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한국의 對중국 수출입 변동률

제1절 한·중 철강의 수출입 변동률 분석

철강 교역이 활발한 중국과는 세계 수입량의 증가와 함께 2010년 869만 톤을 수입하여 전체 수입 물량의 34.64%를 점유하기 시작하여 2015년에는 1.58배 상 승하여 1,373만 톤을 수입하였다. 중국은 공급과잉 현상을 해소하고 내수시장을 보호하기 위하여 수출을 확대하는 정책과 함께 공급 단가와 원가의 하락으로 2014년도에는 중국으로부터 1,340만 톤을 수입하여 전년대비 35.03%의 높은 증 가율과 51억 달러의 對중국 무역적자를 기록하였다. 2015년 에는 對중국 수입 량의 점유율이 전체의 62.26%로 근래 들어 가장 높은 점유율을 기록하였다. 전 체 수입량에서 중국의 점유율이 상승한 이유는 2015년 12월 까지 중국 철강재 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2012년 12월 기준으로 절반 정도의 가격이 형 성되었기 때문이다. 2016년부터 중국 철강재의 가격이 다시 회복기에 접어들어 2017년에는 전년대비 수입량(1,153만 톤, 점유율 58.42%)이 -21.14% 하락하였다.

중국으로 부터는 저급 강재와 범용제품을 위주로 수입을 하고 있으며, 고부가 가치 제품 및 고급 강재는 일본에서 주로 수입(2016년 기준 수입량 전체의 29.61%)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은 우수한 설비능력과 품질,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계 철강 산업의 선두 그룹에 속해 있다. 2010년 전체 수출량 2,488만 톤에서 2017년 3,168만 톤으로 27.33% 증가 하였으며, 2016년에는 전체 수출량의 14.89%를 중국으로 수출하여 높은 점유율을 기록 하였다. 그렇지만 중국 수출의 평균량은 2010년 이후부터 400만 톤 초중반대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중국의 생산능력의 향상과 자국 시 장에서의 자체생산과 소비가 잘 융화된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중국 정부의 정책의 영향과 성장구조의 변화로 인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12-5개년 계획 기간에는 중국 정부 정책의 일환으로 정부주도의 투자와 수출위주의 정책을 추 구하였지만, 13-5개년 계획 기간에는 일대일로 프로젝트를 통하여 해외진출을 장려하고, 정부주도로 전체제강사의 구조조정(M&A)을 진행하였으며 금융권의 대출 규제와 환경 규제의 강화로 계획기간 중 8,000만 톤을 감산하는 목표와 민간주도의 투자로 중국 정부 정책의 변화가 큰 역할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

대중 수출 10대 품목의 25년간 변화를 확인해보면, 1992년에 1위 품목이 철 강판 이였다. 그러나 25년 후, 2016년에는 철강판 품목의 구성비율이 2.3%로 10

와 한국 기업들의 대중 투자와 함께 원부자재 수입 구조에 따라 수입 증가로 인한 것과 수교 초기에는 철강 등 원자재를 수출하는 구조에서 최근에는 디스 플레이, 반도체 등 첨단산업제품으로 산업내 무역이 확대되는 추세로 인한 결 과이다. 對중국 수출 10대 품목 구성비 변화를 확인해보면 철강판 순위, 1위, 15.8% (1992년), → 3위, 5.0% (1995년), → 4위, 6.0% (2000년), → 6위, 5.5%

(2005년), → 8위, 2.7% (2010년), →10위, 2.3% (2016년)로 수출 품목의 구조가 변화되었다.9)

한국의 철강 산업은 고부가가치 제품들을 제외하면 수요산업의 성장 둔화로 경제 성장률에 미치지 못하는 낮은 수준의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판단된다.

9) 산업통상자원부, www.fta.go.kr/cn/data/1/, [한·중 수교 25주년①] 무역통계로 보는 한·중 경제

자료: 한국철강협회, 2017, 자료 재 작성.

