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I. 서론
3. 학습성과 방안 개발의 모형
◦ 체계적으로 교양과학영역의 학습성과를 관리하기 위해 교양과학 교육과정의 편성, 운영, 평가, 피드백 등을 포괄하는 순환적 모형을 구안하였음.
◦ 대학 교양과학 교육의 질적 제고가 이루어지지기 위해서는 교양과학 강좌의 편성 과 운영까지 일방적인 활동이 아니라, 목표설정에서 교양과학 교육과정 개선 등이 순환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해야 함.
◦ 가장 기본적으로 대학에서 추구하는 핵심역량 및 교양과학 영역이 추구하는 목표
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교양과학 교육과정을 편성해야 함. 이를 바탕으로 교양과 학 강좌를 운영하고 그 결과에 대한 평가 즉 학습성과는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평 가지표를 활용하여 교양과학 영역의 성과를 확인하고 이는 최종적으로 교양과학 영역의 교육과정을 개선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해야 함.
[그림 Ⅴ-1] 교양과학 학습성과 진단 모형
◦ 교양과학 학습성과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각 대학의 교양과학강 좌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본 연구에서 개발함. 학습성과는 단순히 학생들이 수업을 받고 그 결과로 얻어지는 것으로 볼 수 없음. 교양과학 강좌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 및 교육과정이 적절히 운영될 때, 학습성과는 그 결과로 자연 적으로 이룩할 수 있는 부분임.
◦ 이를 위해 교양과학 교육과정을 둘러싸고 있는 학습자, 교양교육원, 교수자 등이 수행해야 할 역할은 다음과 같음.
구분 내용
교양교육원
• 교양과학 강좌 등록, 개설․폐지
• 교양과학 강좌 이력 관리
• 교양과학 강좌 운영 평가 작성
• 교양과학 강좌 수강 학생 관리
• 교양과학 역량 관리
• 교양과학 강의 계획서 정보 관리
학습자
• 교양교육과정 및 교양과학 강좌 정보 보기
• 학기별 교양과학 이수 교과목 설계 및 관리
• 교양과학 강좌 담당 교수 정보 보기 교양과학 강좌 관리자 • 교양과학 영역 전체 역량 관리
◦ 이처럼 체계적으로 교양과학 영역의 학습성과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보다 넓은 관 점에서 교육과정의 체계적 관리가 요구됨. 또한 교육과정의 관리 역시 교과목을 담당하는 교․강사 수준에서 모든 것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와 관련된 다 양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할 것임.
구분 내용
• 교양과학 교육과정 편성, 개설, 운영
• 학기별 교양과학 교육과정 평가 실시
• 대학 전체 교육과정 개선 및 개편
교양과학 강좌 개설
• 교양교육과정, 교양과학영역, 교과목 수준별 핵심역량 관리
• 핵심역량 별 교과목 편성
• 교양과학 교과목 책임 교수제 실시
• 교양과학 교과목 개설 및 폐지 교과목 관리
• 교양과학 교과목 이수학기, 개설예정학기, 이수대상학생 등 관리
교양과학 강좌 운영
• 강좌별 수강 예정 학생 관리
• 개설 교양과학 강좌 관리
• 강좌별 담당 강사 전문성 관리
교양과학 강좌 평가
• 교양교육과정, 교양과학영역, 교과목 수준의 교과목 운영 항목별 결 과 관리
• 교양과학 교육과정 평가 보고서 생성
• 수준별 교양교육과정 평가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