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분류를 통하여 전체적으로 분석한 결과 철강 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아 <표Ⅳ-17>과 같이 중분류를 통한 한·중 FTA의 경제 적 효과를 TSI와 MCA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중분류 24가지 중 단일 품목으로 구분되어 있는 강관, 주단강, 강반제품, 강선류, 주철류, 및 2차제품의 경우는
대분류
수출입증감률 무역특화지수 MCA 한국시장 MCA 중국시장
FTA 전 FTA 후 FTA 전 FTA 후 FTA 전 FTA 후 FTA 전 FTA 후
봉형강류 일시적 수출 및
수입 상승 수입특화 수입특화 절대우위 절대우위 절대우위 절대우위
판재류 일시적 수입 상승
및 하락 우위중립 우위중립 절대우위 절대우위 절대우위 절대우위
강관 일시적 수출 및
수입 상승 수입우위 수입우위 절대우위 절대우위 절대우위 절대우위
주단강 거의 변동 없음 우위중립 우위중립 절대우위 절대우위 절대우위 상대우위
강반제품 일시적 수출 및
수입 상승 수입특화 수입우위 절대우위 상대우위 상대우위 상대열위
강선류 일시적 수입 상승 우위중립 우위중립 절대우위 절대우위 절대우위 절대우위
주철류 일시적 수출 및
수입 상승 수입특화 수입특화 절대우위 절대우위 절대열위 상대우위
2차제품 일시적 수출 및
수입 상승 수입우위 수입우위 절대우위 절대우위 절대우위 절대우위
<표Ⅳ-16> 대분류 내용 분석 결과
대분류와 중분류가 동일하기 때문에 이들 품목은 제외하고 봉형강류와 판재류 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대분류 중분류 품목 분석확인 및 비고사항
봉형강류
형강 ○
봉강 X
철근 X
선재 ○
궤조 X
판재류
중후판 ○
열연강판 X
STS열연강판 X
냉연박판 X
냉연광폭강대 ○
냉연협폭강대 ○
STS냉연강판 X
전기강판 X
석도강판 ○
용융아연도강판 ○
전기아연도강판 X
칼라강판 X
기타도금강판 ○
강관 강관 대분류와 동일
주단강 주단강 대분류와 동일
강반제품 강반제품 대분류와 동일
강선류 강선류 대분류와 동일
주철류 주철류 대분류와 동일
2차제품 2차제품 대분류와 동일
<표Ⅳ-17> 중분류 분석 해당 품목
1) 형강
형강류의 對중국 수출의 경우 FTA 발효 이후 2017년 1분기 까지 상승과 하 락을 반복하여 나타내었으나 2분기부터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수입의 경 우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여 나타내었다.
첫째, TSI는 2012년 1분기부터 2017년 4분기 까지 -0.9 이상의 완전수입특화 에 가깝게 나타내고 있어 한국의 입장에서는 FTA의 효과가 없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둘째, MCA의 경우 2012년부터 1분기부터 2017년까지 한국시장에서 중국산 형강류의 지수가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2017년 2분기에는 1 포인트 대로 하락하 여 중국산 형강류의 경쟁력이 약화된 것을 알 수 있으며, 중국시장에서 한국산 봉강류는 FTA 발효 후부터 절대우위에서 상대우위로 나타내고 있어 한국의 입 장에서는 부정적인 영향이 큰 것으로 분류 할 수 있다.
<그림 Ⅳ-9> 한국·중국시장에서 형강 MCA 분기별 비교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5.0
M C A
2012-Q1 2013-Q1 2014-Q1 2015-Q1 2016-Q1 2017-Q1 분기
한국시장 중국시장
FTA 2015.12
2) 선재
선재의 수출은 예상외의 큰 폭으로 상승과 하락을 나타내고 있으며, 수입 역 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Ⅳ-10>에 따르면,
첫째, TSI의 경우 FTA 전·후로 하여 수입우위 및 수입특화를 나타내고 있어 중국산 제품이 많이 수입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MCA를 한국시장에서 중국산 선재는 2~3 포인트 대를 유지하며, 절대 우위의 값을 나타내었고 중국시장에서 한국산 선재는 1 포인트대의 절대 우위 값을 나타내었으나 FTA 후 2 포인트 이상의 값을 나타내어 중국내에서 한국산 선재의 비중이 약간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림 Ⅳ-10> 한국·중국시장에서 선재 MCA 분기별 비교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5.0
M C A
2012-Q1 2013-Q1 2014-Q1 2015-Q1 2016-Q1 2017-Q1 분기
한국시장 중국시장
FTA 2015.12
3) 중후판
중후판은 조선용 자재부터 산업 전반에 걸쳐 많이 사용되고 있는 품목 중 하 나이다. 수출은 일정한 범위 내에서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여 나타내고 있으며, 수입은 FTA 후에 약간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첫째, TSI는 FTA전에는 수입우위를 나타내었으나 FTA 후에는 수입우위에서 비교우위 중립으로 변화하는 현상을 보였다.
