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년의 전망 배출량과 목표 배출량은 다음 표와 같음
○ 인천광역시는 시행계획(변경)을 통해 전망배출량 대비 PM10 14%, PM2.5 17%, NOx 21%, SOx 3%, VOCs 40%를 감축하여야 함
구 분
PM10 PM2.5
NOx SOx VOCs
비산 포함
비산 제외
비산 포함
비산 제외
2019년 전망 배출량
수도권 47,201 12,410 16,063 10,493 318,863 38,513 318,432 서울 10,183 1,625 2,801 1,433 66,057 4,714 72,738 인천 7,062 2,160 2,552 1,746 43,477 14,943 52,257 경기 29,956 8,625 10,710 7,314 209,330 18,855 193,438
2019년 목표 배출량
수도권 41,471 9,770 13,547 8,503 263,757 32,535 149,950 서울 8,520 1,174 2,209 1,046 49,613 4,043 29,208 인천 6,047 1,743 2,111 1,405 34,448 14,430 31,202 경기 26,904 6,853 9,227 6,053 179,697 14,062 89,540
[표 2-10] 2019년 전망 배출량 및 목표배출량
(단위: 톤/년)
제3절 세부대책 수립방향 및 개요
○ 인천광역시 시행계획은 수도권 대기환경 여건의 특성상 서울특별시 및 경기도 와 연계하여 추진함. 세부대책은 2차 수도권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 변경계획 에 근거하되, 인천지역 특성을 고려하여 수립하였음
○ 인천광역시 시행계획의 세부대책은 자동차 관리, 배출시설 관리, 생활주변 배 출원 관리, 과학적 기반 조성 및 시민참여 확대 등 총 4대 분야, 11개 과제로 구분하여 구성하였음
분야 과제
배출시설 관리
대기오염물질 총량관리제 강화 총량사업장 외 배출시설 관리
자동차 관리
친환경자동차 보급확대 제작차 배출허용기준 및 사후관리 강화
운행차 배출가스 관리 강화 비도로 이동오염원 관리
교통수요 관리 강화
생활주변 배출원 관리
생활주변 VOCs, NOx 배출원 관리 강화 생활주변 미세먼지 관리 강화
과학적 관리기반 조성 및 시민참여 확대
과학적 관리기반 조성 시민 홍보 및 참여 확대 [표 2-11] 인천광역시 시행계획 세부대책 개요
대기환경개선을 위한 관리대책
제1절 일반현황
제2절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현황 및 전망
제3절 세부대책 수립방향 및 개요
제3장 인천광역시 대기환경개선을 위한 관리대책
제1절 배출시설 관리대책
1. 대기오염물질 총량관리제 강화
1) 사업개요
○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사업장 총량관리제 및 배출권 거래제는 시장경제에 기반 을 둔 정책으로 고정 배출원인 개별 사업장별로 배출허용총량을 부여하는 것 을 기본으로 함. 또한 배출 허용총량을 부여받은 개별 사업장은 실제 배출량이 배출허용총량 이하가 될 수 있도록 이행하는 것을 의무로 하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배출권 거래제 및 오염물질 배출저감사업 등을 시행하여야 함
○ 대기오염물질 총량관리제 강화대책의 대상오염물질은 질소산화물(NOx)과 황 산화물(SOx)이며, 2018년부터 먼지를 추가하기로 함. 총량관리제 전반의 운 영, 관리 및 감독 업무는 환경부 수도권대기환경청이 담당하고 인천광역시는 배출시설의 인허가와 관리 및 감독 업무를 담당함
○ 2차 수도권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에서는 대기오염물질 총량관리제 강화를 위해 총량관리제 대상 사업장 확대, 최적방지시설 기준강화, 지역별 배출허용 총량 할당, 단계적 유상할당 전환 등을 제시함
2) 추진방안
(1) 총량관리제 대상 사업장 확대
○ 총량관리 대상 사업장을 기존 1, 2종에서 연간 질소산화물을 4톤 이상 배출하 는 3종 사업장(44개)까지 확대 적용함
수도권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 시행규칙 제17조 법 제14조에 따라 사업장설치의 허 가를 받아야 하는 자의 배출량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와 같다.
