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Strategies and Initiatives for the New Southern Policy and New Northern Policy
2. 문재인 정부의 신북방정책 평가
가. 정책목표와 주요 내용
(1) 정책목표와 추진과제81)2017년 문재인 대통령은 제3회 동방경제포럼에서 러시아와 중앙 아시아 국가들을 포함하는 북방국가들과의 경제 협력 확대와 극동 지역 개발에 대한 적극적 참여 등의 내용을 담은 신북방정책을 발표 했다. 신북방정책을 발표하게 된 배경에는 경제적, 전략적 요인이 자리 잡고 있다. 첫째, 신북방지역은 풍부한 자원과 인구를 가지고 있으며, 발전 잠재력이 크고 한국과 상호 보완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히 러시아는 현재 신동방정책을 추진하며 유라시아경제연 합(Eurasian Economic Union: EAEU)을 출범시켜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다른 중앙아시아 국가들 도 저마다의 대외 정책과 장기 성장 프로그램을 토대로 다른 국가들 과의 협력을 모색하는 중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은 보유하고 있 는 첨단 기술을 바탕으로 새로운 역동성을 창출해야 하는 바, 이들 국가들과의 협력은 경제성장에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한국으로서는 자동차와 조선, 섬유 등과 같은 주력 산업들 이 국내뿐만 아니라 기존 해외 시장에서 성숙기에 도달하고 있으며, 동시에 차이나 리스크가 증대되는 상황에 직면해 있기에 새로운 시 장 개척이 필요한 시점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러시아와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풍부한 자원을 지니고 있고 성장 잠재력이 크기에 이들 국
81)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신북방정책,” <http://www.bukbang.go.kr/bukbang/vision_
policy/history/> (검색일: 2020.4.30.); 이강국, 일대일로와 신북방 신남방 정책
(파주: Book Star, 2018), pp. 148~152.
가와의 경제적 협력 관계를 강화하고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그림 Ⅱ-7> 신북방정책의 대상국가
출처: “신북방정책,”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20.3.20., <http://www.korea.kr/special/policy CurationView.do?newsId=148865644> (검색일: 2020.8.28.).
셋째, 지정학적으로 신북방지역은 지금까지 남북문제라는 정치적 문제로 인해 유라시아와의 끊어졌던 교류와 협력의 연결고리를 잇 는 데 중요한 지역이다. 특히 신북방 국가들과의 경제 활성화와 네 트워크 조성을 통해 정치적 문제를 해결하고 동북아 번영 등과 같은 평화를 앞당길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 아래 문재인 정부는 신북방정책 구상을 제시하였으 며, 2017년 6월 대통령 지시로 북방 경제를 주관하기 위한 북방경제 협력위원회가 구성되었다. 동년 7월에는 ‘동북아 플러스 책임공동체 형성(신북방정책 추진)’과 ‘주변 4국과 당당한 협력외교 추진(한-러 시아 경제협력 강화)’,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동해-서해-DMZ를 잇는 3대 벨트와 북방경제 연계)’을 포함하는 국정과제가 발표되어 신북방정책 추진 기반이 마련되기 시작하였다. 2017년 12월 제1차 북방경제협력위원회 회의를 통해 ‘해양과 대륙을 잇는 가교국가 정
체성 회복’, ‘새로운 경제 공간과 기회를 확장’, ‘동북아‧한반도 평화
정착’, ‘동북아책임공동체‧한반도 신경제구상 실현’ 등 네 가지 비전
이 선포되었다.
신북방정책은 무엇보다도 다음의 목표 설정 하에 16가지 구체적인 세부 과제들이 추진되고 있다(<표 Ⅱ-11> 참조).
