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제언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95-114)

I. 서 론

2. 제언

본 연구는 중학교 학교스포츠클럽 참가자의 운동열정과 신체적 자기효 능감이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으며, 본 연구의 한계점이 있었음을 밝히며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하며 다음과 같이 제시해 보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의 대상자는 광주광역시에 소재하는 중학교 5개를 중심으 로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참가하는 남, 여학생을 대상으로 한정하였기에 연구결 과를 일반화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후속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광범위하게 선정 하여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둘째, 학교스포츠클럽 참가자의 가정환경, 지역환경, 학교형태, 스포츠종목 선호도 구분과 다양한 스포츠 종목을 구체화 하여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셋째, 양적 연구로써 자료수집 방법을 설문지에 국한하여 연구를 진행하였 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내면적인 요소들을 분석하기 위한 심층적인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질적 연구방법으로 총체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참 고 문 헌

교육인적자원부(2007). 학교스포츠클럽 육성계획. 교육인적자원부.

교육과학기술부(2009).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연구.

교육과학기술부(2012). 중학교 체육시수 확대 방안 계획. 교육과학기술부 내부자료.

교육과학기술부(2012). 2012년도 학교스포츠클럽 육성 계획. 교육과학기술부 내부자료

교육과학기술부(2013).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매뉴얼.

교육학대사전(1995). 교육학전편찬위원회. 서울: 대한교육연합회.

교육학대사전(2002). 교육학대사전 / 남억우[외] 편 서울 : 교육과학사.

고보미(2014). 중학교 스포츠클럽 참여하는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재미, 학교생활만족의 관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문영(2011). 체육전공 여대생의 운동열정에 따른 스트레스 강인성 및 심리 적 행복감의 관계.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문철(2008).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체육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영국(2010). 대학운동선수의 열정과 운동정서 및 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체육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봉화(2004). 여가활동 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와 학교생활만족도간의 인과관계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1, 741-751.

권경관(2007). 중학생의 방과후 체육활동이 체력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대륜(2012). 고등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민정(2012).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석만(2008).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 학지사.

김관훈(2015). 학교스포츠클럽 참가자들의 사회적지지, 자아탄력성, 학교생활 적응과 학교행복감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기철, 서지영, 김택천, 허현미(2012).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운영현황과 개선방안. 학교교육과정평가원.

김경남(2014). PUMP 창착표현활동 수업에서 중학생의 신체활동 즐거움, 열정, 수업태도의 관계.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경미(1987). 17세기 프랑스 철학계에서 고찰된 Psssion의 개념. 인문과학 논집. 6. 165-185.

김경민(2009). 방과 후 스포츠활동 참여에 따른 남자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 개념과 학교생활만족.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경숙, 김선희, 안혜임(2004). 독일 학교체육과 스포츠클럽의 협력현황 및 사례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 21. 39-57.

김경숙, 여지은, 김선희, 김도연(2009).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실태 분석 및 개 선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 정책연구개발사업 2009.

김경세(2015). 중학생의 방과 후 농구 스포츠클럽활동 참여가 PAPS 평가요 소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대근(2011). 중년여성 휘트니스클럽 회원의 운동몰입이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스포츠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덕진(2007). 축구 특기적성 교육활동이 초등학생의 체육교과 태도와 생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6(4), 317-328.

김문명(2011).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학생건강체력, 신체적 자기개념 및 체육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톡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성배, 한상덕, 이상덕(2009). 골프참가자의 참가동기와 참가정도에 따른 몰입경험 및 정신건강의 인과적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5, 1133-1142.

김상규, 이 숙, 이한우(2002). 스포츠 참여 종목과 참여자 특성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차이.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 7 No 3.

김신애(2013). 부모자녀관계와 자기효능감의 관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김석일(2009). 생활체육참여자의 목표성향에 따른 열정과 끈기. 한국스포츠심리 학회지, 20(4), 61-76.

김선희, 허현미(2008). 학교스포츠 클럽의 역할 및 활성화 방안. 한국사회체육 학회지 33(1), 341-364.

김선희, 유정애(2007). 왜 스포츠 문화교육인가? = why educating “Sports Cultute”?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 Vol 46 No. 4. 169-181.

김성옥(1994). 교육의 목적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인선(2009). 프로무용수의 열정과 자기인식 분석.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영훈, 이영호(2004). 도박열정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관한 연구. 한국 심리학회지 : 임상 23(4), 999-1009.

김영훈(2008). 청소년 여가활동 참여가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안양대학교 관광경영학 박사학위논문.

김융석(2014). 중학교 스포츠강사의 지도유형이 운동열정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재영(2014).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 경기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지영, 이철원, 최윤희(2006). 다이어트 댄스 참여 여성의 열정형성 과정.

한국체육학회지. 45(3), 411-423.

김종필, 장순용, 박성진(2010). 유소년들의 스포츠클럽 참가가 스포츠참가 인지 및 재미요인이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 학회 34(1). 193-203.

김찬우(2010). 태권도 수련에 따른 수련생 부모의 교육적 기대 요인 분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철일(2011). 중학생의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와 학교생활만족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하나(2007). 청소년의 체육활동 참여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하나(2013). 중학생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가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또래 관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홍태(2005). 한국형 스포츠클럽 활성화 정책방안. 한국스포츠리서치 Vol 16, No 3. pp 1007-1015.

김홍태, 최경호(2005). 한국형 스포츠클럽 활성화 정택 방안. 한국스포츠 리 서치,16(3).

노동준(2011). 스포츠클럽활동 참여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 조사. 한국체육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민왕식(2013). 여가스포츠 참가자의 운동열정, 신체적 자기효능감, 운동정서 및 심리적 행복감의 구조적 관계.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문창환(2015). 교내 스포츠리그 참여 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 만족도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선영(2011).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체육교사 이미지가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영식(2014). 학교스포츠클럽활동의 재미요인 및 교육적 효과성의 관계. 조선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은정(2004). 놀이중심 인지적 행동 수정이 아동의 공격성과 분노에 미치는 효과.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윤기(2013).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운동지속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용성(2011). 학교체육진흥을 위한 법 제정의 필요성.

박정용, 이종영(2001). 청소년의 방과 후 농구활동 참가와 정신건강의 관계.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 14 No 2. 361-370.

박정현(2000). 청소년의 체육활동 참가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배정숙(1998). 자아개념 및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적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정현(2011). 방과 후 체육특기적성활동이 중, 고등학생들의 신체적 자기효능 감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민철(2011). 초, 중등학교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의 전개양상과 발전과제. 영남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영순(2012). 중년 및 노년 여성참여자의 라인댄스에 대한 열정이 심리적 행복감 및 운동지속 의사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영춘(2012). 태권도 수련활동 만족도가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만 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원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치경(2011). 고등학교 체육수업만족이 신체적 자기개념과 자아유능감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교육 연구소(2002).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경기도: 한국학술 정보

우희정(1983). 독자의 성격과 가족환경과의 관계 조사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도희, 정재우(2009). 음악재능 청소년의 열정이 성취목적과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학회.

양미희(2005).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에 미 치는 효과.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동숙(2011). 무용열정의 심리적 개념 구조 : 한국무용 전공인을 중심으로. 세 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명자(2005). 청소년의 체육성취목표성향, 귀인유형 및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체육활동수행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석인, 오은택, 백 광(2011). 건강운동 참여한 성인의 주관적 운동능력인지와 열정, 운동자기효능감, 지각된 건강상태 간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3(2), 985-997.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95-114)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