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I. 서론
Ⅳ. 대학의 교양 ‘과학’ 교육의 성과 판단을 위한 전문가 의견 조사 결과
¡ 연구진 및 과학 교양영역의 강의 담당 교수들과의 협의를 통해 과학 교양영역의 현황 및 과학 교양영역의 학습 성과 진단 방안을 개발 시 쟁점사항 등을 정리하면 아래 표와 같음.
¡ 앞서 본 연구 제시하였던 대학 교육과정의 수준을 강좌, 단과대학, 대학으로 구분하였으며, 대학 간 비교를 위해 별도로 대학 간 과학 교양영역의 현황 및 학습 성과 진단 쟁점사항 별도의 항목으로 구성함.
<표 Ⅳ-1> 과학 교양영역의 현황 및 쟁점사항
구분 현황 학습 성과 진단 방안의
쟁점사항
강좌
• 과학교육과 관련된 학생들의 수준 차 존재
• 고등학교 문과 졸업생의 경우, 교양학점 취득 을 위해 이수하는 경우가 많음(학습자의 학습 동기가 낮음)
• 교수자별 상이한 학습 성과 평가
• 개별 전공에서 교수 위주의 강좌 개설
• 동일 강좌라도 교수자에 따른 교육내용, 평가 등이 상이
• 기초 과학 영역의 범위, 내용, 수준 결정
• 전공별 기초 과학교양 영역의 필수 강좌 검토
• 기초 과학 영역의 교양 필수 화 및 학점 조절
• 기초 과학학력 진단평가
• 진단평가 결과에 따른 기초 과학영역 학점 인정
• 기초학력 진단평가를 위한 문 제은행 구축
• 대학 간 문제 은행 공유 및 관리 문제
• 기초학력 진단평가의 문제 유 형
• 학습자 수준의 고려한 강좌 개설
• 동일 명칭의 강좌별 학생 평 가 방안
• 기초과학 학습 성과와 핵심역 량과의 관련성 검토
• 대학 별 / 대학 공통의 기초 학력 기준
• 기초과학영역의 인증제 도입 검토
• 대학의 자율권 침해 여부 단과대학
• 인문사회계열의 경우, 교양영역 중 과학영역 의 선택이수
• 인문사회계열의 경우, 과학 교양영역과 전공 과 연계 부족
• 과학 교양영역의 경우 자연과학계열의 단과 대학(개별 전공)에서 관리
• 전공 강좌에 비해 교양 강좌 기피 경향
대학
• 대학에서 추구하는 인재상, 핵심역량을 고려 해 보았을 때, 기초과학 소양 함양을 필수
•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등 과학의 영역이 광범위 하여 기초과학 소양에 대한 개념 정의 혼란
• 기초과학 소양의 수준에 대한 고민 부족
• 핵심역량 중심의 학습 성과 진단(K-CESA, K-NSSE 등)
• 융복합 교육 강조
• 다양한 전공이수 가능(복수전공, 연계전공, 학 생설계전공 등)
• 고교-대학 연계 심화과정(UP)를 통한 고등학 생들의 선이수 가능
• 과학 교양교육과정 개편 시 각 단과대 혹은
¡ 위에서 제시된 협의 결과를 바탕으로 설문문항의 초안을 구성하였으며, 5 차례 이상의 내 부 연구진 협의 및 대학교육 전문가들의 검토를 거쳐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이 문항을 구 성하였음. 설문 문항은 교양과학 영역과 관련하여 교육목표, 편제와 비중 교수, 학생, 학습, 평가 영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의 표와 같음. 전체 설문지는 이 보고서의 부록으로 제시하였음.
¡ 설문조사는 현재 대학에서 과학 관련 전공의 강사와 교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6년 10 월 1일부터 10월 15일까지 실시함.
