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안전인증·안전검사등 대상 관련 재해발생 위험도

• 사망률 1% 이하

- 식품가공기계, 프레스, 목재가공기계, 인쇄기, 공작기계, 연삭기 또는 연마기, 기계톱, 롤러기 등 8종

[그림 6-5] 최근 5년간 안전인증·안전검사등 대상의 재해자수(명) 및 재해자수

대비 사망자수 비율(%)

설비·기계와 관련한 재해1건당 근로손실일수는 339.7일로 안전인증·안전검사등 대 상과 관련한 재해로 인한 평균 근로손실일수 421.3일 보다는 낮으며 자율안전확인 의 신고 대상 관련재해로 인한 평균 근로손실일수 277.1일보다 높다..

설비·기계관련 평균 근로손실일수는 339.7일이며 [그림 6-6]은 안전인증·안전검사등 대상의 재해1건당 평균 근로손실일수를 나타낸 것으로 고소작업대의 재해1건당 근 로손실일수가 1344.2일로 설비·기계의 평균 근로손실일수 보다 3배 이상 높다.

• 안전인증·안전검사등 대상의 재해1건당 평균 근로손실일수가 설비·기계의 평균 근로손실일수 이하인 것

- 기압조절실, 원심기, 기계톱, 식품가공기계, 연삭기 또는 연마기, 공작기계, 전 단기 및 절곡기, 인쇄기, 목재가공기계, 사출성형기 등 10종

[그림 6-6] 최근 5년간 안전인증·안전검사등 대상의 재해1건당 평균 근로손실일수

안전검사의 실효성과 관련하여 기계·기구의 안전검사 실시 여부를 확인한 결과 검 사대상 기종별로 큰 편차를 보였으며 국소배기장치, 건조설비 등은 안전검사 수검 율이 20%미만으로 나타나 실질적인 안전검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 로 파악되었다. [그림 6-7]은 안전검사 수검율을 나타낸 것으로 2014년 작업환경실 태조사 결과 파악된 검사대상품 보유수량과 안전검사 주기가 2년인 것을 감안하여 2013년, 2014년 안전검사 누계실적을 비교한 것이다.

• 안전검사 수검율 90% 이상 - 압력용기, 곤돌라

• 안전검사 수검율 50% 미만

- 국소배기장치, 건조설비, 전단기 및 절곡기

[그림 6-7] 안전검사 보유수량 대비 안전검사 실적

* 2014년 작업환경실태조사 결과 파악된 검사대상과 201년, 2014년 안전검사 실적을 비교함

기계·기구의 사용 중 관리 실태를 알 수 있는 최근 5년간 안전검사 실시 결과에 따 르면 건조설비에서 10,945건의 안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4건의 불합격이 발생하여 최저 수준을 보였으며 고소작업대가 7.8%의 불합격율을 나타내었다. [그림 6-8]은

최근 5년간 안전검사 결과 불합격율을 표시한 것으로 컨베이어, 산업용 로봇은

2017년 10월 안전검사 대상으로 편입되어 실적이 미비하여 제외하였다.

• 안전검사 불합격율 0.5% 이하 - 건조설비, 사출성형기, 곤돌라

[그림 6-8] 최근 5년간 안전검사 불합격율(%)

Ⅶ 안전인증·안전검사등 대상의 적정성 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