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6-1> 재해자수 및 사망자수 다발 상위 설비·기계
순위 기계․기구 순위 기계․기구
1 공작기계 19 분쇄기, 파쇄기
2 프레스 20 가스용접장치
3 지게차 21 사출기
4 식품가공기계(혼합, 분쇄, 교반) 22 기타 금속가공기계 5 상세정보 부족한 일반제조 및
가공설비·기계 23 펌프 등 이송 및 압축설비
6 크레인 24 리프트(인양설비)
7 비산업용 가열, 세탁,
청소기계기구 25 배합, 혼합기
8 기타 식료품 제조 설비·기계 26 기타 섬유, 의복, 가죽 생산기계
9 컨베이어 27 기타 목재가공기계
10 백호 28 기타 일반제조 및 가공 설비·기계 11 상세정보 부족한 설비·기계 29 동력식대차
12 상세정보 부족한 인양설비·기계 30 콘크리트펌프카 13 상세정보 부족한 조립, 포장,
용접 등 설비·기계 31 기타 조립, 포장, 용접 등 설비·기계
14 승강기 32 로
15 분류되지 않은 배관 및 부속물 33 저장탱크, 용기_비압력용 16 분류되지 않은 기타 운반,
인양설비·기계 34 폐가스·집진, 폐기물 처리설비 17 기타 화합물, 요업토석가공기계 35 기타 가열, 에너지 등
부대·지원설비 18 분류되지 않은 기타 설비·기계
업무상 사고로 인한 재해의 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재해자수 대비 사망자수의 비 율을 보면 최근 5년간 설비·기계에서 88,213명의 재해자 및 1,459명의 사망자가 발 생하여 그 비율이 1.65%로 나타난다. [그림 6-2] 및 [그림 6-3]은 최근 5년간 설비·
기계의 재해자수 및 재해자수 대비 사망자수의 비율을 나타낸 것으로 그림의 왼쪽 축은 재해자수 오른쪽 축은 재해자수 대비 사망자수 비율(%)를 나타낸 것이다.
표에 따르면 절대적인 재해자수가 적을수록 사망자 비율이 높은 경향이 많으며 재 해자수가 증가할수록 사망자수 비율이 낮게 나타나 사망자수 비율이 높다고 위험도 가 높다고 판단하기에 어려우며 재해자수와 사망자수 사이의 상관관계를 특정하기 곤란하다.
발파기의 경우 최근 5년간 재해자수가 2명에 불과하나 재해자 모두 사망사고로 이 어질 정도로 높은 사망위험도를 보이며 크렘셀, 파워쇼벨, 모우터 그레이더 등 건설 기계류는 연간 재해자수는 10명 미만으로 적으나 사망자수 비율이 아주 높다.
• 재해자 및 사망자 다발 상위 설비·기계 중 재해자수 대비 사망자수 상위 30%
인 설비·기계
- 기타 가열·에너지 등 부대·지원 설비, 로, 백호, 분류되지 않은 기타 운반·인 양설비·기계, 분쇄기, 파쇄기, 승강기, 저장탱크·용기_비압력용, 폐가스·집진, 폐기물 처리설비 등 8종이다.
[그림 6-2] 최근 5년간 설비·기계에 기인한 재해자수(명) 및 재해자수 대비 사망자수
비율(%)
[그림 6-3] 최근 5년간 설비·기계에 기인한 재해자수(명) 및 재해자수 대비 사망자수
비율(%)(구간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