구분 목표 추진과제
소다자협력 활성화로 동북아
평화기반 구축
소다자 협력 사업 활성 화로 남북 경제 협력의 안정적 여건과 동북아 평화기반 구축
① 초국경 경제 협력 추진
② 환동해 관광 협력 활성화
통합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전략적 이익 공유
북방경제권과 물류‧에 너지 측면에서 연결망 구축, 성장잠재력 확대 및 이익 창출
③ 유리시아 복합 물류망 구축
④ 동북아 수퍼그리드(Northeast Asia Supergrid) 구축
⑤ 한‧러 천연 가스 협력 강화
⑥ 북극항로 진출로 해운‧조선 신시장 개척
산업 협력 고도화를 통한 신성장동력 창출
4차 산업 혁명 대응과 산업 구조 다각화 지원 위한 협력 플랫폼 구축
⑦ 한‧러 혁신플랫폼 구축
⑧ 인프라‧환경 협력 확대
⑨ 4차 산업 혁명 대응, 산업 협력 강화
⑩ 북방 진출기업의 금융접근성 강화
⑪ 보건의료 및 헬스케어산업 협력 확대
⑫ 농수산 분야 진출 활성화 인적‧문화 교류
확대로 상호 이해 증진
문화‧체육‧관광 교류 확대, 지역전문가 양성
⑬ 문화‧체육‧관광 협력 확대
⑭ 대학‧청년‧학술 단체 교류 및 인력 양성 추진체계 구축 신북방정책 효율성 제고⑮ 위원회 중심의 협력 체계 구축
⑯ 다각적인 외교 협력 기반 조성
<표 Ⅱ-11> 신북방정책의 목표 및 추진과제
출처: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신북방정책.”
(2) 국정 과제와의 관련성
신북방정책은 100대 국정과제 중 국정목표 5(평화와 번영의 한반 도)의 전략 3(국제 협력을 주도하는 당당한 외교)에 제시되어 있다.
98. 동북아플러스 책임공동체 형성
∙ 과제목표: 평화의 기반을 확대하는 ‘평화의 축’으로서 동북아 평화협력 플랫폼을 구축하고, 동북아를 넘어서는 남방, 북방 지역을 ‘번영의 축’으로 삼는 신남방 정책과 신북방정책 추진
∙ 주요 내용: 유라시아 협력 강화 등 대륙 전략으로서의 신북방정책 추진 - 남‧북‧러 3각 협력(나진-하산 물류사업, 철도, 전력망 등) 추진 기반 마련 - 한-EAEU FTA 추진 및 중국 일대일로 구상 참여
<글상자 Ⅱ-4> 문재인 정부 국정운영 100대 국정과제: 국정목표 5.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 – 전략 3. 국제협력을 주도하는 당당한 외교
출처: 국무총리 정부업무평가위원회 <https://evaluation.go.kr/psec/np/np_2_1_2.jsp> (검색일:
2020.12.3.)를 참고하여 저자 작성.
나. 정책추진 과정과 평가
(1) 정책추진 과정중국과 러시아, 그리고 중앙아시아 지역을 포함하는 북방 지역은 경제적으로나 정치적으로, 혹은 역사적으로 한국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지역이다. 또한 북한과 우호적 관계를 맺고 있는 이들 지역의 국가들과 관계를 개선하는 것은 한반도의 평화정착에 기여할 수 있 다. 이러한 지정학‧지경학적 가치를 갖고 있기 때문에 역대 정부에 서는 북방 국가들과의 외교‧경제 관계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전략을 추진해 온 바 있다.
한국 정부에서 추진한 ‘북방정책’의 시초는 1970년대 소련과 중국 등 사회주의 국가들과의 외교 관계 강화를 목적으로 한 ‘북방정책
(Nordpolitik)’이다. 이후 1990년 노태우 정부가 소련 및 몽골 등 사 회주의 주요 국가들과 공식적으로 수교를 함으로써 북방정책이 가 시화되었고, 이후 김대중 정부의 ‘철의 실크로드’, 노무현 정부의 ‘동 북아 물류 중심지화’ 전략이 추진되었다.
