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동부 비무장지대-설악 -금강연계 접경생물권보전지역 지정

Ⅸ2. 호랑이 이동통로 개설

3. 동부 비무장지대-설악 -금강연계 접경생물권보전지역 지정

가. 제안배경

○ DMZ 일원은 국토분단이라는 역사의 유물임과 동시에 분단으로 인하여 자연생태계가 보존·복원된 세계적으로 유래가 드문 지역 으로, 한반도 평화·생태·역사·문화공원조성 사업의 최적지임.

- 백두대간, 도서연안과 함께 한반도 3대 핵심생태축의 하나로 국토자연환경보전을 위한 중요지역임.

- 이 중 특히 설악산-금강산-철원을 연계하는 지역은 한반도 생 태계의 보고이자 생태네트워크 요소 중 가장 핵심지역으로 통 일후 국토환경보전 및 관리의 가장 핵심지역임.

○ 남북긴장완화에 따른 교류활성화로 인해 남북간 공동 관심지역 에 대한 상징적·실제적 협력의제 도출 및 추진에 대한 사회적 필 요성이 증대됨.

- 북한강 수계상 임남댐 건설로 인한 수량부족으로 탁수 악화 등 수질관리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어 장기적인 관점에서 협 력체계 구축이 필요함.

- 설악산-금강산-철원지역을 포함한 평화·생태·역사·문화차원 의 교류 필요성이 증대됨.

○ DMZ 일원을 대표하는 설악산-금강산-철원지역은 남북관계의 진전에 따라 보전과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높으며, 양국의 협력 하에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있음.

- 한국 MAB위원장 명의의 서신을 북한의 MAB위원장에게 전 달(2001.4)하여 DMZ의 가치와 보전필요성 강조, 접경생물권 보전지역 지정을 제안함.

- 행정자치부는 군사보호지역 등으로 지정되어 그동안 상대적 으로 개발에 소외된 접경지역 지원을 위한 “접경지역 종합계 획(2003-2012)”을 마련 시행함.

- 남북환경협력사업으로 DMZ 생태계 보전, 남북공동의 UNESCO 생물권보전지역 지정 등 보전 필요성이 국회, 언론 등 각계에 서 제기됨.

○ DMZ 일원을 대표하는 지역 중 남북관계의 진전에 따라 보전과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됨.

- 평화·생태·문화·역사적으로 상징적·실체적 역할을 수행할 설 악산-금강산-철원 지역을 공원으로 조성하고, 남북간의 협력 하에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높음.

나. 주요 내용

(1) 기본구상

○ 설악산-금강산-철원 지역의 공원조성을 위한 조사, 계획 수립, 활성화 차원에서 주요내용을 설정하고 추진함.

- 평화·생태·역사·문화공원 조성사업의 기본계획을 수립함.

- 지속가능한 발전 촉진 및 국제기구 유치 추진을 위한 지속적 관심 증대를 유도함.

○ 평화·생태·역사·문화공원 조성사업 기본계획 수립, UNESCO

MAB개념을 활용한 핵심, 완충, 전이지역 설정 및 보전·발전·지

원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 및 시행을 추진함.

- 생태, 역사·문화자원 조사를 위한 조사체계를 구성함.

- 환경적·생태적·역사적·문화적 요인과 사회·경제적 요소를 고 려한 조사범위를 설정함.

- 개괄적인 자원 조사, 분류 및 분석을 추진함.

- 평화·생태·역사·문화공원 구축 대상지역을 설정함.

- 평화·생태·역사·문화공원 구축 기본계획 수립 및 시행을 추진함.

○ 지속 가능한 발전 촉진 및 국제기구 유치 추진을 통한 관심을 유 도함.

- 동 지역의 지속적인 교류 및 활성화를 위한 추진협의회를 구 축함.

- UNESCO의 생물권보전지역, 문화·역사자원보전지역으로 지

정·추진 및 세계를 대상으로 상징적인 평화지역으로 홍보를 활성화함.

- 인식제고를 위한 탐방계획 및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함.

- 국제적인 평화·생태·역사·문화지역으로 위상 확립을 위한 국 제기구 유치 등 홍보를 활성화함.

[그림 Ⅳ-4] 설악산-금강산-철원 연계 개념도

(2) 추진전략

(가) 지역자원을 이용한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진

○ 지역의 부존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지역주민의 행복증진을 위 한 발전을 위해 품질경제(quality economy)를 구현함.

○ 지역의 농림업, 상업, 그리고 제조업체간의 사업동반자관계 (business partners)를 공고히 하며 지역의 이미지 제고를 위한 로고(logos)를 개발 활용함.

(나) 남북간 상생과 협력을 추구

○ 남과 북의 협력으로 남북 공히 도움이 되는 전략과 대안 개발을

- 추진위원회에는 국제기구의 대표나 국제적인 전문가를 초청 하여 위원이나 자문역으로 활용할 수도 있음.

○ 추진위원회 산하에는 해당 지자체가 참여하는 실천 위원회를 두 어 실천적인 대안을 발굴하고 시행함.

(다) 지역자원 가치의 세계화를 추진

○ 세계유산이나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을 추진하여 지역자원의 세 계화를 추진하고 국제적인 관심과 배려 하에서 지역발전을 추진함.

○ 특이한 생태자원의 보전, 전쟁과 평화 그리고 역사와 문화라는 요소를 모두 포함한 세계유일의 지역으로 세계적인 생태관광지 개발을 위한 다국적 기업의 투자를 유치함.

다. 추진방안

(1) 네트워크 전략 계획 수립

○ 금강+동부 비무장지대+설악 연계 네트워크를 구상하여 기본적 전략을 마련하는 단계로서 공간네트워크 구상, 관광네트워크 구 상, 국제 가치화 방안(생물권보전지역, 세계자연유산), 지역협력 방안, 공동협력체 방안, 기타 등 기본전략을 수립하는 단계임.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