수출 수입 무역수지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2010

세계합계 24,881 25,020 25,089 21,111 -208 3,908 중국합계 4,513 4,652 8,691 6,838 -4,178 -2,186

점유율 18.14

 

34.64

     

2011

세계합계 29,090 32,301 23,120 23,963 5,969 8,338 중국합계 4,675 5,098 10,195 9,441 -5,519 -4,343

점유율 16.07

 

44.09

     

2012

세계합계 30,484 31,132 20,706 20,033 9,778 11,099 중국합계 4,235 4,281 10,239 8,371 -6,003 -4,090

점유율 13.90

 

49.45

     

2013

세계합계 29,191 27,485 19,392 18,666 9,798 8,819 중국합계 4,556 4,320 9,928 7,672 -5,372 -3,351

점유율 15.61

 

51.20

     

2014

세계합계 32,256 29,907 22,749 20,524 9,507 9,383 중국합계 4,735 4,561 13,407 9,673 -8,671 -5,111

점유율 14.68

 

58.93

     

2015

세계합계 31,551 24,290 22,056 15,651 9,494 8,638 중국합계 4,145 3,626 13,732 7,691 -9,587 -4,065

점유율 13.14

 

62.26

     

2016

세계합계 30,969 22,423 23,716 14,306 7,253 8,117 중국합계 4,610 3,706 14,622 7,354 -10,011 -3,647

점유율 14.89

 

61.66

     

2017

세계합계 31,686 26,970 19,738 15,538 11,948 11,432 중국합계 4,257 4,036 11,531 8,015 -7,273 -3,978

점유율 13.44

 

58.42

     

<표 Ⅳ-2> 한국의 對중국 수출입 물량 및 금액

(단위 : 천 톤, 백만 달러, %)

한·중 FTA와 관련하여 일부 전문가들은 양허유형만을 분류하여 발효 이후 한국은 對중국 제품의 무관세 적용으로 수입과는 무관할 것이며, 수출의 경우 일부 품목을 제외하면 관세 철폐로 인하여 수출 효과가 증대될 것이라는 판단 을 하였다. 반면에, 중국 철강시장의 공급과잉 심화와 고급 철강재의 양허 제외 등을 감안할 때 수출 효과는 미미 할 것으로 분석한 전문가들도 있었다 (하나 금융, 2014).

2015년 12월 발효된 다음해인 2016년에는 對중국 수출과 수입량이 모두 (전 년대비 11.23%, 6.48%) 증가하였다. 이는 중국의 경제 개혁 정책의 일환인 신창 타이를 맞아 중국 정부는 경제둔화의 주요원인이 수요가 아닌 공급 문제라 판 단하고 공급 측 개혁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에 따라 공급과잉 업종인 철강 의 생산량은 상반기에 1.1% 감소하였으며 (KOTRA, 2016), 그 결과로 수출량과 수입량이 모두 증가 하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한·중 FTA 발효이후에 원산 지증명서 발급율을 기준으로 업종별 활용율을 확인한 결과 산업 원자재인 철강 은 FTA 활용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KOTRA, 2016), 이는 중국 정부 정책과 함 께 FTA로 인한 효과로 판단할 수 있다.

최근 중국 철강 수요 증가율은 전년대비 +10%로 둔화됐다. 수요 증가율 둔화 의 가장 큰 요인은 첫째, 중국의 동절기 감산 정책에 따른 생산량 감소 둘째, 계절적 비수기 영향으로 파악된다. 2017년 연말까지 중국의 철강 수요는 단기 적으로 둔화될 가능성이 높으나 2018년에는 실질적인 철강수요 지표는 PPP(민 관합작투자사업) 및 일대일로 인프라투자, 건설 및 부동산 투자 지표 개선과 함 께 다시 회복될 것으로 전망(한유건, 2017)하여 전년대비 353천 톤 감소되었던 對중국 수출량이 다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