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도심 VOCs 비산배출 관리강화 : VOCs 배출시설 확대
(1) 사업개요
○ 기존에 도장시설, 세정시설에 제한되어있던 VOCs 배출업종에 인쇄업을 추가 하여 인쇄공정 중 배출되는 VOCs 포집 및 관리 기준을 마련함. 국소포집방법 의 세부 기준, VOCs 처리설 비의 성능기준 및 비산배출허용기준 설정 등 구체 적인 기준을 설정함
○ 도장시설은 「대기환경보전법」에서 2015년부터 도장시설의 범위를 제조업, 자 동차 수리 업 등 일부 업종에서 모든 업종(용적 5 ㎥ 이상이거나 동력이 3마력 이상인 도장시설)으로 배출시설 적용범위를 확대 실시하는 것으로 법 개정이 이루어졌으며 이에 대한 배출시설 관리가 중요함
(2) 사업추진효과
▮ 삭감량 계산방법
○ 삭감량은 기본계획과 동일하게 당해연도 전망배출량에 삭감율을 곱하여 추정 하였으며, 삭감률은 30%로 가정함
▷ VOCs 비산배출 관리강화에 의한 오염물질 삭감량(톤/년)
= 해당연도 전망배출량(BAU)(톤/년) × 삭감률(30%)
[표 3-56] 도심 VOCs 전망배출량
대상물질 2017년 2018년 2019년
VOCs 4,048 4,066 4,087
[표 3-57] 도심 VOCs 비산배출 관리강화 삭감량
(단위: 톤/년)
2) 세탁소 유기용제 배출관리 강화
(1) 사업개요
○ 친환경 드라이클리닝 용제의 개발과 보급을 촉진하고 친환경 세탁소 인증제 등 관리 방안을 도입(‘17년) 지역공동재활용센터를 설치하여 세탁기 필터를 재생 또는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VOCs의 배출을 억제함
○ 밀폐형 세탁기를 80%까지 회수하고 기기 교체시 국비 지원하는 방안 (2) 사업추진효과
▮ 삭감량 산정방법
○ 삭감량은 당해연도 전망배출량에 기본계획에서 제시한 삭감률을 곱하여 산정 하였으며, 삭감률은 최대 74%로 가정함
▷ 세탁소 유기용제 관리 강화에 의한 오염물질 삭감량(톤/년)
= 해당연도 전망배출량(BAU)(톤/년) × 삭감률
※ 삭감률은 74% 예상
대상물질 2017년 2018년 2019년
VOCs 1,250 1,273 1,295
[표 3-58] 세탁소 유기용제관리 전망배출량
(단위: 톤/년)
▮ 배출량 삭감효과
○ 세탁소 유기용제 관리에 의한 삭감량은 변경계획 수립시기로 인해 2017년은 계산하지 않으 2018년 942톤, 2019년 958톤임
대상물질 2017년 2018년 2019년
VOCs - 942 958
[표 3-59] 세탁소 유기용제관리에 의한 삭감량
(단위: 톤/년)
3) 생활소비재 VOCs 함유기준 마련
(1) 사업개요
○ 생활소비재에서 배출되는 VOCs가 대기오염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환경부는 2014년 배출실태 조사 및 함유기준 마련을 위한 로드맵 수립 연구를 실시하였음. 그 결과 국내에서 사용되는 생활소비재에 함유된 VOCs 양이 미국 등 다른나라의 함유기준에 비해 10~30배 가까이 높은 것으 로 나타남
○ 생활소비재의 VOCs 배출량 저감을 위해 단계적으로 함유기준을 마련하여 시 행함
(2) 추진방안
○ 2017년 이후 접착제, 화장품 등 생활소비재에 함유되어 있는 VOCs의 배출 저 감을 위하여 VOCs 함유기준을 단계적으로 마련하여 생활소비재 부문에서의 VOCs 배출량을 저감함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관리대상 소비재 접착제, 방향제 화장품류 광택제, 탈취제
삭감가능량 총량대비 10% 삭감 총량대비 20% 삭감 총량대비 30% 삭감 [표 3-60] 생활소비재 연차별 VOCs 함유기준 관리계획
▷ 생활소비재 VOCs 함유기준 마련에 의한 오염물질 삭감량(톤/년)
= 해당연도 전망배출량(BAU)(톤/년) × 삭감률
※ 삭감률 : 총량대비 삭감률로서 ‘17년 10%, ’18년 20%, ‘19년 30% 예상
대상물질 2017년 2018년 2019년
VOCs 7,874 8,018 8,155
[표 3-61] 생활소비재 VOCs 전망배출량
(단위: 톤/년)
▮ 배출량 삭감효과
○ 생활소비재 VOCs 함유기준 마련에 의한 삭감량은 2019년 기준 4,893톤임
대상물질 2017년 2018년 2019년
VOCs 787 2,405 4,893
[표 3-62] 생활소비재 VOCs 함유 기준마련에 의한 삭감량
(단위: 톤/년)
4) 도료 VOCs 함량제한 및 수성도료 이용 확대
(1) 사업개요
○ 환경부는 환경친화형 도료 보급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VOCs 함유기준 적 용 도료를 확대하고 공공건물 및 아파트 건축시 수성도료 사용비율 확대 방안 을 마련함
(2) 추진방안
