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굿거버넌스와 한국 적용

위의 살펴본 문제점을 고려한다면 기존의 굿거버넌스를 한국에 바로 적 용하는 것은 어렵다. 먼저 굿거버넌스 개념은 원조를 받는 개발도상국가에 초점을 맞춘 개념이기 때문에 선진국 진입 단계에 있는 한국에 적용하기는 어렵다. 또한 선진국에 맞춘 거버넌스의 개념도 적절하지 않을 수도 있다.

27_Derick W. Brinkerhoff and Arthur A. Goldsmith. “Institutional Dualism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A Revisionist Interpretation of Good Governance,”

Administration & Society, 37(2) (May 2006) 참고.

28_Jennifer M. Coston, “Administrative Avenues to Democratic Governance: The Balance of Supply and Demand,” Public Administration and Development, 18(5) (1998), p. 483.

한 예로 민주화 이후 시민사회가 급속도로 활성화되었지만 아직도 재정, 조직, 전문성 측면에서 서구 시민사회에 비해 많이 부족하다. 즉, 위에서 언 급한 수요거버넌스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는 분야도 발견되고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굿거버넌스는 각 분야별, 이슈별로 동일한 기준을 적용 될 수 없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외교안보 분야의 경우 다른 분야보다 시민 의 참여나 정보가 제한될 수밖에 없다. 반면 사회문화 분야의 경우 새로운 이슈를 제안하거나 문제를 발견하는 역할은 시민사회 즉 아래로부터의 거 버넌스가 더욱 중요할 것이다. 초국적 거버넌스도 정책수준과 정책결정과 정에 따른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연구에 따르면 집권형의 전통적 정책 인 외교안보정책의 경우 정책과정의 전 분야에서 정부의 역할이 강하게 작 용하고 있다. 반면 분권형의 환경정책의 경우 의제설정, 정책결정 및 정책집 행의 전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거버넌스적 형태를 보이고 있다.

<표 III-6> 정책수준과 정책과정에 따른 초국적 거버넌스의 양태

정책수준 정책의 예 의제설정 정책결정 정책집행

거시수준(상위정치) 외교안보정책 보통 매우낮음 보통

중간수준 복지정책 보통 낮음 보통

미시수준(하위정치) 환경정책, 기술표준 높음 보통 높음

출처: Edgar Grande and Louis Pauly, “Complex Sovereignty and the Emergence of Transnational Authority,” Edgar Grande and Louis W. Pauly ed., Complex Sovereignty: Reconstituting Political Authority in the Twenty -first Century (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5), p. 292의 표를 재편성함.

최근 거버넌스의 발전에 있어 국가의 역할을 강조하는 연구들이 등장하 고 있다. 그란데와 폴리는 초국적 범위에서 거버넌스의 형태를 발견할 수 있지만 거버넌스 발전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국가라고 주장한 다.29 초국적 자본의 이동에도 불구하고 조세권을 독점하고 있는 국가는 재 정 자원에 특권적 지위를 점유하고 있으며, 여전히 집단적 구속력을 가진

29_Edgar Grande and Louis Pauly, “Complex Sovereignty and the Emergence of Transnational Authority.” 참고.

정책결정을 집행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갖추고 있다. 또한 국가 제도들은 국제기구나 정책네트워크보다 훨씬 많은 정통성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국 가를 초월한 거버넌스의 성공은 기본적으로 거버넌스에 참여하는 국가 자체 에 달려 있다. 다른 국가와 협력하겠다는 국가의 의지와 능력은 초국적 정책 레짐의 출현과 효율성에 대한 결정적인 전제조건이며, 협력에 대한 국가의 의지와 능력은 당연히 주어진 것으로 단순하게 상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30 위에서 살펴본 한반도 평화, 번영거버넌스 실태조사의 결과(<표 Ⅱ-9>)에 서도 국가의 역할이 강화된 메타거버넌스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 라서 굿거버넌스는 개념의 모호성, 한국 적용의 어려움, 국가 기능의 중요성 을 감안한다면 한반도 평화거버넌스의 모델로 삼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고 평가내릴 수 있다.

30_그란데와 폴리(Grande & Pauly 2005)의 책을 요약 정리한 김국신의 복잡계연구 회 발제문을 참고하였음.

IV. 네트워크 거버넌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