (0.079) 0.013 (0.092)
2급 정교사 비율 0.011 (0.276) 0.281 (0.524) 1.480†(0.868)
석박사교원비율 0.554†(0.323) 0.416†(0.679) -0.311 (0.634) 학교장 리더십 -0.132 (0.129) -0.100 (0.158) -0.265* (0.129) 수석교사 배치여부 0.010 (0.119) 0.140 (0.162) -0.197†(0.115) 학교 평균소모임 0.715***(0.184) 0.251 (0.319) 0.431 (0.276) 수업개선참여횟수 -0.038 (0.097) 0.279* (0.155) 0.272† (0.160) 학교 평균 교사대화 0.104 (0.110) -0.017 (0.127)
<변량>
학교 0.027 0.076 0.001
교사 0.570 0.608 0.682
전체 0.597 0.684 0.683
106.759 78.915*** 33.585
ICC 0.045 0.111 0.001
†p<0.1 *p<.05, ** p<.01, *** p<.001
제 3 절 학교 근무지역과 교사의 상호작용 효과
이전 절까지는 교사 수준에서 각 근무지역에 대한 개인의 특성을 통제한 후 학교 수준 변인이 교사전문성 및 개발에 미치는 효과 (고 정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번 절에서는 근무지역별 교사 변인이 학 교 특성에 따라 차별적인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는 것으로 가 산적 효과(addictive effect)를 의미한다(허은정, 2010; 홍창남, 2005).
이를 위하여 2절에서 분석한 유의한 변수를 중심으로 상호작용항을 통한 차별적인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위계적선형모형에서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교사 수준 의 변인이 학교별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는지를 검증하여야 한다. 이 를 위해서 위계적선형모형(HLM) 내 무선-계수 모형을 투입하여 적용 해야 한다(허은정, 2010; 홍창남, 2005). 무선-계수 모형을 통해 교사 변인이 학교 수준에서 무선적으로 변화(random effect)하는지, 아니 면 일정한 값(fixed effect)을 갖는지 검증할 수 있도록 검증을 실 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교사전문성에 대하여 갖는 기울기가 학교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할 수 있다.
무선-회귀계수 분석 결과, 읍면지역에서는 교사효능감과 교직경 력이 학교 변인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고, 중소도시에서는 수업개선참여여부가 담임여부, 대도시에서는 수업개선참여여부와 담임여부가, 교사 소모임 참여와 석박사여부에서 가산적 효과를 보 였다. 교사효능감인 경우, 대도시와 중소도시의 개인 수준 변인의 기울기는 학교별로 차이가 나지 않으며(fixed), 읍면지역인 경우 교 직경력의 기울기가 학교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random)를 보인다고 볼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교사전문성 변인과 유의한 효과를 보인 변수와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는 [표 Ⅳ-14]와 같다.
교사효능감에 대한 상호작용 분석결과, 읍면지역에서의 교직 경력 의 평균 기울기는 0.003이며, 이는 교직경력이 높을수록 교사효능감
이 더 크게 증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 외의 지역인 경우 교사효 능감에 대한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중소도시, 대도시에서의 교사효능감은 교사 특성에 따라 학교 간 차이가 나지 않음을 말한다. 이 외에도 교사의 수업개선참여는 대도시에서 담임에 따라 상호작용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분 석 결과는 [부록 13]∼ [부록 17]까지 제시되어 있다.