- 설문은 on-line(surveymonkey.com)을 통해 실시
- 설문응답자 116명 중 부성실 응답(4명)을 제외한 총 112명이 최종 분석에 사용됨
<표 Ⅳ-2> 설문 문항의 주요 내용
구분 현황 학습 성과 진단 방안의
쟁점사항 학과의 협조 곤란
대학 간
• 상이한 교양 최소 이수학점
• 상이한 과학 교양 영역 및 강좌명
• 상이한 과학 교양 내용 및 수준
• 상이한 과학 교양 평가
영역 주요 내용 문항 수
교육목표
1) 교양 과학 교육 목적의 중요 정도에 대한 의견 (1~3순위) 3 2) 대학에서 교육과학영역의 교육목표 달성 기여 정도에 대한 의견 1 3) 학생 진로 개척 관련 교양과학 영역의 교육 중점에 대한 의견 (4점 척도) 3
편제와 비중
1) 교과 영역의 비중에 대한 의견 [총이수학점(10) 대비] 1 2) 교양 과학 영역의 비중에 대한 의견 [교양영역(10) 대비] 1 3) 교양 과학 영역 하위 영역 중요 정도에 대한 의견 (1~5순위) 5
4) 이공계 영역 교차 필수 이수에 대한 의견 1
교수
1) 교양과학 강좌 신설・폐지 시 실질적 주체에 대한 의견 1 2) 교양과학 강의에서 전임교수의 담당 시간 비중에 대한 의견 1
학생
1) 교양과학 강의에서의 선수학습 수준 차에 대한 의견 1 2) 교양과학 강의 수업 시 학생들의 성공적 성취정도에 대한 의견 1
3) 담당 강좌의 진단평가 필요성에 대한 의견 1
4) 수준별 분반의 필요성에 대한 의견 1
5) 수준별 수업 시 학생의 특성에 맞는 교수법 개발 용의에 대한 의견 1
수업 1) 교양과학의 수업방법에 대한 의견 1
¡ 설문분석은 SPSS 18.0을 사용하여 기초통계량을 살펴봄. 배경변인별 차이검증은 총 응답자 수 및 응답자 변인의 개별항목 응답수를 고려하여 별도로 실시하지 않음.
¡ 설문조사 기간 중 112명이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그 중 약 75%(84명)는 전임교수, 25%(28 명)은 강의전담교수(강사포함)이었음. 교양과학 강좌 개설 여부에 대해서는 약 56.3%(63명) 이 ‘강좌를 개설한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전체 43.8%에 해 당하였음. 담당 강좌별로는 ‘생명과학’이 전체 37.5%(42명)으로 가장 많은 비중으로 응 답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화학’이 30.4%(34명), ‘정보’ 19.6%(22명) 순으로 나타났 음. 해당경력으로는 ‘20년 이상’이 35.7%(30명), ‘10~20년 미만’이 34.8%(39명), ‘10년 미만’이 29.5%(33명)으로 비교적 고르게 나타났음.
¡ 응답자의 소속 대학은 ‘사립’이 75.9%(85명), ‘국・공립’이 24.1%(27명)이었으며, 규모 로는 ‘대규모’가 83.9%(94명)으로 월등히 높게 나타났음.
<표 Ⅳ-3> 응답자 변인 [단위: 명(%)]
영역 주요 내용 문항 수
2) 학기 당 교양과학 수업량에서 실험실습 실시 비중(%로 제시) 1
3) 실습을 위한 전용 교실의 구비 정도 1
평가
1) 평가 방식에 대한 의견
① 현재 교양과학 영역의 평가 방식
② 향후 바람직한 교양과학 영역의 평가방식
2 2) 평가 내용에 대한 의견
① 현재 평가 내용 ② 향후 적절한 평가 내용
2
3) 강의평가 결과의 활용에 대한 의견 1
4) 대학 당국의 현 재정 지원 정도에 대한 의견 (4점 척도) 1 5) 하위 항목별 과학 영역 성과 평가의 중요 정도에 대한 의견 (4점 척도) 16
담당 강좌
과학사/철학(융합과학) 물리 화학 생명과학
1(0.9) 5(4.5) 34(30.4) 42(37.5)
정보 기타 합계
22(19.6) 8(7.1) 112(100)
교양과학 강좌 개설 여부
있다 없다 합계
63(56.3) 49(43.8) 112(100)
직위 전임교수 강의전담(강사포함) 합계
84(75) 28(25) 112(100)
해당분야 경력 10년 미만 10~20년 미만 20년 이상 합계 33(29.5) 39(34.8) 40(35.7) 112(100)
대학 유형 국공립 사립 합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