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교통수요 관리 강화

Dalam dokumen 인천광역시 시행계획(변경) (Halaman 128-133)

1) 자가용 일평균 주행거리 감축

(1) 사업개요

○ 2차 기본계획은 지자체별 특성에 맞는 다양한 교통수요관리 프로그램을 개발 하고 시행하여 자가용의 일일평균 주행거리를 2024년까지 2010년 대비 30%

감축을 목표로 하였으나, 현실적 여건과 국토교통부 계획을 포괄적으로 고려 하여 변경계획은 8% 감축을 목표로 함

○ 환경부는 산업, 에너지 분야에 적용하던 탄소포인트제를 2019년부터 자동차 부문까지 확대 적용하여 주행거리 단축 및 친환경 운전을 통해 온실가스를 감

▷ 일일평균 주행거리 감축에 의한 오염물질 삭감량(톤/년)

= 당해연도 승용차 전망배출량(톤/년) × 주행거리 감축 비율

2017년 2018년 2019년

4.00% 5.30% 6.70%

[표 3-39] 수도권 승용차 통행량 8% 감축 대책의 감축 비율

▮ 배출량 삭감효과

○ 자동차 일평균 주행거리 감축에 의한 누적삭감량은 2019년 기준으로 NOx 317톤, SOx 0.27톤, PM10 5.9톤, PM2.5 5.4톤, VOCs 51톤으로 예상됨

대상물질 2017년 2018년 2019년

PM10 4.7 4.7 5.9

PM2.5 4.4 4.3 5.4

NOx 201 247 317

SOx 0.16 0.21 0.27

VOCs 36 41 51

[표 3-40] 승용차 주행거리 감축에 의한 오염물질 삭감량

(단위: 톤/년)

2) 나홀로 자동차 감축 대책 추진

○ 나홀로 자동차 감축을 위해 ‘통근, 통학 버스’ 운영 활성화, 대중교통 편의성 향상 등을 통한 수송분담률을 제고함

○ 최근 인천광역시의 도시철도 확대 등으로 자가용 이용자 비율이 감소한 것으 로 보고 있으며 이를 더 확대할 계획임

3) 카쉐어링 제도 확대

○ 카쉐어링이란 자동차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각자 차를 소유하지 않고 그룹 을 형성, 몇 대의 차를 공동으로 보유하면서 회원가입을 통해 일정 요금을 내 고 차를 이용하는 제도임. 승용차 이용수요 또는 보유를 감소시켜, 궁극적으 로는 대중교통수단으로 전환시키는 효과가 있음

○ 인천광역시는 2013년 11월부터 카쉐어링 활성화 사업을 지원하고 있음. 2017 년 기준 327개소 854대였던 이용지점과 차량대수를 2018년 400개소, 1천대 로 늘릴 계획이며, 전기자동차 카셰어링도 도입할 예정임

4) 교통유발부담금 현실화 및 혼잡통행지역 운영

○ 상습 정체구간에 주차료 부과 등을 통해 교통유발부담금을 충당하고, 이를 대 중교통 활성화 대책에 재투입함

○ 혼잡통행지역 지정은 과도한 승용차수요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시설들이 밀집 해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교통혼잡의 특성 및 정도를 정확히 파악하여 교통혼 잡을 완화시킬 수 있는 적절한 대책을 수립하고 관리하기 위함임. 향후 혼잡통 행지역 운영 및 혼잡통행료(탄소부담금) 부과 등의 시행을 검토함

5) 기업체 교통수요관리 활성화

○ 대형 사업장을 중심으로 카풀/밴풀 지원, 탄력근무제, 출퇴근 시간제, 통근버 스운영, 대중 교통요금 지원 등 기업의 자율적 교통수요관리 프로그램 권고하 며 다양한 인센티브를 개발 하여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함

○ 공공기관의 참여율을 최우선으로 제고하며 대규모 건축물과 교통혼잡지역 건 축물의 교통수요관리 의무화를 추진함

○ 기업특성을 고려한 의무 프로그램 및 선택 프로그램을 병행하는 것을 검토함

6) 승용차 요일제 이용활성화

○ 2012년 1월1일부터 시행하고 있는 승용차 요일제의 대상차량은 인천 광역 시에 등록된 10인승 이하 비사업용 승용차를 대상으로 적용일은 월 ~ 금, 오 전 7시 ~ 오후 8시까지(토~일, 법정공휴일 제외), 시민이 자율적으로 일주일에 단 하루 운휴일을 선택하여 참여할 수 있음.

