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장 에너지흐름과 데이터 정비방법 37
2) 산업단지 집단사업자의 발전량과 한전 판매
○ 산업단지 집단사업자 20개 사업체의 발전량 자료가 상용자가발전 자 료에도 모두 조사되었음.
- 이중 14개 사업체의 발전량은 똑같은 반면, LG석유화학, SK, 호남석
유화학에 대한 자료는 차이가 꽤 크게 나타났음.
- 자료의 정확성을 가늠할 수 있는 객관적 기준은 마련되어 있지 않지 만, 서로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상용발전 자료를 우선 인용하였음.
구 분 발전량(GWh) 역송(GWh) 집단자료 상용자료 집단자료 한전자료
㈜한주 673 673 - -
여천NCC㈜ 1,089 1,089 - 193 대구염색관리공단 351 351 22 22
STX에너지㈜(반월) 521 521 431 431
STX에너지㈜(구미) 687 687 607 607
금호석유화학㈜ 263 263 - - 부산경남염색공업협동조합 70 70 44 44 에스피아이(서산)코젠엘티디 606 606
익산에너지㈜ 160 157 132 132
고려아연㈜ 296 360
대성산업㈜코젠사업부 95 96 72 72
두산산업개발㈜ - - - -
사이스이천열병합발전 410 410 - - 대전열병합발전㈜ 265 265 225 225
현대중공업㈜-현대대산 - - - 68
무림파워텍㈜(신동) 168 168 136 136
㈜씨텍 166 166 - -
LG석유화학㈜ 416 52 - 0
KG에너지㈜ 95 95 77 77
SK㈜ 336 535 - -
호남석유화학㈜ 394 577 - -
삼양사㈜ 56 56 - -
<표 4-2> 산업단지 집단사업자 판매 전력과 한전 구입전력 비교(2007)
- 상용발전자료의 LG석유화학(여수), LG화학(대산), LG화학(여천) 중
에서 LG석유화학과 한전통계의 LG석유(여수), 집단자료의 LG석유화
학(여수)을 동일 사업체로 간주하고 데이터를 연계하였음.
- 자료근거별로 서로 상이한 데이터들을 일원화할 수 있도록, 향후 해 당 사업체에 대한 심층 조사를 통해 자료의 신뢰성을 확보해야 함.
○ 산업단지 집단사업자가 한전에 전력을 판매하는 경우는 한전자료를 인용하여 자료를 조정하였음.
- 한전자료에 의하면 현대중공업(현대대산복합)의 한전 판매실적이 있 는 반면, 발전 실적이 없는 경우 판매량으로 이를 대신하였음. 발전 연료는 한국전력거래소의 내부 정보를 활용하여 추정하였음.
[그림 4-2] 집단에너지사업자 발전량과 한전 역송
제4장 에너지흐름과 데이터 정비방법 39
나. 한전 발전통계와 신재생에너지 발전
1) 수력발전
○ 수력발전과 관련된 자료는 한국전력통계를 그대로 인용하더라도 별 무리는 없지만, 신재생에너지 통계의 아산환경사업소, 신천하수사업 소, 천안환경사업소의 발전량을 추가함으로써 정확성을 제고하였음.
- 2007년 상기 3개 사업소의 발전량은 439 MWh을 포함하여, 국내
일반수력의 발전량은 3,632 GWh에 달함.
구 분 일반수력 양수 수력 계
한국전력통계 3,631,649 1,410,813 5,042,462
신재생에너지통계 3,632,089 - -
구 분 1MW이하 1-10MW이하 10MW이상
용량별 발전량 40,186 188,228 3,403,674
공단 자료 39,111 3,592,978
<표 4-3> 2007년 수력발전 비교(MWh)
주 : 용량별 발전량은 한전자료에 아산, 신천, 천안사업소의 소수력을 포함한 수치임.
