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문재인 정부의 신남방정책 평가

New Strategies and Initiatives for the New Southern Policy and New Northern Policy

1. 문재인 정부의 신남방정책 평가

가. 정책목표와 주요 내용

(1) 정책목표와 추진과제

2017년 11월 채택된 신남방정책은 한국과 인도‧동남아시아 국가 와의 외교 관계를 4강(미국‧중국‧일본‧러시아) 수준으로 강화하는 외교전략이다. 신남방정책 채택 배경은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기존의 한국 외교와 경제 관계가 미국, 중국, 일본에 치중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수립되었다.3) 둘째, 한국과 동남아시아 국 가와의 인적 및 물적 교역 규모의 꾸준한 증가뿐 아니라, 이들이 한 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배경 아래, 문재인 정부는 2017년 100대 국정과제에

‘동북아 책임공동체 형성 및 신남방정책 추진’을 포함했으며, 이후 11월에

‘한-아세안(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ASEAN, 이하 아세안) 미래 공동체 구상(이하 신남방정책)’을 발표하였다.4) 이후 동 구상을 추진하기 위해 2018년 8월 ‘신남방정책특별위원회’

를 설립하고, 2018년 11월에 ‘신남방정책 추진전략’을 수립하였다.

<그림 Ⅱ-1> 신남방정책의 대상국

출처: 신남방정책특별위원회, 󰡔정책소개집󰡕(서울: 신남방정책특별위원회, 2019), pp. 10∼11을 저자 수정.

3) 김유철, “위험분산을 위한 다층적 그룹핑 전략: 문재인 정부 신남방 정책 구상의 전략 적 배경과 이행방안,” 󰡔국제정치연구󰡕, 제21권 1호 (2018), p. 131; 이진영‧문경연 석우, “아세안(ASEAN) 개발격차 완화를 위한 역내외 정책분석: 자원의존이론을 중심 으로,” 󰡔국제지역연구󰡕, 제24권 3호 (2020), pp. 45~46; 이혁구, “한국과 대만의 對아 세안 경제정책 비교,” 󰡔비교경제연구󰡕, 제26권 2호 (2019), pp. 115~138.

4) 신남방정책특별위원회 <http://www.nsp.go.kr> (검색일: 2020.4.20.).

구분 목표(성과지표) 추진과제 및 담당 부처

사람공동체 People

교류 증대를 통한 상호 이해 증진 (2020년까지 상호방문객 연간 1,500만 명 달성)

① 상호방문객 확대

⦁한국 관광 콘텐츠 개발 및 홍보 확대(문체부)

⦁국내 무슬림 여행 환경 개선(문체부)

⦁비자제도 개선(법무부, 신남방특위 등)

② 쌍방향 문화교류 확대

문화홍보 거점 인프라 확충(문체부)

⦁문화행사 계기 한류 확산(문체부, 산업부 등)

⦁아세안 대상 콘텐츠 교류 활성화(문체부)

⦁아세안 문화에 대한 우리 국민의 이해 증진(외교부, 문체부)

신남방정책 추진전략의 핵심 내용으로는 △ 3Ps-사람공동체 (people), △ 상생번영공동체(prosperity), △ 평화공동체(peace)- 를 구축하는 것이며, 이에 16개 세부과제가 채택되었다. 신남방정책 의 3Ps와 성과지표를 포함한 목표, 그리고 추진과제는 <표 Ⅱ-1>과 같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신남방정책의 3Ps, 16개 과제 중 매해 집 중하는 과제에 대한 중요도가 각기 다르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2019년은 ① 우수 인재 및 기술교류 확대, ② FTA(Free Trade Agreement, 자유무역협정) 등 제도적 기반 확충, ③ 상생협력의 플 랫폼 구축, ④ 대형 경협사업 발굴, ⑤ 국방 및 방산 분야 협력 강화 등을 중점협력 사업으로 발표했다.5) 이에 대한 구체적 평가는 다음 절에서 자세히 다룬다.

<표 Ⅱ-1> 신남방정책의 16개 추진과제 및 세부 사업6)

5) 신남방정책특별위원회, “문재인 정부 대외정책 2년의 성과와 향후 과제,” 2019.5.9.,

<http://www.nsp.go.kr/news/news_view.do?post_id=120&board_id=2&cpage=3>

(검색일: 2020.7.20.).

