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대분류에 따른 종합 분석

본 연구에서는 대분류 품목을 기준으로 하여 FTA로 인한 경제적 효과를 첫 째, 수출입변동률, 둘째, TSI, 셋째, MCA를 통하여 전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한국과 중국의 FTA로 인한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양 국가 간의 수출 입 현황 및 변동률을 분석하였다. 對중국 수출액은 2015년에 감소하였다가 다 시 약간 상승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수입액은 2016년까지 감소하였다가 2017년 다시 상승하는 현상을 보였었다. 철강 산업 전체의 교역액을 기준으로 한국과 중국의 TSI를 확인해 보면 2012년부터 2017년까지 -0.30에서 -0.50사이 를 유지하고 있으며 FTA후에 지수의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여 나타내고 있으 며, 여전히 수입우위의 결과를 보여줬다. 또한 철강재와 철강제품의 MCA 값을 양 국가 간에 비교, 분석한 것을 확인해 보면 크게 변화된 모습은 확인할 수가 없었다.

대분류에 따른 한·중 FTA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봉형강류

봉형강류에 대한 한·중 FTA의 효과를 3 가지 지수 (수출입변동률, TSI, MCA)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출입 변동률은 2014년부터 2016년 까지 수출과 수입 모두 동반 하락 하여 무역수지 또한 개선되었지만 수출의 증가로 인한 변화가 아닌 일괄하락으 로 인한 무역수지가 -2,044백 만 달러에서 -1,615백 만 달러로 개선된 것을 확 인했다.

둘째, TSI를 분석한 결과 중국과의 거래에 있어서 -0.67 이상으로 나타나 수 입특화 품목으로 분류 되었으며, 특히 철근의 경우 완전수입특화 품목으로 분 류되었다.

셋째, MCA의 경우 한국시장에서 중국산 봉형강류는 4 이상의 높은 비교우위 지수를 나타내었으며, 중국시장에서 한국산 봉형강류는 절대 우위를 나타내기 는 하였으나 2 이하의 지수를 나타내었다. FTA후에 형강류는 절대 우위에서 상대 우위로 전환된 것과 선재 품목의 비교우위지수가 상승한 것 외에는 결과 적으로 한·중 FTA로 인하여 봉형강류의 경우 한국, 중국 모두 큰 영향을 가 져다 준 것은 없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그림 Ⅳ-1> 한국·중국시장에서의 봉형강류 MCA 분기별 비교

2) 판재류

판재류에 대한 한·중 FTA의 효과를 3 가지 지수 (수출입변동률, TSI, MCA) 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출입 변동률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중국과의 TSI의 경우 세부 품목별로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셋째, 양 국가의 MCA를 확인한 결과 중후판을 제외한 나머지 품목들은 전부

0 1 2 3 4 5 6

M C A

2012-Q1 2013-Q1 2014-Q1 2015-Q1 2016-Q1 2017-Q1 분기

한국시장 중국시장

FTA 2015.12

시장에서의 MCA는 6이상으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나 중국의 양허제외 품목으 로 FTA로 인한 효과는 없는 것으로 확인 할 수 있으며, 분기별 판재류 전체 품목에 관한 MCA룰 확인해보면 한국과 중국 모두 3~4의 지수를 나타내고 있으 나 2017년 1분기부터 중국시장에서 한국산 판재류 품목의 경쟁력이 3.94에서 3.05까지 하락하였다. 같은 기간 한국시장에서도 4.09에서 3.72까지 하락하여 양 국가 수출입 교역량의 동시 하락과 함께 발생한 영향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림 Ⅳ-2> 한국·중국시장에서의 판재류 MCA 분기별 비교

3) 강관

강관에 대한 한·중 FTA의 효과를 3 가지 지수 (수출입변동률, TSI, MCA)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출입변동룰은 2016년 3분기와 4분기에서 일부 증가한 것을 제외하고 는 특별한 변화는 없었다.