둘째, 중국산 중후판의 한국시장에서의 MCA를 확인해 보면 FTA전에는 절대 우위인 2~3 포인트를 나타내고 있으나 FTA 후에는 1~2 포인트(절대 우위)로 약 간 하락하는 양상을 보였다. 중국시장에서 한국산 후판의 MCA를 확인해 보면 1 포인트 절대 우위에서 2포인트 절대 우위를 나타냄으로써 중국시장에서 한국 산 후판의 비중이 약간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림 Ⅳ-11> 한국·중국시장에서 중후판 MCA 분기별 비교
0.0 0.5 1.0 1.5 2.0 2.5 3.0 3.5 4.0
M C A
2012-Q1 2013-Q1 2014-Q1 2015-Q1 2016-Q1 2017-Q1 분기
한국시장 중국시장
FTA 2015.12
4) 냉연광폭강대
냉연광폭강대는 자동차용, 가전제품, 강재가구등에 주로 사용되는 원자재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TSI의 경우 FTA 전과 후 모두 수출 우위를 나타내고 있다.
둘째, MCA의 경우 한국시장에서 중국산 냉연광폭강대는 3 포인트를 기준으 로 하여 절대 우위를 나타내고 있다. 중국시장에서 한국산 냉연광폭강대는 3~4 포인트를 유지하고 있지만 FTA 후 지수가 좀 더 상승한 것으로 분석 되었다.
<그림 Ⅳ-12> 한국·중국시장에서 냉연광폭강대 MCA 분기별 비교
5) 냉연협폭강대
냉연협폭강대는 냉연광폭강대와 마찬가지로 자동차용, 가전제품, 강재가구등 에 주로 사용되는 원자재로 구분할 수 있다. 수출은 소폭으로 상승과 하락을 동반하여 나타내고 있으며, 수입은 수출보다는 좀 더 큰 폭으로 상승과 하락을
0 1 2 3 4 5 6
M C A
2012-Q1 2013-Q1 2014-Q1 2015-Q1 2016-Q1 2017-Q1 분기
한국시장 중국시장
FTA 2015.12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첫째, TSI의 경우 2012년부터 2017년 까지 수출 특화와 수출 우위를 반복하여 다른 품목과는 다르게 수출우위에 위치해 있다.
둘째, MCA의 경우 한국시장에서는 중국산 냉연협폭강대가 FTA 전과 후로 하여 상대우위를 나타내고 있으며, 중국시장에서 한국산 냉연협폭강대는 FTA 전부터 절대 우위를 나타내고 있었으나 지수가 1 포인트에서 2 포인트로 상승 하여 FTA 후 MCA가 상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림 Ⅳ-13> 한국·중국시장에서 냉연협폭강대 MCA 분기별 비교
6) 석도강판
석도강판은 주로 식관용, 잡관용, 기타용기용 으로 많이 사용된다.
먼저 수출과 수입 모두 큰 폭으로 상승과 하락을 나타내고 있다.
첫째, TSI의 경우 FTA 전에는 수입 우위에 위치해 있었으나 FTA 후에는 수
0.0 0.5 1.0 1.5 2.0 2.5 3.0
M C A
2012-Q1 2013-Q1 2014-Q1 2015-Q1 2016-Q1 2017-Q1 분기
한국시장 중국시장
FTA 2015.12
입특화로 전환되어 한국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둘째, 석도강판의 MCA는 한국시장에서 FTA 전과 후2~3 포인트대를 유지하 며 절대 우위에 위치해 있었으나 2017년 4분기에는 1.68의 낮은 수치를 나타내 어 향후 시장의 변화를 좀더 확인해 볼 필요성이 있는 품목으로 분류할 수 있 으며, 중국시장에서 한국산 석도강판의 경우 큰 변화 없이 FTA 전과 후에 1~2 포인트의 절대 우위 현상을 나타내었다.
<그림 Ⅳ-14> 한국·중국시장에서 석도강판 MCA 분기별 비교
7) 용융아연도강판
용융아연도강판은 주로 가전제품, 각종구조물의 부재료 및 건자재용으로 많 이 사용되고 있다.