6) 신남방정책의 주요 과제 및 사업은 2018년 11월(1차 회의) 15개 추진과제 32개 중점사 업이 선정되었으며, 2019년 4월(2차 회의) 16개 추진과제, 50개 중점사업으로 확대되 었다. 이후 2019년 9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준비 회의에서 16개 추진과제 57개 중점사업으로 확대되었다. 신남방정책특별위원회, “신남방정책 2019년 중점 사업계획 (안),” 2019.4.30., <http://www.nsp.go.kr/news/news_view.do?post_id=115&board _id=2&cpage=6> (검색일: 2020.7.20.).

구분 목표(성과지표) 추진과제 및 담당 부처

③ 인적 자원 역량 강화 지원

장학생 초청 규모 확대(교육부, 외교부)

공무원, 전문가 교류 확대(외교부, 국토부, 환경부, 복지부 등)

⦁TVET(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기술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강화(고용부, 교육부, 외교부)

④ 공공행정 역량 강화 등 거버넌스 증진 기여

⦁전자정부 협력 확대(행안부)

⦁공공행정 협력 확대(행안부)

⑤ 상호 간 체류 국민의 권익 보호 증진

⦁외국인 노동자 체류 및 고충 처리 사업 지원(고용부)

⦁다문화가족 정착지원 및 권익 보호 및 증진(여가부)

⑥ 삶의 질 개선 지원

⦁농촌개발 지원을 통한 지역주민 생활수준 향상(외 교부, 행안부, 농진청)

⦁환경, 보건위생 역량강화(복지부, 외교부, 과기정통부)

⦁산림활용 지역 소득 증대를 위한 산림협력 강화(산 림청)

상생번영 공동체 Prosperity

호혜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상생의 경제협력 기반 구축(아세안:

2020년 교역액 2,000억 불 / 인도: 2030년 교역액 500억 불)

⑦ 무역투자 증진을 위한 제도적 기반 강화

⦁신남방 주요국과 양자 FTA 체결 추진(산업부, 신남 방특위)

⦁우리 금융권 진출 지원 플랫폼 강화(기재부, 금융위, 신남방특위)

⦁우리 기업 금융접근성 강화(기재부, 금융위, 산업부, 신남방특위 등)

한-캄보디아 이중과세방지협정 체결(기재부)

⦁항공협정 진전(국토부)

⑧ 연계성 증진을 위한 인프라 개발 참여

⦁해외 인프라 발굴, 개발 및 수주 지원(국토부, 산업부)

스마트시티(smart city) 네트워크 협력(국토부, 과기 정통부, 환경부, 신남방특위 등)

⦁항만개발 협력(해수부)

⦁인도네시아 인프라 시장 진출(국토부, 환경부)

⦁신남방국가 대외경제협력기금(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 EDCF) 협력(기재부)

구분 목표(성과지표) 추진과제 및 담당 부처

⑨ 중소기업 등 시장진출 지원

⦁스타트업 교류, 협력 생태계 활성화(중기부)

⦁우리 중소기업 입주를 위한 산업단지 조성(국토부)

⦁한-신남방 중소기업 간 기술교류 협력 강화(중기부)

유망 분야별 시장진출 지원(농식품부, 해수부, 복 지부, 중기부 등)

⑩ 신산업 및 스마트 협력을 통한 혁신 성장 역량 제고

⦁4차 산업혁명 대응 공동 R&D 협력 강화(산업부, 과기정통부 등)

과학기술 협력기반 마련(과기정통부, 해수부)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정보통신기술) 협력거점 구축 및 기술인력 양성(과 기정통부)

신남방의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창출(산업부, 중기부, 신남방특위 등)

⦁첨단 보건의료 기술협력 확대(복지부)

⑪ 국가별 맞춤형 협력 모델 개발

⦁인도네시아 기간산업 진출 확대(산업부)

말레이시아 한류-할랄 기반 소비재산업 협력(산업부)

⦁베트남 TASK(Technology Advice and Solutions from Korea, 생산현장 애로기술지도)센터 구축(산 업부)

평화공동체 Peace

평화롭고 안전한 역내 안보 환경 구축

(2019년까지 아세안 10개국 순방 및 정상 방한 등 전략적 협력)

⑫ 정상 및 고위급 교류 활성화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및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 개최(외교부)

⦁정상외교 적극 활성화(외교부)

⑬ 한반도 평화 번영을 위한 협력 강화

⦁우리의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에 대한 신남방국가 지지 확보(외교부)

⑭ 국방방산 협력 확대

한-아세안 국방차관회의 연례화(국방부)

⦁신남방지역 방산 협력 확대(방사청)

⑮ 역내 테러사이버해양 안보 공동대응

⦁한-아세안 국제범죄 수사역량강화센터 설립(경찰청, 신남방특위)

⦁해양쓰레기 공동조사 및 수거 사업(해수부, 신남방 특위)

⦁한-메콩 생물다양성센터 구축(환경부)

구분 목표(성과지표) 추진과제 및 담당 부처

역내 긴급사태 대응 역량 강화

아세안+3(the ASEAN Plus Three: APT) 비상 쌀 비축제 지원(농식품부)

⦁산불재난관리센터 시범사업(산림청)

⦁훼손된 습지(이탄지) 복원 및 보전(산림청) 출처: 신남방정책특별위원회의 내용을 중심으로 저자 재작성.

