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3.2 계류시설의 배치 기준

3.2.4 캐나다 설계 기준

캐나다 설계기준(Canadian Code)에서는 계류시설이 모든 선박에 대해 과도 한 부하없이 종방향 및 횡방향의 제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배치하여야 하 며, 선체중량, 흐름, 바람, 파랑 및 빙하 등의 외력에 반하여 운영기준을 만 족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선수미 계류색을 고정하기 위한 2개의 외측 M/D은 계류색과 부두면 축과의 수평각이 약 45°를 유지하도록 계획한다. Breast line을 고정하기 위한 2개 의 내측 B/D은 수직각이 45°가 넘지 않도록, 또한 Fairlead에 대해 수평각이 90° 부근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최소의 선박 계류를 위한 계류제한조건을 만족하도록 계획된 부두에서 계류 돌핀의 위치는 계류색의 강도, Fairlead의 수와 위치 등을 고려하였는지를 점 검하여야 한다. 선내 Fairlead와 계류시설간의 계류색에는 장애물이 없어야 한다.

선박 계류를 위한 계류 시설의 위치는 만재상태나 공선상태, 달리 단일 접 안을 명시하여 설계하지 않는 한 입선 접안 및 해람의 계류 형태 등의 모든 선박조건에 대해 만족한 계류형태를 입증하여야 하며, 계류시설은 부두운영조 건 범위내에서 어떠한 방향에서든 흐름, 가장 격한 바람 및 빙하상태의 조합 하에서 공선상태 및 만재상태의 최대선박으로 인한 외력에 대응하도록 설계하 여야 한다.

100,000DWT이상의 선박에 대한 부두설계에서는 계류시설 중에 Quick Release Hook(QRH)를 비치하여야 하며 각각은 모든 계류색 각도에 대해 수직 및 수평면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어야 한다. 계류시설 및 계류장치의 각 구 성부분의 최소안전계수는 1.6이며 최대계류하중으로 공장실험을 할 때마다 자 격있는 검사관이 입회하여야 한다. 각 장치는 계류색을 사고로 풀어버리지 않 도록 잠금장치를 하여야 한다. 전기장치는 기상조건에 대해 보호되어야 하며 모터도 완전히 케이스내부에 장착되어야 한다. 이 장치가 위해한 곳에 위치한

경우는 Canadian Electric Code에 따라서 승인을 받아야 한다.

B/D의 간격은 계류할 최대설계선박 전장의 35%보다 작지 않아야 하며, 최소 설계선박 전장의 50%를 초과해서는 않된다. 선수미 계류색 및 Breast line을 연결하는 M/D은 Diagram B를 따라야 한다.

계류색은 선박의 중앙에서 가능한 한 대칭으로 배치하여야 하며, Breast line은 선박의 종축선에 가능하면 직교하도록 배치하고, Spring Line은 선박 의 종축선에 가능한 한 나란하게 배치하여야 한다. 계류색의 연직각은 최소화 되도록 유지한다.

일반적으로 계류색은 같은 크기의 같은 재질을 사용하도록 하여야 하는데 만약 이것이 불가능 할 경우에는 같은 역할을 하는 계류색에 대해서만큼은 동 일한 크기와 재료로 하도록 한다.

Fig. 3.25 Minimum mooring line arrangement for tanker ship (Transport Canada TEMPOL Review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