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자기효능감의 개념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43-46)

I. 서 론

1) 자기효능감의 개념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은 개인이 어떤 과제나 결과를 성공적으로 수 행 할 수 있다는 개인의 신념 혹은 믿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즉 자신감 혹은 개인의 능력 인지라 할 수 있다. 인간의 행동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중요 한 변인 중의 하나가 자기 효능감이며, 자기효능감이란 특별한 상황에서 요구 되는 행동들을 자신이 성공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는 신념과 개인이 어떠한 일 이나 행동에 대한 결과를 기대하여 수행해나가는 자기 자신에 대한 신념으로 요 약할 수 있다.

Bandura(1997)는 자기효능감은 행동 및 행동 변화의 주요 매개요인으로 보 았고 인간의 행동 변화는 외부의 자극에 의해 수동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행위자 자신이 그 행동을 실행해 낼 수 있다는 기대, 즉 자기효능감이라는 인

지적 과정을 매개로 일어난다는 점을 강조하고 인간행동 변화의 중심적 조절 인 자로서 자기 관계적 사고(self referent thought)인 자기효능감이론을 구성 하였으며, 이러한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은 어떤 결과를 얻고자 하는 행 동을 성공적으로 실행해낼 수 있는 개인의 신념을 묘사하는 말로써 특히 상황 적으로 구체적인 자신감을 말한다. 자기효능감은 개인의 일정한 상황에서 특 정한 결과를 산출해 내는데 필요한 일련의 초치를 조직하고 실행해 낼 수 있다는 자기 확신이다(Bandura, 1977). 김성옥(1994)은 자기효능감과 유사한 자신감 (self-confidence)과 결과기대(outcome expectancy)를 구분하고, 그 의미를 비교 함으로써 자기효능감의 개념을 보다 명확히 하였다. 김성옥(1994)에 의하면 자기 효능감은 어떤 주어진 활동에 한정된 자신감을 나타내는 특수한 것으로, 일반적으 로 사용되는 자신감(self-confidence)이란 용어는 수행을 성공적으로 해낼 수 있는 능력에 대한 개인적 확실성의 정도 또는 믿음이라고 정의된다(Vealey, 1986). 그리고 자기효능감과 일반적 자신감의 개념적 차이는 자신감이 믿음 또는 확신의 강도를 언급하거나 인지된 능력의 구체화된 수준을 말하지 않으 며 자기효능감은 그 믿음의 강도와 인지된 능력수준을 구체화시킨 것이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자신감이란 용어는 매사에 성공할 수 있다는 자신들의 능력 에 대한 개인의 확신 또는 믿음(Vealey, 1986) 등을 나타내는 일반적이고 안정된 개인의 성격 특성을 말하는 것이다. Bandura(1985)는 한 개인이 어떤 결과를 산출하기 위해서 성공적인 목표달성을 위한 신념과 이와 관련한 특정 업무를 성취하기 위해서 필요한 행동을 조직, 수행하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판단기준 을 의미하며, 새로운 행위의 습득과 습관적 행위의 중단 및 중단한 행위의 재개 등은 활동에 대한 영향을 주며 성공적 기대감을 통한 대처능력에도 영 향을 주지만 그 자체만으로는 바람직한 행위를 산출하지 못하고 적절한 동기 가 있고 기술이 있을 때, 자기효능감은 행위 선택에 중요한 결정적 요인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 이현진(1992)은 자기효능감 이론의 핵심은 동일한 조 건일 경우 자기효능감이 높은 사람일수록, 즉 어떤 결과를 초래할 행동들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자신이 많다고 생각하는 사람일수록 그러한 활동을 시도 할 가능성과 지속할 가능성이 많다고 하였으며, 배정숙(1998)은 자기효능감 은 사회적 인지이론에서 파생된 것으로 개인이 어떤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얼마나 행할 수 있느냐는 개인적 판단을 의미하며, 어떠한 과제를 성공적으로 조직하고 실행하는 자신의 능력을 지각하는 특성을 말한다. 다 시 말해 자기효능감은 주어진 상황에서 얼마나 유용할 것인가에 대한 개인 의 판단이며, 동시에 특정 행동을 수행할 수 있는가에 대한 개인의 신념이 라고 하였다. 우희정(1983)은“자기효능감”과 유사한 개념으로 자아개념 (self-concept), 자아존중감(self-esteem), 인지된 능력(perceiced competence) 등이 있다. 전반적인 자아개념은 활동이 수준과 환경에 따라 변화하는 인지 의 복잡성을 정확히 나타내지는 못한다. 즉, 자아 이미지는 자아개념의 다양 한 형태의 행동에 있어서 어떻게 일어나는가를 설명하기가 어렵다는 점에서 자기효능감과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라 하였다. Collins(1982)는 각기 다른 능 력 수준에서 자기들 스스로의 판단에 따라 자기효능감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 단으로 구분하여 어려운 문제를 풀게 하는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모든 능력 수준에서 자기효능감의 지각 수준이 높은 피험자가 낮은 피험자들보다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더욱 높았다는 것을 입증했다. 이처럼 자신의 능력에 대한 인 식은 환경과의 기대적, 관찰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사고 유형과 정서에 영향을 미친다. 자신이 무능력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높은 정서적 흥분을 유발하고, 매우 심한 무기력에 젖어들어 문제나 상황을 실제보다 더욱 어렵게 인식하게 된다(최태식, 1988).

자기효능감 이론을 제창한 Bandura(1977)는 사회학습이론(1986년 이후 는 사회인지이론으로 바뀜) 가운데 어떤 행동으로 자기가 바라는 결과를 얻 을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판단 기능과 그 행동을 자기가 수행할 수 있는지 없는지에 대한 판단 기능을 구별하여 후자의 기능을 자기효능감으로 정의했 다. 그는 특히 인간 행동을 규정하는 요인으로써 선행 요인, 결과 요인, 인

지 요인을 들었다. 세 가지 요인 중에서도 그는 선행 요인 가운데 예기 기능 을 중시하고 이를 다시 결과 예기와 효능감 예기로 구분했다. 결과 예기란 어떤 행동이 어떠한 결과를 가져다 줄 것인가에 대한 판단을 말하며, 효능감 예기는 그 결과를 얻기 위해 필요로 하는 행동을 자기 힘으로 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말하고 있으며, 효능감 예기와 결과 예기로 구분하면서 인간이 일련의 행동이 어떠한 결과를 가져다 줄 것인가를 인지하고 있다하더 라도 이정도(결과 예기에 해당함)는 그들의 행동에는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않는 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효능감 예기의 인지는 행동을 수행할 것인가에 대한 내적 선택을 하게 되고, 노력을 하게 하는 동시 지속시켜 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행동 변화에 가장 강력한 결정 요인으로 보았다. 즉, 효능감 예기 의 인지가 높은 사람일수록 어려운 장면에서도 많은 노력을 한다는 것이다.

즉, 어떤 결과를 얻기 위해 필요로 하는 행동을 자기가 어느 정도 확실하게 할 수 있을 것인가는 자기수행이 가능함. 즉, 자기효능감을 강하고 높게 인지 하는 것이 행동 유발의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자기효능감은 직, 간접적인 실패의 경험에 따라 자기 능력에 대한 인식에 기초한 것으로 모든 심리적 처치 방법은 이러한 자신의 능력 지각의 자원으로써 자기효능감 을 변화시키는 기제로 간주되는 것이다(Bandura, 1977).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43-46)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