둘째, TSI 분석결과 수입우위를 나타내었고 FTA 전과 후 지수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0 1 2 3 4 5

M C A

2012-Q1 2013-Q1 2014-Q1 2015-Q1 2016-Q1 2017-Q1 분기

한국시장 중국시장

FTA 2015.12

셋째, MCA는 한국시장에서 중국산 강관은 1 이상의 절대 우위를 유지해 오 다가 2016년 2분기부터 2 이상으로 지수가 상승하였으며, 중국시장에서 한국산 강관은 절대 우위와 상대 우위를 반복하여 나타내었으나 FTA 후 절대 우위에 가깝게 나타났으며, 2016년 4분기부터는 절대 우위를 보였다. FTA로 인한 전체 적인 효과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강관 HS코드 7304, 7305, 7306의 한국과 중국의 양허유형을 확인해보면 한국은 전부 무관세, 중국의 경우 각 품목별로 양허유형을 다르게 적용시켰다. 강관류는 전체적으로 큰 효과는 없었으나 양 국가 모두 FTA 후에 MCA가 상승하여 품목별 비중이 좀 더 높아 진 것으로 해 석할 수 있다.

<그림 Ⅳ-3> 한국·중국시장에서의 강관 MCA 분기별 비교

4) 주단강

주단강에 대한 한·중 FTA의 효과를 3 가지 지수 (수출입변동률, TSI, MCA) 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0.0 0.5 1.0 1.5 2.0 2.5 3.0 3.5 4.0

M C A

2012-Q1 2013-Q1 2014-Q1 2015-Q1 2016-Q1 2017-Q1 분기

한국시장 중국시장

FTA 2015.12

둘째, TSI는 FTA 전과 후에 크게 변화된 모습은 보이지 않았으며 수입우위에 가까운 비교우위중립을 나타내었다.

셋째, 한국시장에서 중국산 주단강의 MCA는 1에서 2로 상승하였다. 반면에 중국시장에서 한국산 주단강(소분류 12품목 확인 결과 포함)의 MCA가 변동 폭 은 있었으나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것은 한국에서의 중국으 로의 수출은 증가하였지만 그만큼 한국에서 중국으로부터 수입도 증가한 것이 고 동시에 중국에서는 한국산 주단강의 수입이 증가하였지만 전체적인 수입에 서 차지하는 비중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분석 할 수 있다. 자세 하게 확인을 하기 위하여 소분류 12 품목으로 분류 확인한 결과 관세율과 양허 유형이 한국과 중국 각 품목별로 모두 다르게 적용되어 있어 향후 수출입 동향 을 좀 더 확인해 볼 필요가 있는 품목으로 분류 된다.

<그림 Ⅳ-4> 한국·중국시장에서의 주단강 MCA 분기별 비교

0.0 0.5 1.0 1.5 2.0 2.5 3.0

M C A

2012-Q1 2013-Q1 2014-Q1 2015-Q1 2016-Q1 2017-Q1 분기

한국시장 중국시장

FTA 2015.12

5) 강반제품

강반제품에 대한 한·중 FTA의 효과를 3 가지 지수 (수출입변동률, TSI, MCA)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출입변동률은 일시적인 증가현상을 제외하고는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둘째, 세계시장에서 TSI는 수입우위에 위치하고 있었으나 중국시장에서는 수 입특화에서 조금 완화되어 수입우위에 속해있다.

셋째, 한국시장에서 중국산 강반제품의 MCA는 2017년 1분기부터 상대 우위 로 전환되었고 중국시장에서 한국산 강반제품의 MCA는 FTA 전과 후에 대체적 으로 상대 열위에 속해 있다. FTA로 인한 경제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관 세 철폐방식을 확인해 보면 한국은 전부 무관세에 해당되며, 중국은 일부 관세 가 철폐되어 한국에게 유리한 협상 결과를 가져왔었다. 그렇지만 전체적으로 한·중 FTA로 인하여 양 국가의 경제적 효과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0 1 2 3 4 5

M C A

2012-Q1 2013-Q1 2014-Q1 2015-Q1 2016-Q1 2017-Q1 분기

한국시장 중국시장

FTA 2015.12

6) 강선류

강선류에 대한 한·중 FTA의 효과를 3 가지 지수 (수출입변동률, TSI, MCA) 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출입변동률은 소폭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여 나타내고 있다.

