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153 향후 R&D 방향 및 시사점

153

이를 통해 기술적 공백영역 분야에서의 차별화된 기술개발 및 선도자(First Mover)로 서의 입지 구축이 가능하다고 생각되며

,

또한 이를 기반으로 강한 특허의 확보가능 성도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또한, 주요경쟁사 분석 결과를 통해 확인된 경쟁사별 주력기술 및 주요특허, 기술 발전흐름 및 집중도를 참고하여 추후 연구개발을 진행하는 한편, 특히 주요경쟁사 특허에 대한 침해우려가 없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음

한편, 기술시장 성장단계 측면에서 볼 때, 상공 운행 드론은 본격 성장기에 접어들고 있고 수중 운용 드론은 성장기 초입에 진입한 것으로 보이나, 상공과 수중을 모두 운행 가능하도록 하는 수공양용 드론은 현재 연구가 시작되는 태동기 단계에 머물 러 있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수공양용 드론 분야의 선점을 위해 수공양용 드론에 대 한 집중적인 투자 및 연구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됨

155

2.6

논문 동향 분석

가 논문 분석 분석 범위

논문 분석은 소분야 기술 분류 별로 1차, 2차 SCI 논문 분석

논문 분석은

1

30

개의 기술 분야와

2

7

개 기술 분야를 논문 분석 대상으로 하였 으며, 2017년 2월 현재까지 공개되었거나 발행된 SCI 논문을 발행일 기준으로 분석

자료 구분 범위 분석 구간 분석 대상 논문

공개논문 SCI ~2017.2 18,597

❙표 2-57❙ 총 SCI 논문 분석구간 및 논문건수

논문기술 Landscape

전체 논문의 발행 연도별 동향을 보면 1984년부터 수공양용드론 관련 논문이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 2000

년대 초반 이후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경향임

. 2016

년도에는

2000

건 이상의 논문이 발행되어 연구 활용이 급격히 증가

❙그림 2-75❙ 수공양용드론 기술 연도별 전체 SCI 발행 건수 추이

2016년에 최다 발표량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 향후 논문 발표는 더 많아 질 것으로 예상됨

2000년대 연구가 활발히 진행 후 현재까지 항만 구조물 및 해양 환경 모니터링 을 위한 다기능무선 수공양용 드론 기술 연구 분야에 관한 R&D 관심이 꾸준하게 진행된 것으로 보임

❙그림 2-76❙ 수공양용드론 기술 국가별 전체 SCI 발행 건수 추이

논문 발행 국가 중에서 미국이 가장 많은 수공양용드론 기술 관련 논문 발행 한국은

11번째로 많은 논문을 발행하고 있음

국가별/저자 국적별 SCI 논문을 살펴보면, 미국에서의 출원이 전체 분석대상 국가 의 3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항만 구조물 및 해양 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다 기능무선 수공양용 드론 기술 기획 연구 분야의 연구개발은 대부분 미국에서 주도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