읍면지역에서의 교사효능감에 대한 교사와 학교 특성에 대한 상호 작용 효과를 분석한 결과, 읍면지역에서의 평균 교직경력 기울기는 0.065이며, 고정효과에서 유의하였던 교직 경력, 학교소모임과 같은 변인인 경우 교사효능감에 대한 가산적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수 지역 교사변인 변량 자유도 유의도
교수 효능감
대도시 교직경력 0.000 46 47.143 0.426 중소도시 교직경력 0.001 53 60.200 0.231 담임여부 0.002 53 31.220 >0.500 읍면지역 교직경력 0.003 102 118.000 0.035
담임여부 0.020 102 57.167 >0.500 수업
개선 참여
대도시 교직경력 0.001 46 45.857 >0.500 담임여부 0.344 46 56.707 0.015 중소도시 석박사여부 0.017 53 31.848 >0.500 읍면지역 교직경력 0.001 102 86.120 >0.500 교사
연수 시간
대도시 교직경력 0.644 46 41.834 >0.500 석박사여부 27.597 46 21.986 >0.500 중소도시 교직경력 1.135 53 66.586 0.080 읍면지역 교직경력 0.134 102 85.533 >0.500 교사
소모임 참여
대도시 성별 0.0039 46 19.436 >0.500 석박사여부 0.4216 46 44.961 0.012 중소도시 교직경력 0.005 53 64.687 0.193 읍면지역 성별 0.070 102 96.479 0.116
[표 Ⅳ-13] 근무지역별 교사수준 변인 기울기의 학교 간 차이 검증
주: 회귀계수의 유의도가 p>0.05이상인 변수는 분석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읍면지역 교사효능감 계수 (표준오차) 자유도 t-비율 유의도 절편(교사효능감 전체평균) 3.707 (0.061) 102 60.357 <0.001
교직경력 기울기
절편 0.065 (0.014) 100 4.822 <0.001
수업개선참여학교 평균 0.027 (0.029) 100 0.948 0.345 학교소모임 학교 평균 -0.014 (0.050) 100 -0.282 0.779 담임여부 기울기 0.130 (0.074) 100 2.129 0.034
[표 Ⅳ-14] 교사효능감에 대한 교사-학교 간 상호작용(읍면)
수업개선참여에 대한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한 결과, [표 Ⅳ-15]를 미루어볼 때, 수업개선활동 참여에서 담임 여부가 개인특성에 따라 학교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random)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 한 점에서 담임 여부와 수업개선참여 활동의 수석교사, 수업개선참 여, 교사와의 대화에 대한 상호작용항을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는 [표 Ⅳ-15]와 같다
대도시 교사수업개선참여 계수 (표준오차) 자유도 t-비율 유의도 절편(교사수업개선참여) 1.473 (0.101) 52 14.556 <0.001 담임여부 기울기
절편 0.324 (0.147) 48 2.212 0.032
석박사교원 비율 -1.660 (0.697) 48 -2.382 0.021 수석교사여부 0.326 (0.159) 48 2.055 0.045 수업개선참여학교 평균 1.131 (0.235) 48 4.819 <0.001 학교 평균 교사대화 0.381 (0.140) 48 2.728 0.009 교사 석박사 여부 0.253 (0.183) 210 1.437 0.152 [표 Ⅳ-15] 수업개선참여에 대한 교사-학교 간 상호작용(대도시)
대도시에서의 수업개선활동은 수석교사, 학교 수업개선참여, 교 사와의 대화가 높을수록 상승 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는 저경력 교사가 담임일 경우 학교 내 수석교사를 통해 수업개선 참여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수석교사가 교사의 교수·연구 활동을 지원하고, 학생을 교육하는 것이라고 볼 때(「초·중등교육법」제 20조 제 3항), 정책이 의도한 목적에 근거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현 상을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담임일 경우 학교 내 수업개 선활동에 대한 참여, 교사와의 대화의 증가는 동학년 중심의 교사 문화를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단위학교 내 석박사교 원의 비율은 교사의 수업개선참여 활동에 증가폭에 비하여 감소폭 이 증가함으로써 석박사교원의 비율이 높을수록 담임교사의 수업 개선참여에 미치는 영향력은 줄어든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대도시에서의 교사의 학력이 교사의 소모임에서의 상호작용 효과를 갖는 학교의 특성을 제시하면 [표 Ⅳ-16]과 같다.
대도시의 교사 소모임 참여는 석박사일수록 학교 내 소모임 활동에 더 자주 참여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석박사인 교사는 학 교장의 리더십이 증가할수록 교사 소모임에 참여할 가능성이 낮아 짐음을 의미한다. 이는 석박사 이상의 교사들의 자주적인 전문성 개발, 고학력 교사들의 특징이 학교장의 리더십 간 영향력이 상쇄 될 수 있는 맥락적 요인이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학교장의 리더십의 증가와 학교 내 발현되는 양상에 대해 면밀하게 분석할 필요성이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