1. 연간 질소산화물 배출량이 4톤 초과 2. 연간 황산화물 배출량이 4톤 초과 3. 연간 먼지 배출량이 0.2톤 초과
종별 오염물질발생량 구분
1종 사업장 대기오염물질 발생량의 합계가 연간 80톤 이상인 사업장
2종 사업장 대기오염물질 발생량의 합계가 연간 20톤 이상 80톤 미만인 사업장 3종 사업장 대기오염물질 발생량의 합계가 연간 10톤 이상 20톤 미만인 사업장 4종 사업장 대기오염물질 발생량의 합계가 연간 2톤 이상 10톤 미만인 사업장 5종 사업장 대기오염물질 발생량의 합계가 연간 2톤 미만인 사업장
[표 3-1] 대기오염물질 배출 사업장 분류(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 제13조)
○ 2017년 3월 기준 인천광역시의 대상사업장은 총 75개이며 1단계 31개, 2단계 28개, 3단계 17개 순임
구분 계 1단계 2단계 3단계 중복
계 411 107 174 149 19
서울 38 8 33 20 1
인천 75 31 28 17 1
경기 298 68 135 112 17
[표 3-2] 수도권 총량관리사업장 현황(2017.3 기준)
자료: 한국환경공단
(2) 배출허용량 감축
○ 인천광역시는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많은 31개 사업장의 NOx, SOx 배출허 용총량을 향후 5년간 각 19~26% 감축하기로 함에 따라 NOx는 2017년 1만4 천233톤에서 2022년 1만538톤으로, SOx는 8천5톤에서 6천496톤으로 각각 줄여서 책정함
(3) 지역별 배출허용총량 할당
○ 기존 기본계획 수립 시 배출허용량은 실제 배출량을 근거로 산정한 할당계수 를 적용하였으나, 2017년 3차 할당 시에는 할당계수단위량을 6년 최대에서 5 년 평균으로 적용하여 산정하였음
○ 지역별로 경제 상황에 따른 사업장의 활동도 증가 등을 고려하여 예상배출량 의 10%를 합산하여 지역별 배출허용총량을 할당함. 여기서 수도권 배출허용 총량의 5%(NOx), 3%(SOx)를 정부 예비분으로 보유함
시‧도별 배출허용총량 = 각 지역별 예상배출량 + 예상배출량의 10%
○ 대상사업장이 할당된 배출허용총량 이내로 배출하는 경우 잔여량의 이전(배출 권 거래) 및 차기년도 이월이 가능하도록 하고 대기오염 배출부과금 면제, 최 적방지시설 및 굴뚝 자동측정기 실치·운영시 재정기술 지원 등의 인센티브를 부여함
○ 배출량 관리를 위해 굴뚝자동측정기기, 연료유량계 등을 설치하여 매월 배출 량을 관리하고 초과배출량에 대해서 총량 초과과징금 부과 및 다음연도 배출 허용총량에서 감량
(4) 사업추진효과
▮ 삭감량 산정방법
○ 삭감량은 총량관리제 강화에 의한 삭감량은 2차 기본계획 변경계획 수립자료 의 무대책시 전망배출량과 예상배출량의 차이로 산정함
○ 인천의 총량관리제 대상 사업장의 전망배출량은 2019년 기준 NOx 14,025톤, SOx 7,027톤으로 2017년 대비 각각 6.7%, 3% 증가함
▷ 대기오염물질 총량관리제 강화에 의한 오염물질 삭감량(톤/년)
= 무대책시 해당연도 전망배출량(톤/년) - 해당연도 예상배출량(톤/년)
대상물질 2017년 2018년 2019년
NOx 13,144 13,966 14,025
SOx 6,825 6,995 7,027
[표 3-3] 사업장총량제 무대책시 전망배출량
(단위: 톤/년)
▮ 배출량 삭감효과
○ 총량관리제 강화에 의한 삭감량은 2019년 기준으로 NOx 1,693톤, SOx 385 톤으로 예상됨
대상물질 2017년 2018년 2019년
NOx 1009 1350 1,693
SOx 54 226 385
[표 3-4] 대기오염물질 총량관리제 강화에 의한 연도별 삭감량
(단위: 톤/년)
2. 총량사업장 외 배출시설 관리 강화
1) 배출허용기준강화 및 신규배출시설 추가
(1) 사업개요
○ 총량규제 미대상 사업장은 「대기환경보전법」의 배출허용규제를 적용받음. 배 출허용기준의 단계적 강화, 신규배출시설 추가를 통해 사업장이 오염물질을 허용기준 이내로 관리하도록 유도하여 배출량을 삭감하는 방안임
(2) 추진방안