첫째, TSI를 확인해보면 2012년 1분기부터 비교우위 중립을 유지하고 있으나
0.0 0.5 1.0 1.5 2.0 2.5 3.0 3.5 4.0
M C A
2012-Q1 2013-Q1 2014-Q1 2015-Q1 2016-Q1 2017-Q1 분기
한국시장 중국시장
FTA 2015.12
한국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MCA의 경우 한국시장에서 중국산 용융아연도강판의 경우 FTA 전과 후 모두 3~4 이상의 절대 우위 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2016년 2분기 부터 는 4 포인트 이상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중국시장에서 한국산 용융아연도강판의 MCA를 확인해보면 FTA 전에는 5 포 인트 대를 유지해왔으나 FTA 후에는 6 포인트 까지 상승하며 절대우위의 값을 나타내었다. 한국과 중국의 교류가 활발한 품목 중 하나로 양 국가 모두 절대 우위의 값을 가지고 있지만 한국산 제품이 중국산 제품보다 높은 시장비교우위 를 나타냄으로써 제품의 기술력 우위를 확인할 수 있는 분석 결과를 나타내었 다.
<그림 Ⅳ-15> 한국·중국시장에서 용융아연도강판 MCA 분기별 비교
0 1 2 3 4 5 6 7
M C A
2012-Q1 2013-Q1 2014-Q1 2015-Q1 2016-Q1 2017-Q1 분기
한국시장 중국시장
FTA 2015.12
8) 기타도금강판
기타도금강판은 전기, 전자제품, 자동차부품, 자동차 배기계, 열교환기등에 주 로 사용된다.
첫째, TSI의 경우 FTA 전과 후 모두 수입우위와 비교우위 중립을 유지하고 있다.
둘째, 한국시장에서 중국산 제품의 MCA는 1 포인트대 절대 열위에서 FTA 직전에 상대우위로 전환되었다가 2016년 1분기부터 지수가 지속적으로 상승하 며 절대 우위를 나타내고 있다.
중국시장에서 한국산 기타도금강판의 경우 FTA 전에 지수가 3 포인트에서 2015년 3분기부터 2 포인트로 하락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기타도금강판에는 고부가가치 제품들이 포함되어 있어 한국의 지수가 높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림 Ⅳ-16> 한국·중국시장에서 기타도금강판 MCA 분기별 비교
0.0 0.5 1.0 1.5 2.0 2.5 3.0 3.5 4.0 4.5
M C A
2012-Q1 2013-Q1 2014-Q1 2015-Q1 2016-Q1 2017-Q1 분기
한국시장 중국시장
FTA 2015.12
첫째, 형강류의 경우 중국시장 MCA 분석결과 절대 우위에서 FTA 후 2015년 4분기부터 상대우위로 하락하는 부정적인 현상을 나타내었다.
둘째, 선재의 경우 중국시장 MCA 분석결과 절대우위지수가 1 포인트 대에서 2포인트대로 상승하여 FTA로 인한 긍정적인 현상을 나타내었다.
셋째, 중후판의 경우 TSI의 수입우위 및 비교우위중립을 유지하였으며, 한국 시장에서 MCA값이 절대우위지수의 하락과 중국시장 MCA값이 상승하는 긍정 적인 분석결과를 나타내었다.
넷째, 냉연광폭강대의 경우 중국시장 MCA값이 3포인트대에서 FTA후 4포인 트로 상승하는 긍정적인 현상을 보였다.
다섯째, 냉연협폭강대는 TSI 수출특화 및 수출우위에서, 중국시장의 MCA값이 1포인트대에서 FTA후 2포인트대로 상승하는 긍정적인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여섯째, 석도강판은 TSI 결과 수입우위에서 수입특화로 FTA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보여주었다.
일곱째, 용융아연도강판은 중국시장 MCA값이 5에서 6포인트대로 상승하였고, 한국시장 MCA값은 4포인트대를 유지하여 FTA로 인한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 었다.
여덟째, 기타도금강판은 한국시장 MCA값이 FTA후 절대우위지수가 지속적으 로 상승하여 부정적인 현상을 나타내었다.
아홉째, 강관류는 한국시장 MCA값이 절대우위지수 1포인트대에서 2포인트대 로 상승하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열 째, 주철류는 TSI는 수입특화지수가 상승하였으며, 중국시장 MCA값이 2017년 2분기부터 절대우위에서 상대우위로 전환되는 부정적인 결과를 나타내 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