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와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개인소비자의 관심증가에 따라 소형드 론의 판매가 급속히 증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2014년 25만대 →
2018년 100만대 )
❙표 2-18❙ 민수 무인기 활용 분야
택배용 드론 정밀농업용 드론 화물용 무인 항공기
DHL, 아마존, 구글 등이 택배용 드론 개발 중
AUVSI, 2025년 정밀농업용 드론의 세계 민간 무인기 시장
80% 이상 점유율 예측
FedEX 등 물류 회사는 화물용 무인항공기에 대한 수요 지속 시계 외 비행을 위한 장거리 통신
항법기술, 장시간 비행을 위한 동력원기술, 정밀 비행 제어 기술
등
탑재 초분광 카메라 기술, 매핑 기술, 최적비행기술, UGV 통합
기술 등
대형무인기 설계 기술, 무인기 유인공역비행 기술, cockpit 자동화
기술 등
민수시장에서는 향후
10
년간 공공분야 수요를 중심으로 발전될 것으로 전망되며 활 용도 여하에 따라 시장이 확대될 전망- 미국정부는 2012년 이래 무인기의 운항을 위한 기존 공역체계와의 통합을 지속적 으로 준비 중에 있으며 이 경우 2025년까지 10만명의 일자리와 800억불의 경제 효과 창출이 예상된다고 분석
- 2015년 1월에 개최된 CES(Consumer Electronics Show)에서는 드론제품 전용전 시 구역인 ‘Unmanned Systems Marketplace’를 설치
- 미국의 E-bay에서의 2014년 (3월~12월) 드론판매대수는 127,000대로 1,66 만불에 달하며, RC완구 중 드론의 판매비중은 2014년 30%에서 2015년엔 50%까지 상승
❙그림 2-15❙ 민수 무인기 시장분석 [7]
- 상업용 드론의 경우 세계의 94%의 드론은 중국에서 생산되며, 소비자용 분야에서 DJI 한 개 기업이 세계 70%시장을 차지함 (2014년 기준)
- 중국은 드론 연구개발, 생산, 수출에서 미국을 압도하지만 미국이 세계 최대 드론 소비시장으로, 소비력과 기술력에서는 아직도 미국과 큰 격차 존재
- 미국은 군용 드론 기술과 시장에서도 중국을 훨씬 압도
기체 유형별 드론 시장 현황 및 전망
기체유형의 구분에 따른 드론의 시장 규모
[8]
- 고정익 드론은 간단한 구조와 효율적인 공기역학적 특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익의 최대 장점은 최고속도가 높고, 체공시간이 길다는 점임. 예를 들어, Trimble Gatewing X100은 시속 80km/h의 속도로 45분간 비행이 가능함. 따라 서 고정익 드론은 광범위한 지역사진 촬영, 농업용 작황 모니터링 등에 활용이 되 나, 이착륙 시설 혹은 장비가 필요하다는 것이 최대 한계점임
- 회전익 드론은 모든 방향으로의 비행이 가능하고, 호버링이 가능하다는 것이 최 대 장점으로 촬영과 파이프/다리/전선/철도망 등의 모니터링에 적합하며, 시속 60km/h의 속도로 30분 정도의 체공이 가능함. 수직이착륙이 가능하기 때문에 에 너지/전력, 인프라, 미디어/엔터테인먼트, 과학연구 등에서 활발히 활용되고 있 고, 고정익 대비 구조가 복잡하며 비행속도가 낮고 비행범위 역시 좁다는 것이 한 계로 지적됨. 회전익은 다시 멀티로터와 헬기와 같은 싱글로터로 구분됨 - 나노(Nano) 드론은 손바닥 크기의 휴대성이 좋은 드론으로 30m의 정도의 고도에
서 5-10분간 동작이 가능하며, 와이파이 등을 통해 모바일 기기와 연결되어 실시 간으로 영상이 공유되는 것이 특징임. Dragonfly, Hummingbird, Black hornet, Roachbot과 같은 모델이 나노드론의 범주에 속하며, 현재 다양한 군사 적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나노 드론은 향후 보안과 감시 분야에서 활발히 쓰일 것으로 기대됨
- 하이브리드 드론은 고정익과 회전익을 결합한 형태의 드론으로 호버링이 가능하며, 비행속도와 체공시간이 고정익에 준하는 성능을 냄. xCraft사에서는 XPlusOne 이라는 하이브리드 드론을 출시하였고, 구글 역시 2014년 8월에 드론배송 시험을 위해 4개의 로터를 지닌 하이브리드 드론을 개발한 바 있음
35
❙표 2-19❙ 2013-2020 전세계 상용드론 시장 규모(기체유형별) (단위: 백만불) [9]
- 예상되는 바에 따르면 회전익 드론의 시장지배력은 2020년까지도 70%를 웃돌 것 으로 예상됨
- 나노/하이브리드 드론은 2015년에 시장이 활성화되기 시작하여 평균 연평균성장 률 09.31%를 상회하며 훨씬 가파른 속도로 시장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특 히 나노 드론의 경우 미연방항공청(FAA)의 규제가 완화되어 경찰/치안 분야를 중 심으로 성장이 예상됨
기체유형별-기술별 시장 현황 및 전망
❙표 2-20❙ 2013-2020 전세계 상용드론 시장 규모(기체유형별-기술별) [9]
- 위의 표는 각 기체유형별 시장을 다시 6개의 주요 드론 기술별 시장으로 세분화한 자료임
- 2020년을 기준으로 고정익/나노/하이브리드 드론시장에서는 에너지추진시스템 기술과 관련된 시장규모가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되며, 회전익의 경우 충돌회피 기 술과 관련된 시장규모가 가장 커 회전익과 비회전익 분야 간 다소 차이가 있음 - 연평균성장률(CAGR)이 가장 높은 기술 분야는 고정익/회전익/나노/하이브리드 모든 유형에서 자동화(Automation) 기술로 나타나 드론의 자동화 혹은 자율주행 과 관련된 기술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될 것임을 유추할 수 있음.
- 기술 분야를 막론하고 기체유형별 연평균성장률을 보았을 때 나노(138%)/하이브 리드 (152%) 드론의 성장세가 고정익/회전익 대비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남. 물론 이는 고정익/회전익 시장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은 아님
- 또한 나노/하이브리드 드론 시장은 제로베이스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2020년까지 빠른 속도로 성장한다고 해도 고정익/회전익 드론 시장에 비해 훨씬 규모가 작아 임계치를 넘어서는 큰 시장규모를 형성하는 단계로 보기에는 이른 감이 있음 기체유형별-활용분야별 시장 현황 및 전망
❙표 2-21❙ 2013-2020 전세계 상용드론 시장 규모(기체유형별-활용분야별) [9]
- 위의 표는 각 기체유형별 시장을 다시 8개의 활용분야별 시장으로 세분화한 자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