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5-6> 최근 5년간 자율안전확인의 신고 대상관련 재해자수, 사망자수 및 근로손실일수
구분 재해자수 사망자수 근로손실일수/1건
계 15,888 158 277.1
연삭기 또는 연마기 861 4 228.5
산업용로봇 179 10 551.4
혼합기 516 13 428.8
파쇄기 또는 분쇄기 638 28 607.4
식품가공기계 5,454 11 196.8
컨베이어 2,511 52 357.0
자동차정비용
리프트 537 19 423.9
공작기계 3,773 16 229.1
목재가공기계 1,159 4 299.8
인쇄기 260 1 270.7
기압조절실 0 0 0.0
3.3. 안전인증·안전검사등 현황 및 대상 보유현황 조사결과
3.3.1. 최근 5년간 안전인증·안전검사등 현황
위험기계·기구와 관련한 안전검사 등의 업무는 1991년 검사제도 시행 이래로 고용노 동부에서는 관련 업무를 안전공단에서 위탁하여 수행하였으나, 2009년부터 추가적으 로 3개의 기관을 추가하여 실시하고 있으며 관련 기관 및 현황은 <표 5-7>에서 <표
5-10>과 같다. 다만, 자율안전확인의 신고와 관련한 업무는 안전공단에서만 실시하고
있다.
<표 5-7> 안전인증 및 안전검사 기관
기관명 안전인증 안전검사
안전공단 전품목 전품목(15종)
한국승강기안전공단 크레인, 리프트, 고소작업대, 곤돌라 전품목(15종) 대한산업안전협회 크레인, 리프트, 고소작업대, 곤돌라 전품목(15종)
한국안전기술협회 - 전품목(15종)
<표 5-8> 최근 5년간 안전인증 현황
구분 계
부적합율(%)
적합 부적합
계 442,867 3,087 0.7
프레스 4,444 107 2.4
전단기 597 9 1.5
절곡기 971 10 1.0
크레인 150,503 1,053 0.7
리프트 54,118 580 1.1
압력용기 186,123 904 0.5
롤러기 290 20 6.9
사출성형기 4,923 115 2.3
고소작업대 25,497 151 0.6
곤돌라 15,200 126 0.8
기계톱 201 12 6.0
<표 5-9> 최근 5년간 안전검사 및 자율검사프로그램인증 현황
구분 계
불합격율(%)
합격 불합격
합계 1,427,606 25,374 1.8
프레스 166,162 2,571 1.5
전단기 18,878 386 2.0
크레인 460,412 15,171 3.3
리프트 62,347 2,189 3.5
압력용기 580,107 4,130 0.7
곤돌라 13,636 70 0.5
국소배기장치 7,638 97 1.3
원심기 5,118 102 2.0
화학설비 619 14 2.3
건조설비 10,945 4 0.0
롤러기 6,734 107 1.6
사출성형기 93,228 396 0.4
고소작업대 1,750 137 7.8
컨베이어 3 0 0.0
산업용 로봇 29 0 0.0
<표 5-10> 자율안전확인의 신고 현황
구분 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계 56,457 13,053 10,381 11,333 11,659 10,031
연삭기 또는 연마기 1,309 508 268 190 197 146 산업용 로봇 17,812 5,077 4,139 2,837 4,243 1,516
혼합기 2,735 99 378 641 729 888
파쇄기 또는 분쇄기 944 179 149 169 215 232 식품가공기계 693 91 158 145 127 172
컨베이어 22,691 3,347 4,384 6,389 3,941 4,630
자동차정비용 리프트 184 65 14 57 26 22
공작기계 9,542 3,524 780 815 2,126 2,297
고정형 목재가공용기계 297 108 84 19 20 66
인쇄기 230 42 27 71 32 58
기압조절실 7 0 0 0 3 4
3.3.2. 안전인증·안전검사 대상 보유현황
안전인증 및 안전검사대상 보유현황은 매5년마다 안전공단에서 주관하여 실시하는
“작업환경실태조사” 결과에 따랐으나 복잡하고 다양한 기계·기구의 현 실태를 감안할
때 자료의 신뢰도는 떨어진다고 생각되나 보유현황의 추이를 판단하고 대략적인 규모 를 파악 하는 데는 유용할 것이다.
<표 5-11> 및 <표 5-12>의 안전인증·안전검사등 대상 보유현황에 따르면 전체적인 대상 보유현황이 지속적이며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10년 전과 비교하여 보유량이
2배 가까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로 미루어 산업화가 지속되고 이로 인한 위험
이 증가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표 5-11> 안전인증·안전검사 대상 보유현황
구분 2,014년 2,009년 2,004년 1,999년 1,993년
계 844,654 468,102 425,043 287,888 202,515
프레스 84,115 61,917 65,781 63,705 61,453
전단기 및
절곡기 25,253 13,160 29,589 19,111 21,143
크레인 206,367 130,657 106,753 85,513 83,647
리프트 28,609 12,040 8,104 7,029 2,239
압력용기 193,627 99,503 63,926 44,320 18,690
롤러기 4,220 2,765 3,282 4,619 15,136
사출성형기 53,518 36,729 35,431 23,503 0
곤돌라 4,723 4,963 2,414 1,133 207
기계톱 2,437 0 0 0 0
국소배기장치 72,092 72,611 83,844 0 0
원심기 3,086 1,725 4,506 22,890 0
건조설비 17,527 7,710 21,413 16,065 0
컨베이어 111,787 0 0 0 0
산업용 로봇 37,293 24,322 0 0 0
<표 5-12> 자율안전확인의 신고 대상 보유현황
구분 2014년 2009년 2004년 1999년 1993년
계 494,627 24,322 - - -
연삭기 또는
연마기 50,967 - - - -
산업용 로봇 37,293 24,322 - - -
혼합기 30,096 - - - -
파쇄기 또는
분쇄기 20,880 - - - -
식품가공기계 14,618 - - - -
컨베이어 111,787 - - - -
자동차정비용
리프트 1,343 - - - -
공작기계 202,538 - - - -
목재가공기계 12,943 - - - -
인쇄기 12,149 - - - -
기압조절실 13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