이명박 정부는 철도와 가스, 농업을 중심으로 하는 유라시아 진출 전략인 ‘3대 신실크로드’를 수립, 추진한 바 있다. 이를 통해 이명박 정부는 철도와 가스관 연결 등을 중심으로 한 거대 인프라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북핵 문제를 해결한다는 복안을 가지고 있었지만 2010년 천 안함 사건 등으로 인해 이후 전략 추진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지 못했 다.82) 뒤이은 박근혜 정부는 ‘유라시아 이니셔티브(Eurasia Initiative)’를 통해 유라시아 지역에 대한 물류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 를 추진하려 했다.83) 특히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전략을 바탕으로 박 근혜 정부는 한국과 유라시아 국가들 간의 경제협력 및 인프라 구축 사업을 강화하는 한편, 북한의 참여를 유도해 남북관계를 안정시키고 자 했다. 그러나 효율적인 컨트롤타워의 부재, 전략이 추구하는 대상 지역에 대한 목표 설정의 모호성, 그리고 남북관계의 경색 등 여러 가 지 대내외적 문제로 인해 전략이 실질적으로 추진되지 못했다.84)
문재인 정부 역시 북방 지역 국가를 대상으로 한 경제협력 정책의 추진 의지를 보여주었고, 그 시작으로 신북방정책의 비전과 추진 의 지를 발표하였다. 2017년 발표된 신북방정책의 추진 과정을 간단히 요약하면 <표 Ⅱ-12>와 같다.
82) 성원용, “신북방정책과 남북러 삼각협력: 과제와 발전 전망,” IDI 도시연구, 제16권 (2019), p. 46.
83) 송민근, “한국 新북방정책과 유라시아 주요 국가와의 협력방안 모색,” 디지털융복합 연구, 제17권 7호 (2019), p 2.
84) 이재영,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협력전략 연구,” 슬라브학보, 제30권 2호 (2015) pp. 287~316.
구분 주요 추진 내용 2017.6.26 북방경제 주관 위원회 설립
- 극동 개발을 위한 남북러 3각 협력 및 러시아와의 협력 중요성 2017.8.25 북방경제협력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 제정
2017.8.28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송영길 위원장 임명 2017.9.6 한‧러 정상회담 및 제3차 동방경제포럼 기조연설
- 신북방정책 비전 선언 및 한-러 간 9개 협력 분야(9-Bridge 전략) 구상 제시 2018.4. 문재인 대통령 중앙아시아 3개국 국빈 방문
2019.3. 한-몽골 전략적동반자관계 격상
<표 Ⅱ-12> 신북방정책 추진 과정
출처: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신북방정책.”
신북방정책 추진을 위한 정부 기관 및 조직 개편의 대표 사례로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설치(2017.8.25.)가 있다. 대통령 소속으로 설 치된 북방경제협력위원회는 신북방정책의 비전 실현을 위한 정책 발굴, 조정, 평가 및 추진성과를 점검하는 컨트롤타워로서 기능을 하고 있으며, 동시에 유관 부처와 연구 기관, 기업 등과의 연계를 통해 정책과제를 추진하는 데 주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85)
북방경제협력위원회는 외교부와 기재부, 통일부, 산업부 장관 및 청와대 경제보좌관 등 5명의 정무위원과 최대 25명의 각 분야 민간위 원 전문가들로 구성된다. 위원회의 위원장은 대통령이 위촉한 전문가 1인이 임명되고 청와대 경제보좌관이 위원회 간사를 맡아 운영된다.
정책을 효율적이고 전문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분야별 전문위원회가 별도로 설치되며, 특정 현안에 대한 논의를 위해 특별위원회 및 전문 가 자문단 역시 별도로 구성될 수 있도록 제도화가 이뤄져 있다.86)
85) 북방경제협력위원회,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소개,” <http://www.bukbang.go.kr/
bukbang/issue_news/0009/> (검색일: 2020.8.1.).
86) 우준모, “‘신북방정책’ 비전의 국제관계이론적 맥락과 러시아 신동방정책과의 접점,”
국제지역연구, 제21권 5호 (2018), p. 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