(2) 국정과제와의 관련성

신남방정책은 100대 국정과제 중 “국정목표 5(평화와 번영의 한반 도)”의 “전략 3(국제협력을 주도하는 당당한 외교)”에 제시되어 있다.

98. 동북아플러스 책임공동체 형성

∙ 과제목표: 평화의 기반을 확대하는 ‘평화의 축’으로서 동북아 평화협력 플랫폼을 구축하고, 동북아를 넘어서는 남방, 북방 지역을 ‘번영의 축’으로 삼는 신남방정 책과 신북방정책 추진

주요내용: 아세안, 인도와의 관계 강화 등 해상전략으로서의 신남방정책 추진 - 아세안의 수요에 기반한 실질 협력 강화(주변 4국 유사 수준)

- 인도와의 전략적 공조 강화 및 실질 경제 협력 확대(특별전략적 동반자 관계)

<글상자 Ⅱ-1> 문재인 정부 국정운영 100대 국정과제: 국정목표 5.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 – 전략 3. 국제협력을 주도하는 당당한 외교

출처: 국무총리 정부업무평가위원회 <http://evaluation.go.kr> (검색일: 2020.10.6.)를 참고하여 저자 작성.

신남방정책은 한반도의 지정학적 한계를 극복하고, 이를 통해 아 세안 및 인도와의 관계를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준하는 외교 관계로 격상하고, 궁극적으로 평화와 번영 추구를 목적으로 한다.

무엇보다 신남방정책은 기존 외교정책과 달리 한국의 규범 외교 가 능성을 보여주었다. 신남방정책의 3Ps인 사람, 평화, 상생번영을 외 교 가치로 제시함으로써 기존 외교정책과의 차별성을 보여준다.7)

또한 신남방정책은 인도, 아세안과의 외교 관계를 상품교역뿐 아 니라 기술, 문화예술, 인적교류까지 포함하여 그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이는 신남방정책이 기존의 한국 외교정책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특정 국가와 경제‧교역 중심의 외교 관계를 벗어나 다 변화하는 외교의 확장성을 보여준다.8) 특히 신남방정책은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진전에 따른 적극적 외교 다변화’라는 측면에서 긍 정적으로 평가된다.9) 신남방정책은 인도 및 아세안 국가와의 경제 협력을 강화할 뿐 아니라, 북한과 외교 관계를 맺고 있는 아세안과 의 협력을 통해 북핵 대응 협력 및 한반도 평화구축을 도모하는 의미 를 내포하고 있다.10) 본 연구는 신남방정책의 긍정적 평가와 더불어 추진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문제를 중심으로 신남방정책을 종합적 으로 평가한다.

나. 정책추진 과정과 평가

(1) 정책추진 과정

신남방정책은 2017년 7월 국정과제 100대 목표에서 언급되었으 며, “2017년 11월 인도네시아에서 개최된 ‘한-인도네시아 비즈니스

포럼’ 기조연설을 통해 공식적으로 채택”된 외교정책이다.11) 2018년

7월 신남방정책특별위원회 구성 및 운영지침 제정 이후, 같은 해 8월

7) 김형종, “문재인 정부 신남방정책 평가와 과제,” 󰡔문재인 정부 신남방정책, 이대로 좋은 가󰡕(참여연대 토론회, 2019.5.16.), pp. 21~28.

8) 주아세안대한민국대표부 <http://overseas.mofa.go.kr.> (검색일: 2020.7.20.).

9) 김형종, “문재인 정부 신남방정책 평가와 과제,” p. 22.

10) 이진영손혁상,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과 아세안(ASEAN) 국가 간 관계 변화 연구,”

󰡔국제정치논총󰡕, 제59권 4호 (2019), pp. 133∼172.

11) 주아세안대한민국대표부, “분야별 대아세안정책-신남방정책,” <http://overseas.mofa.

go.kr/asean-ko/wpge/m_21538/contents.do> (검색일: 2020.7.20.).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