○ VOCs 함유기준 적용 도료를 현재 건축용, 자동차 보수용, 도로 표지용 등의 3종에서 공업용 도료인 선박용과 강교용 2종을 추가하여 5종으로 확대하고, 기존 3종 도료의 VOCs 함유기준을 2015년부터 강화함
○ 세계 인쇄문화산업계의 ISO14001(환경관리 시스템)이나 ISO16759(인쇄의 탄소발자국 측정) 등 환경 기준 관련 인증 도입, 무습수인쇄와 친환경 잉크 도 입 등의 추세에 따라 친환경 잉크의 개발, 생산과 이용 장려
(3) 사업추진효과
▮ 삭감량 산정방법
○ 대책 추진으로 삭감되는 VOCs 삭감량은 기본적으로 VOCs BAU 배출량에 삭감률을 곱하여 구하는데, 삭감률은 제품에 따라 4.3~60%로 가정함
▷ 도료 VOCs 함량 제한 삭감량
[건축·건물, 기타 비산업용, 기타 산업용] = (해당연도 전망배출량(BAU)(톤/년) - 친환경 도료 사용에 따른 삭감량) × VOCs 함량제한에 따른 삭감률(%) [기타용도(자동차 제조 수리)] = 해당연도 전망배출량(BAU)(톤/년) × 함량제 한에 따른 삭감률(%)
▷ 친환경 인쇄용 잉크 사용 및 도료사용 확대 삭감량
= 확대 대상 용도별 해당연도 전망배출량(BAU)(톤/년) × 함량제한에 따른 삭 감률(%)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친환경 잉크 및
도료
인쇄업 30% 30% 30%
기타산업용 30% 30% 30%
유기용제 함량제한
자동차 제조,수리 18% 18% 18%
건축,건물 43% 43% 43%
기타 산업용 4.3% 4.3% 4.3%
기타 비산업용 39% 39% 39%
코일코팅 60% 60% 60%
나무, 가구 제조 42% 42% 42%
[표 3-63] 도료 유기용제 함량 제한 및 수성도료 이용 확대 등에 대한 삭감률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계 15,994 16,071 16,162
건축 및 건물 2,996 3,016 3,040
자동차 수리용 453 456 459
자동차 제조 1,004 1,011 1,019
코일 코팅 7,033 7,082 7,137
나무, 가구 제조 1,951 1,965 1,980
기타 산업용 도장공정 1,205 1,213 1,223
기타 비산업용 도장공정 294 296 299
인쇄업 1,057 1,032 1,005
[표 3-64] 도료 유기용제 함량제한 대상 용도별 도료 VOCs 전망배출량 (단위: 톤/년)
▮ 배출량 삭감효과
○ 도료 VOCs 함량제한 및 수성도료 이용 확대 등에 의한 2019년 기준 VOCs 삭 감량은 7,509톤임
대상물질 2017년 2018년 2019년
VOCs 7,420 7,461 7,509
[표 3-65] 도료 VOCs 함량제한 및 수성도료 이용확대에 의한 삭감량 (단위: 톤/년)
5) 가정용 저녹스 보일러 교체 지원 및 판매 ‧ 공급 의무
(1) 사업개요
○ 기존 NOx 배출농도가 높은 가정용 보일러를 친환경 보일러(가정용 저녹스 버너 등)로 교체시 보조금 지원으로 보급을 활성화함
- 보조금 지원 대상 저녹스보일러의 NOx 기준을 2015년 이후 30ppm, 2018 년 이후 20ppm 으로 단계적 강화함(현재 가정용 일반보일러의 NOx 배출농 도는 약 100ppm임)
(2) 추진방안
○ 가정용 보일러의 NOx 배출허용기준을 설정(2014년)하여 2021년부터는 배출 허용기준을 만 족하는 보일러만 판매·공급할 계획임(저녹스 보일러 NOx 배출 허용기준 단계적 강화)
○ 2차 수도권 기본계획(변경)에서는 가정용 보일러 교체 지원사업을 통해 수도권에 총 10만대(2017~2020년) 보급하는 것으로 계획을 수립함
구분 (대) 2017년 2018년 2019년
물량 1,250 7,060 7,125
[표 3-66] 가정용 저녹스보일러 교체 계획
(3) 투자계획
○ 가정용 저녹스 보일러 교체 지원사업의 단위 사업비는 기본계획 변경계획에서 제시한 16만원/대를 적용하였고 국비와 지방비를 각각 50% 비율로 분담함
구분 (백만원) 계 2017년 2018년 2019년
가정용 저녹스 보일러 교체지원
소계 2,470 200 1,130 1,140
국비 1,235 100 565 570
지방비 1,235 100 565 570
[표 3-67] 가정용 저녹스보일러 교체 지원 예산
(4) 사업추진효과
▮ 삭감량 산정방법
○ 대책 추진으로 인한 VOCs 삭감량은 교체 물량에 단위저감량을 곱해서 구함
▷ 가정용 저녹스보일러 교체에 의한 삭감량(톤/년)
▮ 배출량 삭감효과
○ 가정용 저녹스 보일러 보급에 의한 삭감효과는 2019년 기준 NOx 57톤임
대상물질 2017년 2018년 2019년
NOx 6 31 57
[표 3-68] 가정용 저녹스보일러 교체에 의한 삭감량
(단위: 톤/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