○ 2016년 ‘미세먼지 관리 특별대책’에 따라 신규 석탄발전소의 배출허용기준을 영흥화력 수준으로 강화하고, 비산배출 관리제도 대상 업종을 총31종으로 확 대함
○ 환경부는 2017년 9월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의 후속조치로서 최근 「대기환 경보전법 시행규칙」 일부 개정을 통해 석탄화력발전소 및 미세먼지 다량배출 사업장(제철·석유정제·시멘트)의 먼지·황산화물·질소산화물에 대한 배출허용 기준을 강화하기로 함
- 기존 발전소의 NOx 배출농도 기준을 70~140ppm에서 50~70ppm으로 하 향하는 것을 핵심 내용으로 하며, 개정안은 2019년부터 적용됨
(3) 사업추진효과
▮ 삭감량 산정방법
○ 배출허용기준 강화에 의한 오염물질 삭감량은 다음과 같이 대상 사업장의 해당 연도 전망배출량에 오염물질별 삭감률을 적용하여 산정함. 물질별 삭감률은 기존 배출시설의 배출허용기준 강화율을 고려하여 NOx는 20%로 하고 SOx, PM10, PM2.5는 25%로 가정함
▷ 배출허용기준 강화에 의한 오염물질 삭감량(톤/년)
= 해당연도 전망배출량(BAU) (톤/년) × 삭감률
※ 삭감률 : NOx (20%), SOx, PM10, PM2.5 (25%)
구분 대상물질 2017년 2018년 2019년
총량사업장 전망배출량
NOx 300 304 308
SOx 13 13 13
PM10 966 978 989
PM2.5 748 754 761
[표 3-5] 배출허용기준 강화 대책의 전망배출량
(단위: 톤/년)
▮ 배출량 삭감효과
○ 배출허용기준 강화에 의한 삭감량은 2019년 기준으로 NOx 62톤, SOx 3톤, PM10 247톤, PM2.5 190톤임
구분 대상물질 2017년 2018년 2019년
배출허용기준 강화 삭감량
NOx 60 61 62
SOx 3 3 3
PM10 242 245 247
PM2.5 187 189 190
[표 3-6] 배출허용기준 강화 대책의 삭감량
(단위: 톤/년)
2) 소형 소각시설 관리
(1) 사업개요
○ 폐기물 자가처리, 방지시설 미비 등으로 고농도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소 형 소각시설 (200kg/hr 미만)을 관리하기 위해 중대형 소각시설(200 ㎏ /hr 이상)의 배출허용기준에 준 하는 기준을 적용하여 관리를 강화하며, 소형 소각
구분(운영주체) 소형 (~200kg/hr)
중형 (200kg/hr~2ton/hr)
대형
(2ton/hr~) 합계 지방자치단체(개소) 6 (옹진군) 1 (강화군) 2 (청라, 송도) 9 자가처리업체(업체)
- 사업장폐기물 9 3 1 13
[표 3-7] 인천광역시 소각시설 현황
자료 : 환경부‧한국환경공단(2017), 2016년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2) 추진방안
○ 2015년 강화된 배출허용기준 및 신규 배출시설 추가되어 적용됨. 배출허용기 준은 신규 배출시설의 경우 2010년 대비 30~60%, 기존 배출시설은 20~25%
강화함. 벤젠과 포름알데히드 등 특정대기유해물질을 연간 10톤 이상 배출하 는 사업장 관리기준도 50% 강화됨
○ 신규 배출시설은 가스(LNG), 경질유 사용 보일러 등 간접가열시설과 고형연 료제품 제조시설, 석탄가스화시설 등이 추가되었으며 배출허용기준을 신설하 여 관리함
(3) 사업추진효과
▮ 삭감량 산정방법
○ 소형 소각시설 관리에 의한 삭감량은 2019년까지 200㎏/h 이하 소각시설을 점진적 폐쇄 (50% 폐쇄 가정)하고 방지시설이 완비된 대형 소각시설로 소각물 량을 이전하는 것을 가정 하여 대형시설에서의 방지시설 효율을 적용하여 산 정함
▷ 소형 소각시설 관리에 의한 오염물질 삭감량(톤/년)
= 해당연도 전망배출량(BAU)(톤/년) × 삭감계수
※ 삭감계수(= 1-(중·대형 소각시설 배출허용기준/소형 소각시설 배출허용기준)
○ 소형 소각시설의 삭감계수와 전망배출량은 아래 표와 같음
구 분 PM10 PM2.5 NOx SOx
삭감계수 0.5 0.5 0.22 0.4
[표 3-8] 소형소각시설 물질별 삭감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