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 발전방식에 따른 발전형태

○ IEA 기준에 의하면, 전력 및 열에너지에 관한 생산통계는 발전소(플 랜트) 단위로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여기서 플랜트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발전기로 구성된 발전소를 의미하며, 발전형태에 따 라 아래와 같이 구분

- 발전전용(Electricity only) : 전력만을 생산하는 곳으로 만약 발전소 내의 한개 또는 그이상의 발전기가 열병합 발전기인 경우 전체 발전 소의 발전형태는 열병합 발전소로 간주

- 열병합발전(Combined Heat and Power) : 열과 전력 모두를 생산할 수 있도록 설계된 발전소로, 가능하다면 전력⋅열 생산량과 연료 소 비는 발전기(unit) 단위로 작성할 것을 권유하고 있음.

- 열전용(Heat only) : 열에너지를 생산하는 설비를 포함

○ 국제기준에 의거하여 우리나라의 전력분야 발전전용과 열병합 발전 소는 아래와 같이 구분할 수 있음. 단, 발전소 내에 열병합발전과 전 력전용 발전기가 모두 있는 경우 열병합발전소로 처리

 구분 사업체

발전전용

•한전 및 자회사, •GS파워(안양,부천), •포스코파워, GS EPS(부곡), 메이야율촌, 케이파워, 현대대산,

•한전판매(태양광,풍력,LFG), •상용발전

열병합

•일산, 분당, 서울#4,5, •한난, GS파워, SH공사, 안산도시개발, 인천공항에너지, 케너텍, 주택공사

•도시쓰레기소각장, •집단에너지(산단), •포스코 열전용 •한난, 부산시, 한국CES, 인천종합에너지, 포스코 지역난방

<표 3-2> 발전형태별 사업체 분류

- 한전 발전자회사 중에서 서울 #4․5, 일산C/C, 분당C/C와 GS파워 의 안양C/C, 부천C/C 등 5개 발전소를 열병합발전으로 분류

- 자가발전사업체와 집단에너지사업자의 생산형태를 구분하는 것은 자 료의 한계로 매우 까다로우나, 여기서는 편의상 상용자가발전은 발 전전용으로, 산업단지집단에너지사업자는 열병합발전으로, 지역난방 사업자는 사업장별로 열병합발전과 열전용사업자로 구분

. 발전연료에 따른 발전형태

○ 우리나라의 발전연료별 발전형태는 수력, 화력, 원자력발전으로, 화력 은 연료별 전소발전과 혼소발전으로 재구분하여 발전통계를 작성

○ IEA에서도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발전용량을 파악할 때 단일연료 발

전과 다중연료 발전형태로 구분

- 우리나라 발전소를 IEA 분류방법에 따라 구분하고자 할 때에는 두 가지 방법을 제시할 수 있는데, 그 하나는 보령화력을 포함한 복합 화력 중 일부 발전소를 다중연료 발전으로 구분하는 방법과 이중연 료 발전소로 설계하였으나 실제 단일연료로 발전하고 있는 보령화력 은 단일연료 발전으로 분류하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는데 한전에서 는 후자의 방법을 채택하고 있음.

제3장 전력 및 열에너지 자료와 데이터 분석 23

발전형태 발 전 소

수력 일반수력 한전수력, 수자원공사, 소수력 양수수력 무주, 삼랑진, 청평양수

화력 전소

석탄화력 석탄

액체연료 내연력, 기력(한전+타사), 복합화력(영월, 군산, 울산, 한림, 한화)

천연가스 복합화력(서인천, 분당, 일산, 안양, 부천)

혼소 고체+액체 국내탄

액체+천연가스 LNG(서울, 인천), 복합(평택), 보령C/C 원자력 고리, 월성, 영광, 울진등

<표 3-3> 우리나라의 발전형태별 발전소 분류

발전연료 발 전 소

Single Fuel Fired

Coal + Coal products 역청탄

Liquids fuels 내연력, 유류기력, 타사기력, 복합화력(한림)

Natural Gas 복합화력: 서인천, 분당, 일산, 안양, 부천, 울산, 한화, LG에너지부곡(당진), 보령C/C Multi-

Fired

Solids + Liquids 국내탄

Natural Gas LNG(서울, 인천), 복합(평택)

Type Of Generation

Conventional thermal 화력계

Steam 기력

Internal conbustion 내연력

Combined cycle 복합화력

<표 3-4> IEA 발전연료와 발전소 분류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