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연구 결과
5.1 기술 혁신에 의한 기술 패러다임 변화
5.1.1 모바일 통신 산업
5.1.1.2 기술 혁신을 통한 기술 패러다임 변화
55
일어난 시점을 기준으로 그 전과 그 이후 각각의 기간 동안 기업의 기술적 역 량에 대해 알아보았다. 애플이 2007년 아이폰 출시를 앞두고 2006년부터 관 련 기술 개발을 활발히 시작하였으므로 2006년을 기준으로 기간을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우선 기술 패러다임 변화가 일어나기 전인 1988년부터 2005년 까지 기업별 RTA 결과를 살펴보았다. [표 5-1]에 의하면, 스마트 폰이 시장 에서 활성화되기 전에는 피처 폰 생산업체인 삼성전자와 LG전자는 피처 폰 기술에서 비교우위에 있고 스마트 폰 특징 UI기술에서 비교열위에 있다. 반면, 당시 피처 폰 생산업체가 아니던 애플은 당연히 피처 폰 기술에서 비교열위에 있었고, 다만, 애플의 강점인 UI기술에서 비교우위에 있었다는 것을 [표 5- 1]에서 확인할 수 있다. 즉, 애플은 스마트 폰을 만들어내기에 적절한 UI 기 술력을 지니고 있었다고 판단된다.
[표 5-1] 기술 패러다임 변화 前 모바일 통신 기업별 RTA 결과 피처 폰 기술 UI 기술
애플 0.313 1.134
삼성전자 1.827 0.929
LG전자 1.669 0.900
56 확인할 수 있다.
[그림 5-3] UI 기술 연도별 ImportF
[그림 5-4]에서 피처 폰 기술 관련 각 기업의 출원 연도별 backward citation 건수를 살펴보면, 기존 피처 폰 생산업체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애플 이 상당히 앞서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애플의 적은 양의 특허 출원 건수를 고려해 봤을 때, 애플의 backward citation 건수는 다른 기업들에 비해 상대 적으로 상당히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애플의 backward citation 건수 는 2006년에 2005년 대비 25배의 급격한 증가세를 보인다. 이는 2007년 iphone 출시를 앞두고 기존 피처 폰 제조업을 하지 않던 애플이 비교열위에 있던 피처 폰 기술의 역량을 높이기 위해 외부지식을 학습하려고 노력한 것으 로 판단된다.
57
[그림 5-4] 피처 폰 기술 backward citation 건수
이러한 애플의 기술융합에 대한 노력은 [표 5-2]의 애플의 기간별, 기술 별 RTA를 살펴보면 자세히 알 수 있다. 애플은 2006년을 기점으로 그 전에 는 피처 폰 기술과 관련하여 RTA가 0.313에서 0.401로 상승하였다. UI 기 술과 관련하여 RTA가 증가한 사실을 감안하면 그만큼 애플이 비교열위에 있 던 피처 폰 기술에 많은 노력과 투자를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애 플은 삼성전자, LG전자와 같은 기존 피처 폰 기업들로부터 피처 폰 관련 많은 기술들을 흡수하여 원래 비교우위에 있던 UI 기술과의 융합 기반을 마련한 것이다.
[표 5-2] 애플의 기간별, 기술 별 RTA 결과
1988년 ~ 2005년 2006년 ~ 2011년
피처 폰 기술 0.313 0.401
UI 기술 1.134 1.241
58
이를 통해 애플은 기존 피처 폰 기술과 UI 기술의 융합으로 시장 기술 패 러다임으로 변화시켰다. 그 결과 애플은 2007년 아이 폰 출시 이후, 기존 피 처 폰 시장을 잠식해가며 스마트 폰 시장을 창출해나갔다. [그림 5-5]에서 보듯이 최근 전세계 모바일 통신 시장을 조사한 바에 의하면, 스마트 폰 과 피처 폰의 비율이 2012년 말 기준 거의 같아지고 있고, 이런 추세라면 곧 스 마트 폰이 피처 폰의 시장점유율을 추월할 것으로 예상이 된다. 즉, 애플이 창출한 스마트 폰 시장은 아이 폰 출시 후 급격하게 성장하여 피처 폰 시장을 점점 잠식해가고 있는 중이다.
[그림 5-5] 피처 폰 vs. 스마트 폰 시장 점유율 (출처: 키움증권 리서치센터)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