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논의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87-93)

I. 서 론

2. 논의

본 연구는 중학교 학교스포츠클럽 참가자의 운동열정과 신체적 자기효능 감이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중학교 학생들의 학교스포 츠클럽 참여를 통하여 바람직한 학교생활 그리고 올바른 스포츠문화를 함양 하고 나아가 일선 체육 지도자들에게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학교체육과 학교 스포츠클럽 활성화를 도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에 대 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1)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운동열정, 신체적 자기효능감, 학교생활만족의 차이

본 연구의 가설 1은 ‘중학교 학교스포츠클럽 참가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에 따른 운동열정, 신체적 자기효능감, 학교생활만족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t-test 분석, 일원변량분석, 사 후검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성별에 따른 운동열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김융석(2014)은 중학교 스포츠 강사를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운동열정의 하위요인으로 ‘조화열정(t=6.189, p<.001)’, ‘강박열정(t=6.969, p<.001)’의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두 변인 모두 여학생 집단에 비해 남학생 집단이 평균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성은(2014)은 라켓 스포츠 참여자 를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열정의 차이를 살펴보면 남성이 여성보다 조화열정과 강박열정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이상윤(2013), 황성하, 이창섭(2014)의 연구 역시 성별에 따른 학생의 운동열정이 여학생에 비해서 남학생이 더 높

은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를 일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의 결과에서 성별에 따른 운동열정은 남자 중학생이 여자 중학생보다 심폐지구력, 근지구력, 민첩성, 순발력 정도가 대체적으로 높으며,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대한 욕구나 운동열정이 여학생에 비해서 남학생이 운 동에 대한 열정수준이 높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둘째, 성별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문철(2008)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서울지역, 경북지역 중심으로 성별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 t- 검정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인지된 신체능력에 대 해서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된 신체능력,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에 대해서 남학생과 여학생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박윤기(2013)는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중학생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인인 인지된 신체능력은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신체 적 자기표현 자신감 역시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 지된 신체능력과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결과를 지지해주고 있다. 또한 고보미 (2014)에 의하면 중학교 스포츠클럽 참가자를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신체 적 자기효능감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인별 인지된 신체능력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p<.01), 남자(M=3.58)의 경우 여자(M=3.34)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지된 신체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김재영(2014), 김하나(2013)의 연구결과에서 성별에 따른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여학생에 비해서 남학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결과에서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있어 상대적으로 기능수준이

낮으며 움직임을 싫어하는 여학생들은 체육수업이나 학교스포츠클럽에 대 한 흥미도와 관심이 남학생보다 낮고 소극적임을 밝히고 있으며, 여학생이 참여할 수 있는 학교스포츠 프로그램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성별에 따른 학교생활만족은 학교환경만족, 학교행사참여만족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우준(2014)은 중학교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자를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학교생활만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수업만족도, 학교생활만족도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났으며, 수업만족도, 학교생활만족도에서 남학생 이 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학교생활만족도, 교사만족도, 물리적 환경만족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민우(2014)는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중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 성중 성별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한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표 본 t-test를 p<.05 수준에서 검증한 결과, 학교행사참여만족도를 제외한 다른 항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행사참 여만족도(남=3.579±}.688,여=3.241±}.813)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나타나 본 연구의 결과를 부분적으로 지지해주고 있다. 이는 김철일 (2011), 권대륜(2012), 최태석(2013)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자의 성별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에 관한 결과에서 성별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이 여학 생에 비하여 학교생활만족의 하위요인인 친구만족도, 교사만족도, 수업만족 도, 물리적 환경만족도, 행사참여만족도 요인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이 선행연구들을 살펴본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학교스포츠클 럽 활동성이 전반적으로 높다는 결과는 상대적으로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 이 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높고 신체활동 참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중학생들의 체력과 건강, 학업 스트레스, 학교폭력

등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며, 특히,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체육수업 시 수가 늘어나면 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어 체육수업과 학교스포츠클 럽 참여에 긍정적인 인식변화가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2) 중학교 학교스포츠클럽 참가자의 운동열정과 신체적 자기 효능감이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첫째, 운동열정이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인지된 신체능력, 신체적 자기표현자신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성보(2013)는 중, 고등학생의 체육수업 열정과 태도에 관한 연구에서 조화열정과 강박열정은 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석인, 오은택, 백 광(2011)은 운동열정이 하위요인인 강박열정, 조화열정 은 운동 자기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리고 최헌혁, 허진영(2014)은 순수무용전공 대학생의 무용열정이 공연자신감의 관계에서 조화열정은 공연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강박열정은 공연자신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부분적으로 지지해주고 있다. 이는 윤정화 (2014), 민왕식(2013) 등의 선행연구 결과에서 운동열정은 인간의 삶에 대 한 태도로서 강렬한 동기와 행동력을 촉진시킬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고려한다면, 운동열정의 하위요인인 조화열정이 높다는 것은 학교스 포츠클럽 활동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과 특정한 조건이나 집착 없이 스스로 열정적인 활동을 참여한다는 점에서 인지된 신체능력,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에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사료된다.

둘째, 운동열정이 학교생활만족, 교사만족, 학교수업만족, 학교환경만족, 학교 행사참여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선희(2013)는 체육수업에서의 학습열정과 기본심리욕구 및 사회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다중회귀분석 결과에서 체육수업에 대한 조화열정이 사회심 리적 웰빙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자기인식, 가족관계, 교사관계, 친구관계 욕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관홍 (2014)은 대학교 교양체육수업 참여자의 열정이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에서 열정의 하위요인인 조화열정, 강박열정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화열정과 강박열정 요인이 수업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최성보(2013)는 중, 고등학생 들의 체육수업 참가자의 수업열정 및 체육수업 태도에 미치는 다중회귀분 석 결과, 수업열정이 체육수업 태도의 하위요인인 만족도, 성취도, 집중도, 자신감, 참여도 등에서 수업열정의 하위요인인 조화열정과 강박열정이 높을 수록 체육수업 태도를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결과를 부분적으로 지지해주고 있다.

셋째,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은 학교생 활만족, 교우관계만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인지된 신체능력은 교사만족, 학교수 업만족, 학교환경만족 학교행사참여만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정현(2011)은 방과 후 체육특기적성 활동에 참가하고 있는 학생이 참여 하지 않은 학생보다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인지된 신체능력, 신 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이 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적 자기효능감 의 하위요인 중 인지된 신체능력이 높을수록 학교생활만족에 긍정적인 영 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보미(2014)는 중학교 스포츠클럽 참여 자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독립변 수로는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 인지된 신체능력이 학교생활만족, 교사인 식, 학교적응, 교우관계, 학교환경만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87-93)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