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을 포함하여 세계 10대 국가별 조강 생산량 및 증감률을 확인해 보면, 2015년부터 인도, 터키를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들이 전체적으로 감소세를 보이 고 있다. 각 국가별 산업 정책의 영향, 세계 철강 시장과 중국 철강 산업에서 공급과잉 현상과 수요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발생되었으며, 글로벌 시장에 장기 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순위는 2016년 기준으로 작성
자료: 세계철강협회, Steel Statistical Yearbook, 2017, pp.1-2, 자료 재 작성.
중국의 주력 생산 제품은 열간압연강재로 중국의 철강 재계 품목별 생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품목으로 2013년 10억 만 톤을 생산한 중국은 현재 까지 10억 만 톤 이상을 생산하고 있다. 연간 5억 만 톤 이상을 생산하고 있는 봉형강류 역시 중국의 후 순위 주력 품목으로 많이 생산되고 있으며, 각종 산 업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순위 국가 2013년 증감률 2014년 증감률 2015년 증감률 2016년 증감률 1 중국 822 12.44 822.7 0.09 803.8 -2.30 808.3 0.56 2 일본 110.5 3.14 110.6 0.06 105.1 -5.00 104.7 -0.34 3 인도 81.2 5.22 87.2 7.37 89.0 1.99 95.6 7.40 4 미국 86.8 -2.05 88.1 1.49 78.8 -10.58 78.4 -0.47 5 러시아 70.8 0.13 71.4 0.79 70.8 -0.79 70.8 -0.12 6 한국 69.6 1.60 71.5 2.69 69.6 -2.62 68.5 -1.57 7 독일 42.6 -0.04 42.9 0.70 42.6 -0.62 42.0 -1.40 8 터키 34.6 -3.43 34.0 -1.79 31.5 -7.40 33.1 5.22 9 브라질 34.1 -1.05 33.8 -0.78 33.2 -1.89 31.2 -5.96 10 우크라이나 32.7 -0.62 27.1 -17.09 22.9 -15.47 24.2 5.44
<표 Ⅲ-7> 세계 10대 국가별 조강 생산량
(단위 : 백만 톤, %)
자료: 세계철강협회, Steel Statistical Yearbook, 2017, pp.31-52, 자료 재 작성.
중국은 2012년, 2013년에 철강 재계 각 품목별 생산량과 증감률은 상당한 폭 으로 증가하였으나 2015년에 접어들어서는 공급과잉 문제점과 중국 정부의 정 책의 일환으로 대형 제강사의 인수 합병 및 생산 시 발생하는 배출가스로 인한 환경오염의 심각성이 대두 되었고, 노후화 된 설비 시설로 인하여 기술 개발의 한계와 중국 전체의 철강 조강 및 재계 생산에 차질을 빚어 왔다. 또한 중국의 경제개발과 내수시장공급과 관련하여 현 상황에서 지역적 불균형의 심화와 함 께 2015년 12월 말, 국제 철강 가격지수가 32.4%하락하여 전 세계 철강 산업에 슬럼프의 위기에 봉착하였다. 이로 인하여, 중국 정부는 생산량의 감소와 함께 12-5개년 기간 동안 9천만 톤의 생산량을 절감하기로 하였다. 2016년 2월 중국 정부에서는 철강 산업에서 생산량 절감과 더 나은 개발을 위해 어려움을 해결 하기 위한 지침서를 발행하였다. 다양한 방법으로 향후 5년간 1억에서 1.5억 톤 의 생산을 줄이는 계획과 고용 불안정의 완화와 과잉 생산을 줄이기 위한 노 력, 공급과 수요의 균형을 맞추기 위하여 유럽, 북미 지역의 선진국들로부터 많 은 경험을 습득하기로 하였다.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생산량 증감률 생산량 증감률 생산량 증감률 생산량 증감률
열간압연강재 950,651 7.39 1,077,477 13.34 1,125,574 4.46 1,112,424 -1.17 봉형강류 458,400 9.85 517,973 13.00 523,879 1.14 498,647 -4.82 판재류 285,545 3.22 311,564 9.11 317,387 1.87 322,259 1.54 무계목강관 24,082 1.40 29,984 24.51 31,370 4.62 28,577 -8.90
용접강관 47,103 18.07 53,587 13.77 57,610 7.51 69,696 20.98
<표 Ⅲ-8> 중국 철강 재계 품목별 생산
(단위 : 천 톤, %)
2) 중국의 철강 소비 현황
중국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2012년 글로벌 성장둔화인 뉴노멀(신창 타이)을 맞아 철강 산업의 과잉생산을 해결하기 위한 경제 정책의 일환으로 일 대일로 프로젝트8)를 추진하고 있다. 대내적으로는 신규 수요를 창출하고 대외 적으로는 중국의 국제적 위상을 강화하여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국정 사 업이다.
중국은 철강 산업에 있어서 공급과잉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급단가를 낮 춰 소비를 늘리는 정책을 고사하였지만 공급단가의 하락 보다는 원가의 하락으 로 인하여 공급단가가 하락되는 결과를 가져와 중국 내수 시장의 소비 활성화 와 함께 수출산업의 동력으로 일원해 왔다. 2015년 철강 조강 소비량이 전년대 비 감소한 이유는 중국 경제의 13-5개년 계획과 함께 중국의 제도 개혁을 앞세 워 투자와 수출 중심의 경제에서 내수, 소비 중심의 경제 개발 계획과 중국 경 제의 중장기 성장률이 매년 낮아지고 있는 것 또한 중국 조강 소비량의 하락으 로 이어졌다. 이로 인하여 중국은 경제 구조의 변화를 통하여 철강수요의 변수 를 변화시켜 장기적으로 선진국형 철강소비구조화를 추진하고 있다.
2016년 까지 중국의 조강 소비량은 세계 시장의 43%를 점유하고 있으며, 세 계 조강 소비량의 증가와 감소가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다.
8) 중국이 추진하는 일대일로 프로젝트는 중앙아시아, 유럽을 잇는 육상, 동남아, 유럽, 아프리카를 연결하 는 해상 실크로드를 통해 2049년까지 65개 국가를 연결하는 21세기 新실크로드 전략
(단위 : 백만 톤)
자료: 세계철강협회, Steel Statistical Yearbook, 2017, p.81, 자료 재 작성.
<그림 Ⅲ-5> 중국 조강 소비량
중국의 철강 수요는 2020년을 전후로 피크를 예상을 하고 있으며, 약 8.3 억 톤 정도의 조강 수요가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국 조강 수요는 고정투 자와 경제성장률과 함께 동반 상승하여 2020년 후로는 5~10년간 약 8억 톤 수 준을 유지할 것 이라는 전망을 하고 있다. (심상형, 2014)
중국 철강 재계 소비량은 2013년에 전년 대비 11.36% 증가한 7.35억 톤을 기 록하였다. 그 후 조강 소비량과 함께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으며, 6.81억 톤 까 지 하락하였다. 철강 재계 1 인당 소비량을 보면 2016년 까지 세계 10위 권 이 내에 자리 잡고 있으며, 400 킬로그램 후 반대에서 500 킬로그램 초반 대 까지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고 있다.
0 500 1000 1500 2000 백
만 톤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연도
1410 1522 1554 1652 1668 1616 1631
612 667 687 765 740 700 709
중국 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