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5. 연구 결과

5.1 기술 혁신에 의한 기술 패러다임 변화

5.1.3 하이브리드 자동차 산업

5.1.3.1 기업 간 비교우위기술 비교

67

68

업들의 연도별 forward citation 건수를 비교하였다. 엔진구동 자동차 기술에 서 forward citation건수는 GM이 2010년 누적 기준 5,134건으로 도요타, 포 드, 현대자동차 대비 1.2 ~ 8배 정도 많다. 따라서 양적인 측면에서뿐만 아니 라 질적인 측면에서도 엔진구동 자동차 기술력에서는 GM이 도요타, 포드, 현 대자동차 대비 매우 앞서는 상황이다. 다만, 모바일 통신 산업의 애플과는 달 리, 엔진 구동 자동차 시장의 내부자인 도요타는 외부자인 애플만큼 선도기업 과의 격차가 크지 않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5-11a] 엔진구동 자동차 기술 출원연도별 특허등록건수

69

[그림 5-11b] 엔진구동 자동차 기술 출원연도별 forward citation 건수

[그림 5-12a]에서 전기구동 하이브리드 자동차 기술의 출원연도별 특허등 록건수를 살펴보면, 도요타는 2010년 기준 860여건의 특허를 보유하는 등 해당 기술 분야에 대해 꾸준히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특허를 출원한 반면, 현 대자동차, GM, 포드는 2010년까지 각각 190, 290, 610여건의 특허만을 보유 하는 데 그치고 있다. 즉, 전기구동 하이브리드 자동차 기술에서 도요타는 현 대자동차, GM, 포드를 양적으로 2 ~ 11배 정도 앞서 있다.

[그림 5-12b]의 전기구동 하이브리드 자동차 기술의 출원연도별 forward citation 건수를 보면, 질적인 측면에서 현대자동차는 도요타의 2 %, GM은 도 요타의 27 %, 포드는 도요타의 43 % 정도에 머무르는 수준이다. 즉, 전기구 동 하이브리드 자동차 기술에서 도요타와 현대자동차, GM, 포드 간 기술력 차이는 양적인 측면보다 질적인 측면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70

[그림 5-12a] 전기구동 하이브리드 자동차 기술 출원연도별 특허등록건수

[그림 5-12b] 전기구동 하이브리드 자동차 기술 출원연도별 forward citation 건수

RTA를 이용하여 기업 간 기술우위 비교를 해보려 한다. 기술 패러다임이

71

일어난 시점을 기준으로 그 전과 그 이후 각각의 기간 동안 기업의 기술적 역 량에 대해 알아보았다. 앞에서 논의한 모바일 통신 산업이나 디스플레이 산업 의 경우와 달리,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아직 자동차 산업에서 지배적 디자인으 로 확립되지 못한 상황이므로 기술 패러다임 변화 시점을 정하기에 어려움이 있지만, 우선 도요타의 3세대 프리우스가 2009년에 출시된 이후 많이 대중화 된 시점인 2010년을 기준으로 기간을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우선 기술 패러 다임 변화가 일어나기 전인 1970년부터 2010년까지 기업별 RTA 결과를 살 펴보았다. [표 5-5]에 의하면,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시장에서 활성화되기 전 에 엔진구동 자동차 생산업체인 GM, 포드, 현대자동차는 당연히 엔진구동 자 동차 기술에서 비교우위에 있고 전기구동 하이브리드 자동차 기술에서 비교열 위에 있다. 이는 GM, 포드, 현대자동차의 RTA값이 엔진구동 자동차 기술에 서는 1보다 크고, 전기구동 하이브리드 자동차 기술에서는 1보다 작다는 것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특이한 점은, 엔진구동 자동차 생산업체인 도요타가 오 히려 엔진구동 자동차 기술이 아닌 전기구동 하이브리드 자동차 기술에서 비 교우위를 보이고 있었다는 점이다. 즉, 도요타는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만들어 내기에 적절한 전기구동 자동차 기술력을 지니고 있었다고 판단된다.

72

[표 5-5] 기술 패러다임 변화 前 자동차 산업 기업별 RTA 결과

엔진구동 자동차 기술 전기구동 하이브리드 자동차 기술

GM 1.200 0.645

포드 1.037 0.938

현대자동차 1.233 0.565

도요타 0.786 1.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