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 14건, US 1건으로 자국 중심의 출원에 집중하고 있음
KR10-2010-0127276, US13/993920의 경우 패밀리 특허로 한국,
미국 이외에도 중국,PCT
출원함2007~2008년도에는 자국 중심으로 출원을 진행하고, 2010년 이후 부터는 자국 이외
의 미국, 중국, PCT 출원을 하기 시작함주로
,
무인항공기의 자동회수 및 자동착륙 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음❙그림 2-72❙ (주)대한항공 IP 현황
(주)대한항공의 집중 요소기술 분석 - 무인항공기 자동회수 방법 기술
무인항공기 자동 회수 방법 관련 특허로 KR10-2007-0058957, KR10-2008-0112244 및
KR10-2010-0127276
총3건을 보유함
무인항공기 자동회수 방법 특허
3건 모두 등록유지 상태임
영상정보를 취득하여 무인항공기를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을 보유함
❙그림 2-73❙ (주)대한항공의 집중 요소기술 분석
151
2.5.4 조사 결론 및 시사점
특허동향 분석 결론항만 구조물 및 해양 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다기능무선 수공양용 드론 기술 기획 연구 분야의 연도별 전체 특허동향을 살펴보면, 1990년 중반부터 관련기술의 출원 이 확인되고 있으며, 2000년 초반에 들어 본격적인 출원활동을 나타내고, 이후 현재 까지 증감을 반복하는 양상을 나타냄
특히 2014년에 최다 출원량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 향후 출원량은 더 많아질 것으로
예상되며
, 2000년대 연구가 활발히 진행 후 현재까지 항만 구조물 및 해양 환경 모니
터링을 위한 다기능무선 수공양용 드론 기술 기획 연구 분야에 관한 R&D 관심이 꾸준하게 진행된 것으로 보임
국가별/출원인 국적별 특허동향을 살펴보면, 미국 및 한국에서의 출원이 전체 분석 대상 국가 출원규모의 각각 3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관련 기술은 대부분 미 국 및 한국에서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
뒤를 이어 일본이 14%, 유럽은 10%수준임
포트폴리오로 나타낸 전체특허의 기술 위치는 기술시장 성장단계 분석상, 1구간
(1995년~1999년)부터 4구간(2010년~2014년)까지 구간 출원건수 및 출원인수의 계속
적인 증가로 1990년대 기술태동기 거쳐, 현재는 성장기의 단계에 있는 것으로 분석 되며, 국가별로는 한국, 미국, 일본 및 유럽 모두 성장단계의 양상을 보임주요출원인 Top 20를 추출한 결과, 미국의 BOEING CO, 한국의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및 독일의 ATLAS ELEKTRONIK이 다수 특허출원을 확보하며, 주요
Key Player로
분석됨상위 출원인 1위~20위가 전체의 약 34%의 비율로 특허 분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 나며, 주도하는 출원인은 아직 없는 것으로 나타남
세부기술별 점유율을 분석한 결과, 가장 높은 출원율을 나타낸 기술 분야는 기체 제 작 기술
(AAA)로 전체 출원 중 14%(131건)를 차지하며,
그 뒤로 Navigation Fusion 기 술(ABI)가13%(123건)로 두번째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세부기술 특허추세 분석 비교한 결과, 기체 제작 기술(AAA) 및 Navigation Fusion 기 술(ABI) 관련 출원이 가장 활발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2000년대 초반 이후 출원이 꾸준히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남
세부기술의 다출원인 특허출원 현황을 살펴본 결과
, TOP 1인 미국의 BOEING CO은
주요시장국 모두에서 활발한 출원활동을 하고 있으며,
터빈/배터리 운용 기술(AAC) 분야를 중심으로 출원활동을 보이고 있으나, 한국의 주요출원인 한국해양과학기술 원 및 대우조선해양(주) 등 자국 내 출원에 집중하고 있어, 시장확보력이 미흡한 것 으로 나타남주요경쟁사 분석 결론
❙표 2-56❙ 주요경쟁사 분석 결과
국가 주요출원인 주력기술 집중 요소기술
미국 BOEING CO
터빈/배터리 운용 기술(AAC) 수직 이착륙 기술(AAF) 수중 항법 및 장애물 회피 경로계획
기술(ACA)
무인항공기 이착륙 기술 및 무인항공기 배터리 충전 기술 관련
특허
미국 US NAVY Navigation Fusion 기술(ABI) 무인항공기 음향/음파/항법 기술 및 무인 수중 차량 통신 기술 관련 특허
한국 (재)한국항공우주연
구원 수직 이착륙 기술(AAF)
무인항공기의 이착륙 기술 및 무인항공기의 원격제어 기술 관련
특허 한국 (주)대한항공 고신뢰/고가용 관제 시스템 제작
기술(AAI)
무인항공기의 자동회수 및 자동착륙 기술 관련 특허
미국의 BOEING CO.의 경우 주력기술로는 터빈/배터리 운용 기술(AAC) , 수직 이착 륙 기술(AAF) 및 수중 항법 및 장애물 회피 경로계획 기술(ACA)이며, 집중 요소기 술은 무인항공기 이착륙 기술 및 무인항공기 배터리 충전 기술로 분석됨
미국의 US NAVY의 경우 주력기술로는 Navigation Fusion 기술(ABI)이며, 집중 요소 기술은 무인항공기 음향/음파/항법 기술 및 무인 수중 차량 통신 기술로 분석됨 한국의 (재)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경우 주력기술로는 수직 이착륙 기술(AAF)이며, 집중 요소기술은 무인항공기의 이착륙 기술 및 무인항공기의 원격제어 기술로 분석됨
한국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