둘째, 중국과의 TSI는 마이너스를 유지하고 있지만 비교우위중립에 위치해 있 다.

셋째, MCA의 경우 한국시장과 중국시장에서 강선류는 FTA 전과 후에 비교 우위지수 역시 거의 변동사항이 없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품목별로 양허유형 을 확인해 보면 7217, 7223, 7229 모두 한국은 무관세 이고 중국은 각 품목별 관세율과 양허유형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전체적으로 확인했을 경우 크게 변동되는 사항은 없었으나 양 국가 모두 전체 수입량의 증가와 함께 교역량의 증가에 있어서는 확실한 변화를 보였다. 종합적으로 강선류의 경우 각 국의 시 장에 미치는 영향은 적었으나 향후 FTA 활용률에 따른 한국에서 중국으로의 수출과 함께 중국산 제품의 기술력 향상으로 중국에서 한국으로의 수출이 얼마 만큼 활발해 지는지를 확인해 볼 필요성이 있는 품목으로 평가된다.

<그림 Ⅳ-6> 한국·중국시장에서의 강선류 MCA 분기별 비교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M C A

2012-Q1 2013-Q1 2014-Q1 2015-Q1 2016-Q1 2017-Q1 분기

한국시장 중국시장

FTA 2015.12

7) 주철류

주철류에 대한 한·중 FTA의 효과를 3 가지 지수 (수출입변동률, TSI, MCA) 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출입변동률에서는 수출과 수입 모두 증가와 감소가 큰 폭으로 변동 되고 있다.

둘째, 중국과의 TSI를 확인한 결과 -0.8 이하(수입특화품목)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분석결과 확인했다. 품목별 중에서도 7307.19 주철이 가장 많이 거래되고 있는 품목으로 FTA 후 한국에서 수입이 증가한 품목에 해당된다.

셋째, MCA를 확인을 해 보면 그 변화를 확실하게 알 수 있는 품목이다. 한국 시장에서 중국산 주철류는 지수 5 이상의 높은 경쟁력을 보이고 있으며, 중국 시장에서 한국산 주철류는 절대 우위에 위치해 있었으나 2016년 4분기부터 경 쟁력이 약화되어 상대 우위 품목으로 전환되었다. 결과적으로 FTA 후 한국의 입장에서는 부정적인 영향이 크고, 중국의 입장에서는 일부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품목으로 분류 될 수 있다.

0 1 2 3 4 5 6 7

M C A

2012-Q1 2013-Q1 2014-Q1 2015-Q1 2016-Q1 2017-Q1 분기

한국시장 중국시장

FTA 2015.12

8) 2차 제품

2차 제품에 대한 한·중 FTA의 효과를 3 가지 지수 (수출입변동률, TSI, MCA)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출입 변동률은 소폭으로 증가와 감소가 반복되고 있다.

둘째, TSI를 확인한 결과 품목별로 상이한 결과를 보여 왔으며, 8311 전기용 접봉, 7320 스프링 의 경우 수출우위 및 특화 품목으로 분류되었으며, 특히 중 국산 스프링의 경우 한국시장에서 상대 우위 품목으로 확인되었으며, 7309 철 강재 용기 (한국관세 8%에서 관세철폐, 중국관세 10.5%에서 양허유형 10) 품목 의 경우 한국의 입장에서 FTA로 인하여 효과를 본 것으로 분석 되었다.

셋째, 한국시장과 중국시장의 MCA는 당연히 한국시장에서의 중국산 제품의 지수가 높게 나타 날 수밖에 없는 품목이다. 2차 제품의 MCA를 확인해보면 중 국시장에서 한국제품은 절대 우위를 나타내고 있으나 양 국가의 지수 값을 비 교해 보면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그림 Ⅳ-8> 한국·중국시장에서의 2차제품 MCA 분기별 비교

0 1.2 2.4 3.6 4.8 6

M C A

2012-Q1 2013-Q1 2014-Q1 2015-Q1 2016-Q1 2017-Q1 분기

한국시장 중국시장

FTA 201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