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대상 부두에 대한 처리 방안

5.2 부두 접안가능 선박 분석

5.2.2 대상 부두에 대한 처리 방안

Table 5.21 Summary of possible smallest tanker at each pier

부두  L/Arm 편위

BD 간격최소한계 PBL Ⓐ

설계(LOA) LOA계산 최소선박 DWT추정

구분 방향 편위량 DWT Ⓐ÷0.45 편위시 중앙위치

J-1 F.O. N 7.5 60.5 75.5 (140.0) 167.8 28,000

14,000 Product S 4.5 60.5 69.5 10,000 154.4 24,000

J-2 C.O/F.O N 1 75.0 77.0 (187.0) 171.1 30,000

27,000 Product N 13 75.0 101.0 30,000 224.4 75,000

J-3 C.O/F.O S 1.5 95.0 98.0 (260.0) 217.8 67,000

60,000 Product N 12.5 95.0 120.0 80,000 266.7 131,000

J-4

F.O N 12 55.0 79.0 (140.0) 175.6 33,000

10,000 Product N 0.5 55.0 56.0 10,000 124.4 11,000

F.O N 12 40.9 64.9 (61.0) 144.2 17,000

4,000 Product N 0.5 40.9 41.9 1,000 93.1 4,000

편, J-4의 경우 Sub B/D를 40.9m를 적용하였을 때는 FO측이 17,000DWT, Product측은 4,000DWT가 한계로 나타나 소형선박의 계류에서는 별도의 Fender 및 Bollard 설치가 필요할 것이다.

부두의 효율성을 위해서는 J-1, J-2, J-3 각 부두에 Sub B/D를 설치하여 최 소선박의 DWT를 가능한 한 낮추는 방안이 합리적이다. 다만, 현재 상태대로 운영을 해야 한다면 운영매뉴얼상의 최소선박 기준을 설계기준보다 실제 운항 되거나 건조되고 있는 선박의 LOA(PBL) 기준으로 하고 최대선박은 현재 계획 한 바와 같이 DWT 기준으로 부두 운영에 반영하되 실제로 J-1에 부합되지 않 은 최소선박들은 J-4 부두에 Sub B/D를 반영한 후 접안토록하는 방안이 경제 적인 것으로 판단한다.

(2) 계류안정성을 위한 시설보완

J-1, J-2, J-3, J-4 부두 : Fender 의 크기 보완으로 B/D선과 W/P사이의 간 격을 1.5m~2.7m로 하여 접안시 W/P에 선박의 충격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변경 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J-4 부두 : 10,000DWT급 이하 소형선박에 부합하도록 Sub B/D 혹은 Sub Fender 추가를 반드시 검토하여야 한다. J-4 부두에서 Sub B/D을 계획할 때에 는 최대한 W/P쪽으로 가까이 설치하여 10,000DWT 이하의 선박을 안전하게 접 안시키도록 하여야 하는데, 특히 J-4부두는 W/P의 구조물과 선박의 법선과의 간격이 설계서상에는 0.8m 밖에 되지 않으므로 선박접안시 Fender의 최대 수 축범위 약 50%를 감안하면 불과 0.4m의 여유밖에 없다. 따라서, W/P의 하역설 비인 Loading Arm 등 구조물에 손상을 가져올 때에는 상당한 기간의 터미널 폐쇄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B/D의 Fender 규격을 1.5m 높이의 것으로 상향 조 정한 것은 바람직하다.

B/D와 W/P사이에 Sub B/D를 설치하더라도 Sub Fender와 Bollard가 필요하 다. J-4 부두에서 접안시 선박의 선수부 또는 선미부 한쪽은 B/D에 접촉이 되 더라도 다른 한쪽은 W/P에 접촉할 수 밖에 없다. 이 경우 W/P상 기존의 Fender 간격으로는 선수 또는 선미 굴곡부에 접하게 되어 선체손상의 우려와

W/P의 안정이 염려된다. 따라서, W/P상의 기존 Fender 사이에 Sub Fender의 설치와 W/P상에 Bollard의 추가가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한편, 위와 같이 소형선의 접안시 충격으로부터 W/P를 보호하고 선박을 안 전하게 접안시키기 위한 대책으로 도선법에 의거한 예인선사용(1,000DWT이상 의무 사용)에 1척을 지원하여 선박이 평행상태로 접안하도록 유도하여 W/P에 최소한의 영향이 미치도록 하고, 비상시 이 예선을 방제선 겸용으로 운영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