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저경력 교사에 따른 전문성 영향 요인 차이

Dalam dokumen 비영리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62-66)

[표 Ⅳ-3] 저경력 교사 배치 비율에 따른 학교 특성 차이

변수 저경력 교사배치 상위25% 저경력 교사배치 하위75%

t-test 관측치 평균 표준편차 관측치 평균 표준편차

지역 변수

읍면지역* 57 0.75 0.49 171 0.42 0.41 4.93***

중소도시* 57 0.25 0.41 171 0.26 0.45 -0.97 대도시* 57 0.00 0.00 171 0.32 0.05 -8.98***

근무지역 특성

총학급수 57 16.49 9.46 171 26.19 12.91 -6.08***

학생이해도 57 0.69 0.05 171 0.71 0.05 -2.65**

학교조직 특성

2급정교사비율 57 0.39 0.09 171 0.14 0.06 19.65***

학교재직경력 57 1.55 0.68 171 1.91 0.60 -3.70***

수석교사배치 57 0.12 0.33 171 0.16 0.37 -0.67 학교소모임 57 0.76 0.48 171 0.92 0.41 -2.20*

수업개선참여 57 1.63 0.64 171 1.73 0.41 -0.96 석박사교원비율 57 0.23 0.12 171 0.36 0.14 -6.63***

교장리더십 57 4.15 0.33 171 4.20 0.37 -1.00 교사대화빈도 57 4.08 0.33 171 4.28 0.25 -4.36***

† p<.1, * p<.05, ** p<.01 ***<0.001

단위학교 내 저경력 교사의 배치 비율에 따라 상·하위집단으로 나누어 지역, 학교 특성, 학교 조직 특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저 경력 교사가 많이 배치되어 있는 학교는 읍면 지역 및 총 학급수가 적은 곳이다. 또한 저경력 교사가 많이 배치된 곳을 중심으로 평균 재직 경력, 학교 소모임의 참여, 석박사 교원 비율, 교사와의 대화 빈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학교 평균 재직 경력인 경우, 저 경력 교사가 집중 배치되는 곳을 중심으로 잦은 순환 전보가 일어나 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사 소모임, 교사와의 대화빈도와 같은 비공 식적인 상호작용은 경력교사가 많은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 교사 간 상호작용이 중요해지는 현상을 볼 때, 학교 특성에 따 라 전문성 개발이 차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지역에 따른 저경력 교사의 전문성 및 영향 요인에 대한 차별적 인 분포 [표 Ⅳ-4]를 제시하였다. 지역 변수는 데이터에서 제공하는

읍면, 중소도시를 그대로 적용하였으며 광역시와 특별시는 대도시 로 나누어 지역 규모에 따른 특성을 살펴보았다.

변수 읍면 중소도시 대도시 F값7)

(사후검정) N 평균 표준편차 N 평균 표준편차 N 평균 표준편차

근무 지역 특성

총학급수 114 17.72 11.09 59 28.86 10.52 55 31.02 12.43 34.27***

읍<중소<대 학생이해도 114 0.69 0.05 59 0.70 0.05 55 0.73 0.04 9.02***

읍<중소<대

학교 조직 특성

2급정교사비율 114 0.23 0.14 59 0.20 0.13 55 0.13 0.06 10.78***

대<중소<읍 학교재직경력 114 1.16 0.60 59 1.98 0.62 55 2.09 0.58 12.85***

읍<대, 읍<중소 수석교사 114 0.13 0.34 59 0.17 0.38 55 0.16 0.37 0.89 학교소모임 114 0.84 0.47 59 0.93 0.41 55 0.91 0.36 2.951†

읍<대 수업개선평균 114 1.67 0.59 59 1.58 0.50 55 1.69 0.42 0.56 석박사교원비율 114 0.33 0.17 59 0.27 0.12 55 0.38 0.11 8.669***

중소<읍<대 교장리더십 114 4.24 0.30 59 4.30 0.23 55 4.39 0.22 4.363*

중소<읍 교사와의대화 114 4.12 0.29 59 4.07 0.40 55 4.20 0.38 22.722***

읍<중소<대

†p<.1, * p<.05, ** p<.01, *** p<.001

[표 Ⅳ-4] 지역 규모에 따른 교사전문성 영향 요인 특성 차이

분석 결과, 총학급수, 학생이해도와 같은 근무지역 특성은 도시 규모에 비례하였다. 2급 정교사 비율은 읍면지역이 가장 많았으며, 석박사 교원비율은 중소도시가 가장 낮아 지역별 구성하고 있는 인 적특성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학교 재직경력은 중소도 시와 대도시 간의 차이가 없어 교육청 별 전보제도의 영향력을 받 고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수석교사의 배치, 수업개선평균과 같은

7) 사후 검증으로는 Scheffe의 검증을 사용하여 제시하였다.

학교 내 제도의 구축정도는 지역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 다. 이를 종합해 볼 때, 첫째, 교사전문성에 영향을 주는 학교의 제 도적 특성은 지역 간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학교의 제도 적 특성의 분포가 차별적으로 분포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둘째, 학생의 교육적 열악한 환경은 읍면 지역, 중소도시를 중심으로 형 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학생의 수업이해도와 같은 학생의 사 회·경제적 배경과 같은 변인들은 기존의 선행연구와 큰 차이점이 없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경력 교사의 배치는 대도시, 중소도시, 읍 면지역 순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읍면지역일수록 학교 내 재직경력 이 낮게 나타나 학교의 운영과 전문성 형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을 보여주고 있다.

제 2 절 근무지역에 따른 교사전문성 영향 요인

이 장에서는 저경력 교사의 전문성인 교사효능감과 교사의 전문 성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2수준 위계적선 형모형(HLM)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문제에서는 근무지역별 교사효능감 및 교사전문성 개발에 미치는 영향 요인이 다른지를 파 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학교 소재지를 읍면지역, 중소도시, 대도시로 구분한 후 교사-학교로 나누어 2수준 위계적선형모형분 석(HLM)을 실시하였다.

이 장에서 활용하고 있는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모 형을 통해 읍면지역, 중소도시, 대도시간 평균적인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다. 이는 지역에 대한 교사의 평균적인 효과로 절편의 차이 는 지역 간 초기치가 다르다는 점을 제시할 수 있다. 둘째, 기초 모 형에 교사 특성을 통제하여 [모형 2]를 제시한다. 교사 개인 변인 통제 후에도 학교 간의 절편의 차이가 있다면, 개인 변인 외 학교

의 영향 요인이 존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모형 3]에서 시간 불변 학교 근무지역 특성을 통제한 모형을 투입하여 이를 분석하였 다. 학교가 가지고 있는 근무지역 여건에 따라 종속 변수에 대한 영 향 요인은 다르게 나타날 것이며, 해당 지역 내 학교 고유한 특성을 탐색하는 데 용이하다. 넷째, [모형 4]에서는 교사의 비율 등과 같은 학교 내 인적 특성이 영향 요인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모형 5]는 최종 모형으로서 학교의 제도적 자원을 투입하였으며, 학교 내 교사전문성과 관련된 정책, 맥락을 포함하는 전반적인 모형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 연 구문제에서 단계별 투입 변인에 대한 구체적인 결과는 [부록 1] ~ [부록 12]에 수록되어 있다.

Dalam dokumen 비영리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62-66)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