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한국 철강 산업의 현황

아니라 중국, 일본 역시 2014년부터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에 아시아 시장 은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해 왔으며, 아시아 시장의 연평균 조강 생산량 증가율 은 4.59%를 기록하여 한국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다.

한국의 조강 생산량은 세계 시장 에서의 연평균 점유율 4.15% 보다 아시아 시장에서 6.41%의 연평균 점유율을 나타내어 세계 시장에서 아시아 조강 생산 시장의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자료: 한국철강협회, 철강통계연보, 2017, pp.36-37, 자료 재 작성.

2016년까지 10년 간 세계 조강 생산량의 연평균 증가율 2.32%보다는 한국 조 강 생산량의 연평균 증가율이 3.65%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세계 시장에서의 연 평균 점유율은 아시아 시장에서의 연평균 점유율과 비슷한 4%대를 기록하였다.

한국의 철강재계 생산량을 품목별로 확인해 보면 한국에서 많이 생산하고 있 는 제품 중 하나인 열연코일은 판재류(2015년부터 약 4,655만 톤 이상을 생산) 에 해당하는 품목으로 2016년 생산량은 3,723만 톤으로 철강 재계 전체에서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열연코일은 냉연제품과 도금, 합금 제품과 많이 사용 되며, 주로 건설, 건축, 중공업 등 많은 분야에 사용되는 품목이다. 판재류중 하  

2008년 2010년 2012년 2014년 2016년 연평균 증가율 및

연평균 점유율 한국 53,625 58,914 69,073 71,543 68,576 3.65 아시아 784,090 918,449 1,026,801 1,139,666 1,126,263 4.59 아시아

점유율 6.84 6.41 6.73 6.28 6.09 6.41

세계 1,343,429 1,433,433 1,560,131 1,669,894 1,629,616 2.32 세계

점유율 3.99 4.11 4.43 4.28 4.21 4.15

<표 Ⅲ-5> 한국의 아시아, 세계 시장 점유율

(단위 : 천 톤, %)

나인 냉연강판 및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전기아연도강판, 칼라강판, 중후판이 대 부분의 주 생산 품목으로 각 품목별 백만 톤 단위 이상을 생산하고 있다. 봉형 강류에 포함되어 있는 철근은 2016년 기준으로 1,034만 톤을 생산하여 철강 재 계 전체에서 13.9%를 생산하고 있다. 그 외 파이프와 튜브 품목으로 분류되는 강관류가 5백 만 톤 이상을 생산하고 있다. 한국에서 생산되는 철강 재계 제품 은 수출물량과 직소비량으로 연결되는 품목으로 한국의 경제성장과 발달된 기 술력을 보여주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표 Ⅲ-6> 한국 철강 재계 품목별 생산

(단위 : 만 톤, %)

자료: 한국철강협회, 철강통계연보, 2017, pp.10-11, 자료 재 작성.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생산량 증감률 생산량 증감률 생산량 증감률 생산량 증감률

봉형강류 1,977 1.33 2,005 1.38 1,993 -0.57 2,009 0.78 판재류 4,016 -5.84 4,448 10.76 4,655 4.64 4,638 -0.35

강관 565 -0.11 640 13.33 492 -23.10 520 5.63

주단강 167 -1.52 175 4.88 172 -1.91 174 1.24

강반제품 134 -32.15 86 -35.44 48 -44.35 35 -27.03

강선류 52 10.01 53 1.33 53 -0.36 52 -2.08

철강재계 6,914 -3.96 7,410 7.18 7,415 0.07 7,430 0.20

2) 한국의 철강 소비 현황

한국의 철강 산업은 1970년대부터 본격적인 도약기를 시작으로 2000년부터 조강 생산량과 조강 소비량이 급증하여 2016년도 5,945만 톤을 소비하며, 세계 조강 소비량의 3.64%를 소비하였다. 아시아 시장에서 중국, 인도, 일본 다음으 로 많이 소비를 하고 있다.

(단위 : 천 톤)

자료: 세계철강협회, Steel Statistical Yearbook, 2017, p.81.

<그림 Ⅲ-3> 한국 조강 소비량

2010년 세계 철강 재계 소비량은 13.1 억 톤으로 집계되었다. 한국의 소비량 은 5,239 만 톤으로 세계 시장 점유율 4.0%를 기록하였으며, 2016년 까지 5천만 톤 이상의 소비량과 3% 중 후반의 점유율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0 20000 40000 60000 80000 천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연도

54573 58741 56322 53919 57834 58125 59457

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