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 IEA 에서는 전력 및 열 생산에 대해 설비단위로 자료를 수집할 것을 권고하고 있음. 이는 발전 형태별, 열병합발전의 싸이클 형태별로 효 율과 열전비 등의 특성을 보다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함.

- 단 사업체 또는 사업장의 발전(열 생산)설비별 자료가 없을 경우에 는, 설비 중에서 하나라도 열병합발전 설비이면 사업체(사업장) 전체 를 열병합발전으로 통계 처리함.

○ 본 연구에서도 IEA 권고사항에 따라 되도록 플랜트 단위별로 자료를 정리⋅분석하였으며, 자료의 수집이 어려울 경우에는 사업체 단위로 자료를 분석하였음.

- 한국지역난방공사의 열 생산량을 열전용 보일러와 열병합발전으로 구분하는 경우, 사업체 전체에 대한 생산구조와 사업장 단위로 도출 한 생산구조가 판이하게 다름.

- 2007년 지역난방공사가 보유하고 있는 13개 사업장 가운데 열병합발

전 사업장은 대구, 수원, 청주, 강남, 화성지역 사업장이며, 여기서 생 산한 열에너지(다음 그림의 오른쪽 하단 부분에 해당)는 한난 전체 열 병합발전에 의한 열 생산량(왼쪽 그림의 하단)에 비해 훨씬 크게 나타 나는 것을 알 수 있음.

제3장 전력 및 열에너지 자료와 데이터 분석 33

[그림 3-7] 설비⋅사업소에 의한 CHP/HO의 열생산 구조

- 한국지역난방공사는 한전 및 소각장으로부터의 수열을 받고 있으며, 이를 사업소별로 구분하면 아래와 같음.

연도 한전수열 사업소 소각 수열 사업소 2000 중앙, 분당, 고양, 안양, 부천 고양, 강남, 대구, 수원

2001 중앙, 분당, 고양 고양, 강남, 대구, 수원, 김해

2002 중앙, 분당, 고양 고양, 강남, 대구, 수원, 김해

2003 중앙, 분당, 고양 고양, 강남, 대구, 수원, 김해

2004 중앙, 분당, 고양 고양, 강남, 대구, 수원, 김해, 용인

2005 중앙, 분당, 고양 고양, 강남, 대구, 수원, 김해, 용인, 상암

2006 중앙, 분당, 고양 고양, 강남, 대구, 수원, 김해, 용인, 상암

2007 중앙, 분당, 고양 고양, 강남, 대구, 수원, 김해, 용인, 상암, 양산

<표 3-6> 한난의 수열종류에 따른 사업소 현황

제4장 에너지흐름과 데이터 정비

제1절 자료의 신뢰성과 데이터 연계

○ 에너지 시장의 민영화, 자유화로 발전 및 열에너지 사업체의 회사명, 사업목적 등이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사업체 정보에 대한 추적이 어 려워짐.

- 각종 정보에서 담고 있는 정보를 비교하기 위해서 각각의 사업체별 대응관계가 매우 중요함. 자료근거별로 다양하게 기록되어 있는 사 업체를 연계(mapping)하면 아래와 같음.

- GS파워←LG파워, (주)한주←울산석유화학지원, STX에너지(반월)←산 단에너지(반월), STX(구미)←산단에너지(구미), 서해파워←SPI 서산코 젠←삼성종합화학, 대성산업(주)코젠사업부←오산에너지←신호상사, 두산산업개발←두산건설, 사이스이천열병합←현대전자(이천), 대전열 병합발전(주)←3/4공단(에너지관리공단), 무림파워텍←신동에너지, KG 에너지←시화에너지, 포스코파워←한국종합에너지, 전북에너지서비스←익 산에너지←벽산에너지

- (주)씨텍(사이스대산): 현대석유화학 출범(1988)→LG/호남컨소시엄(2003)→

LG/롯데/씨텍 출범(2005), 씨텍의 열병합 발전소는 (주)LG화학 및 (주)

롯데대산유화의 공정에 증기 및 전기에너지를 공급

- (주)페이퍼코리아(주)←세풍제지, 전주페이퍼←한국노스케스코그←팬

아시아페이퍼코리아←팝코전주(주)←한솔제지(주)←전주제지(주)←새 한제지공업(주)

제4장 에너지흐름과 데이터 정비방법 35

- 한전자료의 현대대산과 집단에너지자료의 현대중공업(대산)

○ 동일한 사업체에 대한 수급정보가 자료근거별로 서로 다른 수치 정 보를 가질 경우 수급 균형을 유지할 수 없음.

- 에너지수지를 맞추기 위해 서로 다른 수치의 일원화가 요구되며, 이 를 위해 신뢰성 있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객관적인 기준이 마련 되어야 함.

- 이에, 적정한 효율지표를 제시하는 자료 또는 자료의 투명성이 보장 되었다고 판단되는 즉, 시장 지향적인 사업체의 자료를 인용키로 함.

[그림 4-1] 에너지 흐름과 자료 근거별 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