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기술 혁신을 통한 기술 패러다임 변화

5. 연구 결과

5.2 변화된 기술 패러다임 환경에서의 추격

5.2.5 다른 대조군 기업을 통한 검증

5.2.5.2 기술 혁신을 통한 기술 패러다임 변화

111

장에서 활성화되기 전에는 피처 폰 생산업체인 노키아, 삼성전자와 LG전자는 피처 폰 기술에서 비교우위에 있고 스마트 폰 특징 UI기술에서 비교열위에 있다. 반면, 당시 피처 폰 생산업체가 아니던 애플은 당연히 피처 폰 기술에 서 비교열위에 있었고, 다만, 애플의 강점인 UI기술에서 비교우위에 있었다는 것을 [표 5-15]에서 확인할 수 있다. 즉, 애플은 스마트 폰을 만들어내기에 적절한 UI 기술력을 지니고 있었다고 판단된다.

[표 5-15] 기술 패러다임 변화 前 모바일 통신 기업별 RTA 결과 피처 폰 기술 UI 기술

삼성전자 1.333 1.095

LG 전자 1.182 0.900

노키아 2.026 0.848

애플 0.108 1.211

112

[그림 5-34] UI 기술 연도별 ImportF

[그림 5-35]에서 피처 폰 기술 관련 각 기업의 출원 연도별 backward citation 건수를 살펴보면, 기존 피처 폰 생산업체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애플 이 상당히 앞서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애플의 적은 양의 특허 출원 건수를 고려해 봤을 때, 애플의 backward citation 건수는 다른 기업들에 비해 상대 적으로 상당히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애플의 backward citation 건수 는 2006년에 2005년 대비 25배의 급격한 증가세를 보인다. 이는 2007년 iphone 출시를 앞두고 기존 피처 폰 제조업을 하지 않던 애플이 비교열위에 있던 피처 폰 기술의 역량을 높이기 위해 외부지식을 학습하려고 노력한 것으 로 판단된다.

113

[그림 5-35] 피처 폰 기술 backward citation 건수

이러한 애플의 기술융합에 대한 노력은 [표 5-16]의 애플의 기간별, 기술 별 RTA를 살펴보면 자세히 알 수 있다. 애플은 2006년을 기점으로 그 전에 는 피처 폰 기술과 관련하여 RTA가 0.108에서 0.309로 상승하였다. UI 기 술과 관련하여 RTA가 증가한 사실을 감안하면 그만큼 애플이 비교열위에 있 던 피처 폰 기술에 많은 노력과 투자를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애 플은 노키아, 삼성전자, LG전자와 같은 기존 피처 폰 기업들로부터 피처 폰 관련 많은 기술들을 흡수하여 원래 비교우위에 있던 UI 기술과의 융합 기반 을 마련한 것이다.

114 [표 5-16] 애플의 기간별, 기술 별 RTA 결과

1988년 ~ 2005년 2006년 ~ 2011년

피처 폰 기술 0.108 0.309

UI 기술 1.211 1.260

이를 통해 애플은 기존 피처 폰 기술과 UI 기술의 융합으로 시장 기술 패 러다임으로 변화시켰다. 그 결과 애플은 2007년 아이 폰 출시 이후, 기존 피 처 폰 시장을 잠식해가며 스마트 폰 시장을 창출해나갔다.

[그림 5-36] 피처 폰 vs. 스마트 폰 시장 점유율 (출처: 키움증권 리서치센터)

115

[그림 5-36]에서 보듯이 최근 전세계 모바일 통신 시장을 조사한 바에 의하 면, 스마트 폰 과 피처 폰의 비율이 2012년 말 기준 거의 같아지고 있고, 이 런 추세라면 곧 스마트 폰이 피처 폰의 시장점유율을 추월할 것으로 예상이 된다. 즉, 애플이 창출한 스마트 폰 시장은 아이 폰 출시 후 급격하게 성장하 여 피처 폰 시장을 점점 잠식해가고 있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