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머) 인체 감지용 보호장치
20) 9), 10), 11)항에 언급된 기계의 안전장치로 사용하도록 설계된 동력식 연동 이동식가드
21) 안전기능을 보장하기 위한 로직유닛 22) 넘어짐 보호기구(ROPS).
23) 낙하물 보호기구(FOPS).
2.1.2. 후생노동대신이 정하는 규격 또는 안전장치 구비대상
1) 고무, 고무화합물 또는 합성수지를 연화하는 롤러기 및 그 급정지 장치 2) 제2종 압력용기 (제1종 압력용기 이외의 압력용기로서 정령으로 정하는 것) 3) 소형보일러
4) 소형압력용기 (제1종 압력용기 중 정령으로 정하는 것) 5) 프레스기 또는 전단기의 안전장치
6) 방폭구조 전기기계기구
7) 크레인 또는 이동식 크레인의 과부하방지장치 8) 방진마스크
9) 방독마스크
10) 목공가공용 둥근톱 및 그 반발 예방장치 또는 날접촉 예방장치 11)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프레스기계
12) 교류아크용접기용 자동전격방지장치 13) 절연용 보호구
14) 절연용 방어구
15) 안전모
16) 전동팬 부착 호흡보호구
위 “2.1.2 후생노동대신이 정하는 규격 또는 안전장치 구비대상”에 대하여 개별 검정 또는 형식검정을 받도록 하고 있다.
2.1.3. 개별검정 대상
1) 고무, 고무화합물 또는 합성수지를 연화하는 롤러기 급정지장치 중 전기적 제 동방식의 것
2) 제2종 압력용기 3) 소형보일러 4) 소형압력용기
2.1.4. 형식검정 대상
1) 고무, 고무 화합물 또는 합성수지를 연화하는 롤러기 및 그 급정지 장치 중 전기적 제동방식 이외의 제동방식의 것
2) 프레스기 또는 전단기의 안전장치 3) 방폭구조 전기기계기구
4) 크레인 또는 이동식 크레인의 과부하방지장치 5) 방진마스크
6) 방독마스크
7) 목공가공용 둥근톱 및 그 반발 예방장치 또는 날접촉 예방장치 8)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프레스기계
9) 교류아크용접기용 자동전격방지장치 10) 절연용 보호구
11) 절연용 방어구
12) 안전모
13) 전동팬 부착 호흡보호구 2.2. 정기자주검사 대상품목
사업주는 보일러 등의 기계·기구에 대하여 자격을 갖춘자 또는 검사업체에게 정 기적으로 자체검사를 실시하게하고 그 결과를 기록하여 두어야한다.
1) 보일러
2) 제1종 압력용기(압력용기인 정령으로 정하는 것) 3) 크레인(인양하중 3톤 이상)
4) 이동식 크레인(인양하중 3톤 이상) 5) 데릭(인양하중 2톤 이상)
6) 엘리베이터(적재하중 1톤 이상)
7) 건설용 리프트(가이드레일의 높이가 18미터 이상, 적재하중 0.25톤 미만은 제 외)
8) 곤돌라
9) 활선작업용 장비(직류에 칠백오십 볼트, 교류 육백볼트 이상의 충전전로에 사 용되는 것에 한한다.)
10) 활선작업용 기구(직류 칠백오십 볼트, 교류 삼백볼트 이상의 충전 전로에 대 해 사용되는 것에 한한다.)
11) 포크리프트
12) 리프팅 하중이 0.5톤 이상 3톤 미만의 크레인
13) 리프팅 하중이 0.5톤 이상 3톤 미만의 이동식 크레인 14). 리프팅 하중이 0.5톤 이상 2톤 미만의 데릭
15) 적재 하중이 0.25톤 이상 1톤 미만의 엘리베이터
16) 가이드 레일의 높이가 10미터 이상 18미터 미만의 건설용 리프트 17) 적재 하중이 0.25톤 이상의 간이리프트
18) 쇼벨로우더 19) 포크로우더 20) 스트래드캐리어 21) 부정지 운반차
22) 작업바닥 높이가 2미터 이상의 고소작업차 23) 제2종 압력용기
24) 소형보일러 25) 소형압력용기
26) 절연용 보호구(직류 칠백오십 볼트, 교류 삼백볼트 이상의 충전 전로에 대해 사용되는 것에 한한다)
27) 절연용 방어구
28) 동력으로 구동되는 프레스 29) 동력으로 구동되는 전단기 30) 동력으로 구동되는 원심기계
31) 화학설비(배관을 제외)및 그 부속설비 32) 아세틸렌 용접장치 및 가스 용접장치 33) 건조설비 및 그 부속설비
34) 동력차 및 동력으로 추진되는 장전장치에서 레일에 의한 사람 또는 짐을 운 반하는 일에 제공되는 것
35) 국소배기장치, 푸시풀형 환기장치, 수진장치, 배기가스 처리장치 및 배액처리 장치
36) 특정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
37) 감마선조사 장치로 투과사진의 촬영에 사용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