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에서 발행하는 출판물은 전국 주요 서점에서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본 보고서에 포함된 내용은 저자 개인의 의견이며, 당사 연구소의 공식적인 의견이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글상자 차례
Ⅱ장에서는 지난 3년간의 신남방정책과 신북방정책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신남방정책과 신북방정책의 추진환경을 분석한다.
New Strategies and Initiatives for the New Southern Policy and New Northern Policy
서론
연구의 필요성
특정 지역을 위한 지역 외교 정책인가? 이것이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을 지지하는 정책인가?
연구의 목적 및 내용
신남방·신북방 정책의 추진환경을 분석한다. 신남방·신북정책 추진을 위한 주요 정책과제를 공개적으로 제안한다.
신남방정책 ‧ 신북방정책 평가평가
본 장에서는 지난 3년간 문재인 정부가 추진한 신남방정책과 신북방정책을 객관적인 시각에서 평가한다. 일반적으로 신남방정책은 성공적으로 추진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 반면, 신북방정책은 상대적으로 추진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문재인 정부의 신남방정책 평가
여기에는 신남방정책 추진 분야의 다각화, 국내외 경제·외교 환경 변화에 따른 협력 분야의 유연성 등이 포함된다. 인도네시아, 필리핀): 외교다각화, 신남방정책 *APEC 정상회담 및 ASEAN 정상회담 참석.
문재인 정부의 신북방정책 평가
현 정부는 러시아와 함께 신북방정책을 강화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 현재 한국은 러시아와 신북방정책을 추진하는 동시에 다양한 분야에서 러시아와 경제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따라서 위 사례들은 현 정부의 중앙아시아 신북방정책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러시아와의 협력 강화 분야에서는 전반적으로 러시아의 새로운 대북 정책에 대해 큰 만족감을 갖고 있다.
신남방정책 ‧ 신북방정책을 위한 추진환경 분석: 위한 추진환경 분석
이번 평가를 바탕으로 향후 보다 성공적인 정책 추진을 위한 전략과 과제를 모색해 나가겠습니다. 이를 위해 본 장에서는 우리 정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정책환경을 예측해 보고자 한다. 본 장에서는 관련 분야 전문가들의 인식조사와 해외자료를 활용하여 향후 정책수행환경과 기회요인, 위협요인을 제시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국제사회의 중요한 주체로 떠오른 아세안 국가들의 정치, 경제적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향후 한-아세안 관계는 전반적으로 강화될 것임을 예측할 수 있다. 2) 주요국 지역계획과의 경쟁 심화 및 신남방정책 지속 미국, 일본의 인도태평양 전략,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 등 강대국들이 인도 및 아세안 지역구상에 대한 정치적 우선순위를 높이고 있다. 향후 한국의 신남방정책 추진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전문가 76%가 “미·중 패권 경쟁 속에서도 신남방정책은 효과적으로 추진될 수 있을 것”이라고 답한 조사 결과도 이러한 기대를 반영한다. 2009년 오바마 행정부의 대러 관계 '리셋 버튼 누르기' 정책이 제안된 이후 미국과 러시아는 정치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며 한동안 관계를 개선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러시아 합병 이후 갈등이 심화되면서다. 그 결과 양국 관계는 그 어느 때보다 악화되고 있다.146)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미국과 중국의 관계도 악화되고 있다. 146) 버락 오바마 대통령 취임 직후 제안된 '재편성 정책'은 2009년 2월 조 바이든 부통령, 이후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이 러시아의 세르게이 라브로프에게 공식 언급한 바 있다. 빅토로비치 라브로프 외무부 장관과의 회담과 논의로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정책추진을 위한 우호적 환경
이러한 맥락에서 인도·태평양 전략을 원칙적으로 개념적으로 기획한 일본이 중국의 일대일로 구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는 점은 한국에 있어서 중요한 시사점을 갖는다.185) 중앙아시아는 지역경제와 건설의 핵심지역이다. 유라시아를 관통하는 물류 인프라.194) 이는 우리 정부의 신북방정책 추진에 있어서 이들 국가와의 협력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중앙아시아 국가들이 중장기 경제발전전략을 발표하며 경제구조 변화를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는 것은 신북정책을 추진해 이들 국가와의 협력을 확대하고 다각화하려는 우리 정부의 정책의지를 반영한 것이다. 좋은 경기라고 합니다.
정책추진을 위한 도전적 환경
당연히 북한의 참여는 미국과의 관계, 국제사회의 대북 경제제재 완화 등 대외적 요인에 영향을 받을 것이며, 이는 신북정책의 지속가능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는 미국과의 전략적 경쟁 구도에 있는 중국이 한국의 입장을 미국과 대등한 위치로 인식하고 사드 보복과 유사한 통제를 전개할 위험을 제기한다. 더욱이 중국과 일본은 무역관계에서 계속해서 한국의 경쟁자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