○ 국제기준에 따른 소수력 발전량6)은 아산환경사업소, 신천하수사업소, 천안환경사업소의 발전량을 추가하여 40 GWh임. 이는 공단자료 39 GWh와 다소 차이가 발생.
2) 태양광발전
○ 태양광 발전에 관해서는 한전 자료와 신재생에너지통계를 들 수 있 으며, 발전소별 태양광 발전실적은 한전 자료를 그대로 인용하고, 신 재생통계의 발전실적과의 차이는 기타 태양광으로 포함.
- 태양광 발전에 대한 자체 생산과 구입은 사업자 발전으로 분류하고, 신재생통계의 태양광 발전량 합계와의 차이는 자가발전으로 계상함.
6) 발전설비 용량 1MW 이하
- 한전 발전소 : 태안태양광, 삼천포태양광, 동해태양광, 영흥태양광, 영광쏠라파크, 삼랑진태양광
- 한전 구입 : 순천태양광, 신태양에너지, 고흥태양광, 에너파크, 남해 태양광, 한라정공태양광, 영암태양광(탑인프라), 에스엔피태양광(쏠라 파크), 서울마린(순천), 문경태양광, 무안태양광, 장흥태양광, 우리영 암태양광, 영주제1태양광, 화성태양광, 신북영암태양광, 혜인해남태양 광, 쏠라정읍태양광, 쏠렉영광태양광, 동원강진태양광, 이에프영암태 양광, 동양에너지신안(태양광), 에스피솔라영광, 삼성진도태양광, 창 환영덕태양광, 솔라영암태양광, 코리아영천태양광, 썬아이강진태양광, 태인강진태양광, 한빛성산제2태양광, 영주제2태양광, 신안증도태양광, 강진에너지제2태양광
○ 신재생에너지통계의 태양광 발전량 71,279 MWh와 한전 발전 및 구 입량과의 차이 50,793 MWh는 태양광 자가발전으로 계상
3) 풍력
○ 풍력 발전량은 한전의 자체 풍력발전소 발전과 해당 구입량을 포함 하여 사업자 발전으로 분류하고, 신재생에너지통계의 풍력 발전량과 의 차이는 자가발전으로 계상함.
- 한전 발전소 : 한경풍력, 양양양수풍력
- 한전 구입 : 강원풍력, 대관령풍력, 매봉산풍력, 영덕풍력, 울릉도풍 력, 전북풍력(군산), 포항풍력, 행원풍력, 신창풍력, 효성대기풍력
○ 신재생에너지통계의 태양광 발전량 375,641 MWh와 한전 발전 및 구 입량과의 차이 7,520 MWh는 풍력 자가발전으로 계상
4) LFG 발전
○ 매립지가스(LFG) 자료는 신재생에너지통계를 우선하였으며, 한전 및 한난자료로 이를 보완하였음.
제4장 에너지흐름과 데이터 정비방법 41
○ 신재생에너지통계에서 LFG는 발전용과 열 생산용으로 구분되며, LFG 발전량을 한전 자료와, 열 생산량을 한난자료와 비교하였음.
- LFG 발전 가운데 한전 자료와 상이한 발전소는 포항호동과 “순천
LFG 외” 두 곳이 있음. 이중 포항호동의 판매량은 한전 기준으로, 순천LFG는 신재생에너지 자료를 그대로 인용하였음.