7) 자전거 이용 및 공공 자전거 프로그램 활성화

○ 인천시장은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및 「인천광역시 자전거 이용 활성화 및 자전거 주차장의 관리, 운영등에 관한 조례」에 따라 자전거이용 활 성화 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여야 함

○ 인천광역시는 제2차 인천광역시 지방대중교통계획(2013) 및 인천광역시 도시 교통정비 중기 계획 변경(2013) 등을 통해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해 자전거 도로 및 관련시설(자전거 주차시설 등) 확충계획을 수립하여 시행 중임

○ 인천광역시의 자전거 도로망 체계는 생활권 내에서 자전거가 하나의 교통수단 의 기능을 갖게 하는 생활밀착형 자전거 도로망으로 구축

8) 교통 ‧ 환경 개선 시스템

○ 버스정보제공시스템(BIS : Bus Information System)은 버스 이용자의 이용 편의를 위하여 실시간 버스운행정보를 수집하고 가공하여 버스 이용자에게 버 스 도착예정시각, 버스 노선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임

- 인천광역시는 2006년부터 3차에 걸쳐 버스정보시스템(BIS)을 구축하고 운 영하여 버스의 위치정보를 버스 이용자 및 인천시민에게 제공하고 있음 - 지능형교통시스템과 교통신호시설의 기반을 확충하여 교통정보를 실시간

제공함으로써 교통수요를 관리함

- 첨단교통관리시스템(ATMS) 확충, 교통안전 신호시설 확충정비, 교통정보 센터 운영 및 시스템 유지관리 등을 통해 교통 흐름을 개선함

9) 대중교통 기반확충

○ 인천광역시는 2018년 교통주권 핵심과제 실천계획을 통해 대중교통 기반을 확충하기 위한 계획을 아래와 같이 발표함

○ 대중교통 정보시스템 확대와 함께 시민의 생활편의를 제공하면서 대기오염물 질을 줄일 수 있는 기반이 됨

- 정부는 2018년 1월 스마트시티 시범도시를 선정하고 첨단 정보통신기술 (ICT)를 이용하여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 등 공공기능을 네트워크하는 사업 을 진행 중임

사업명 내용 총사업비(기간) 인천발 KTX 수인선 어천역 ~ 경부고속철도 연결

(3.5km) 3,833억원 (0218~2021)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B)

송도국제도시 ~ 서울 청량리 ~ 경기 마석 (80.08㎞)

5조 9,038억원 (2018~2025) 서울도시철도 7호선

석남 연장

부평구청역(1호선) ~ 백마장사거리 ~

석남역(2호선) (4.1㎞) 3,829억원 (2018~2020) 인천도시철도 1호선

송도 연장

국제업무지구역(인천1호선) ~

송도랜드마크시티 구간 (0.82km) 1,348억원 (2016~2020) 인천도시철도 1호선

검단 연장

계양역(인천1호선) ∼ 검단 신도시 구간

(6.9km) 7,277억원(2017~2024) 수도권 제2순환고속도로

(인천~안산) 조기건설

중구 신흥동 ~ 송도 ~ 시흥시 정왕동 (19.1km)

1조 1,256억원 (2016~2023)

검단산단 연계도로 확충 검단산단 ~ 안동포사거리 , (5.3km) 1,115억원 (2017~2021)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노오지 JCT 연결사업 계양구 귤현동 일원 729억원 (2017~2021) [표 3-41] 인천광역시 교통망 계획

자료 : 인천광역시 교통주권 핵심과제 실천계획

Dalam dokumen 인천광역시 시행계획(변경) (Halaman 128-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