신재생에너지 통계 한국전력통계
사업체 발전량(MWh) 판매량(MWh) 사업체 한전구입량 인천 백석동 2,752 2,752 수도권 상원E 2,752 군산 내초동 4,193 4,193 청우(군산매립) 4,193 부산 생곡 25,341 25,341 서희ENG(생곡) 25,341 포항 호동 7,569 7,569 포항 호동 7,559 제주 회천동 2,826 2,826 회천ENC 2,826 광주 운정동 11,415 11,415 운정LFG 11,415 충북 청원군 5,808 5,808 청주LFG 5,808 대전 금고동 9,160 9,160 대전금고동 9,160 한려에너지LFG 5,102 5,102 여수LFG 5,102 순천LFG 2,104 2,104 순천LFG외 (13,005) 에코에너지LFG 231,029 231,029 에코에너지 231,029
미래에너지 165 부산바이오가스 1551
엘콘파워 208 생산량(Gcal) 판매량(Gcal) 한난(Gcal)
한난(마포상암) 66,570 66,570 한난(마포상암) 279,280
sk㈜(울산성암) 26,423 26,423
대구에너지환경 331,692 331,692
<표 4-4> LFG 발전 및 열생산
- “순천LFG외”에는 순천LFG 이외 어떤 발전소가 있는지 확인할 수
없어 나머지 구입량은 제외하였음. 대신 한전의 구입전력 가운데 LFG 발전으로 알려진 미래에너지와, 바이오가스 발전소인 부산바이 오가스, 엘콘파워를 편의상 동 분류에 포함하였음.
- LFG에 의한 열생산⋅판매는 신재생에너지통계를 인용하였으며, 마 포 상암 지역의 LFG 소비에 대해서만 한난자료를 사용하였음. 이로 써 동 지역의 LFG의 열생산 효율은 24%로 추정
다. 도시쓰레기 소각장 발전과 상용자가발전
○ 도시쓰레기 소각장의 발전실적에 대해서는 “상용발전사업조사분석”
자료보다는 환경부의 “전국생활쓰레기”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공급통 계의 신재생에너지 자료와 일치시켜 수급의 일관성을 유지함.
구 분 소각장발전 (Mwh)
상용발전 (Mwh)
차이 (Mwh) 성남소각장(성남) 32,995 - 32,995 창원소각장(창원) 13,659 13,681 -22 명지소각장(명지) 19,344 19,344 0 상무소각장(상무) 10,854 10,855 -1 청라소각장(청라) 12,659 12,657 2 울산소각장(울산) 9,552 10,368 -816 성서소각장(성서) 4,767 4,768 -1 해운대소각장(부산) 14,460 14,452 8
다대소각장(다대) 4,226 4,226 0
양천자원회수시설(양천) 8,495 8,501 -6 의정부자원회수시설(의정부) 7,749 7,749 0 파주환경관리센타(파주) 2,983 2,983 -0 용인시환경센터(소각장) 7,999 8,003 -4 구리자원회수시설(구리) 6,093 6,112 -19 천안시(환경에너지)(천안) 6,819 6,819 0 제주소각로(산북) 5,957 5,961 -4
부천소각로(대장) 735 735 0
전주소각장(전주) 24,294 - 24,294
김해소각장(김해) 1,609 - 1,609
부산환경시설공단(수영) - 2,178 -2,178 에너지네트웍(구.젝시엔) - 3,873 -3,873 현대중공업현대소각설비 - 7,085 -7,085 총 계 195,248 150,350 44,898
소각장 195,248 139,392 55,856
<표 4-5> 소각장과 상용자가발전의 발전량 비교
제4장 에너지흐름과 데이터 정비방법 43
- 환경부의 “전국생활쓰레기” 자료에서는 2007년 19개 소각장에서 발 전실적이 있는 반면, 전력거래소의 “상용발전사업조사분석” 자료에 는 성남, 전주, 김해소각장이 누락되어 있음.
- 그 밖에 울산소각장의 발전량에서 다소 차이가 발생할 뿐 두 자료 사이에 큰 차이가 없음.
○ 소각장은 말 그대로 소각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므로 소각장의 발 전은 열병합발전을 의미하나, 상용발전자료에서 쓰레기로 발전한다는 부산환경시설공단(수영), 에너지네트웍(구.젝시엔), 현대중공업소각설 비는 열 관련 정보가 전혀 없기 때문에 자가생산자의 발전전용 (Electricity Only)으로 취급하였음.
○ 소각장의 외부 전력 판매량은 한전자료의 역송량을 그대로 인용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