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그림 5-4] 발전형태별 설비용량 구조

제5장 개선방안 및 데이터 정비결과 67

[그림 5-5] 열에너지 사업자와 자가생산자의 생산 및 판매 구조

(단위: 109 kcal)

제6장 시사점 및 향후과제

○ 본 연구는 국내 에너지수급의 정확한 분석과 국제기준에 부합되는 전력 및 열에너지 수급통계를 정비하기 위한 연구로서, 자료근거별 시계열 자료의 정비와 2007년 전력 및 열에너지수급 종합통계의 작성 이 목적임.

- 전력 및 열에너지에 대한 IEA의 개념을 반영하는 자료 수집대상과 내용을 설정하고 각종 문헌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일관성 있게 정비 - 전력은 모든 생산전력을 대상으로 하는 한편, 열에너지는 사업자의

총생산 열과 자가생산자의 판매 열에 대해서만 수급통계에 반영 - 집단에너지사업자에 대한 열 생산사업에 대한 분류를 어떻게 보는가

에 따라 해당 열 수급에 대한 통계적 평가는 상당한 차이가 있음.

○ 한국전력통계를 비롯하여 상용자가발전 및 집단에너지통계에 대한

2000∼2007년 동안의 시계열 자료를 정비하고, 전력과 열에너지를 통

합시킨 2007년 종합수급통계를 사업체 단위별로 작성

- 사업체 및 발전소 단위별로 산출과 투입 연료의 관계 즉, 전환과정 에서 중요한 요소인 생산효율을 산정하여 데이터의 정합성을 검증 - 자료근거별 사업체를 서로 연계하여 발전과 열에너지 생산, 수전(열)

과 판매 등에 관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보다 객관적인 근거에 따른 수치 일원화와 발전(열생산) 연료를 원별 공급통계와 일치시킴으로 써 에너지흐름의 균형을 유지토록 하였음.

○ 2007년 전력 및 열에너지 통계를 개정한 결과, 국가통계와는 다음과

같은 수급상의 차별성을 제시함.

제6장 시사점 및 향후과제 69

- 한전 및 한전 자회사, 메이저급 사업자발전, 상용자가발전, 신재생에 너지 발전 등을 망라한 국내 2007년 총발전량은 사업자 중심의 국가 에너지통계의 발전량 403,124 GWh에 비해 6%가 많은 427,312 GWh 로 집계되었음.

- 2007년 열에너지사업자는 1,461 천toe의 열을 생산하고 일부는 외부

로부터 수열을 받아 1,592 천toe 열을 판매하였으며, 반면 국가통계 에 거의 반영되지 않은 자가생산자의 판매 열은 사업자의 1.9배에 해당하는 2,998 천toe 판매

○ 자가생산 전력과 열에너지 비중은 이미 무시할 수 없는 수준으로써 수급계획의 예측과 분석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므로, 집단에너지와 상용자가발전에 대한 자료 조사는 필연적임.

- 발전⋅열 생산 사업체에 대한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해당 유틸리티에 관한 모든 특성을 반영하는 조사 매뉴얼과, 특히 집단에너지사업체와 상용자가발전사업체의 수급실태를 정확하게 파 악하는 벤치마크 데이터를 작성해야 함. 이를 위해서는 동 사업체에 대한 심층 조사의 필요성이 강조됨.

- 전력과 열에너지의 흐름을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한 개선방안으로 정

부의 『에너지통계의 작성 등에 관한 규정』의 조사서식을 일부 내

용을 수정하는 것을 제기

○ 개정 조사체계의 원활한 수행을 통해 원별 수급통계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에너지통계협의회의 적극적인 참여가 매우 중요한 변수임.

참고문헌

박태식, “국가에너지통계 개편방안 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 2006 지식경제부,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통계연보』, 각년도 한국전력공사, 『한국전력통계』, 각년도

한국전력거래소, 『상용자가발전업체조사현황』, 각년도 에너지관리공단, 『집단에너지사업관련자료집』, 각년도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통계』, 각년도

한국지역난방공사, 『경영통계』, 각년도

SH공사, 『경영통계』, 각년도

OECD/IEA, Energy Balances in OECD Countries, 2008 OECD/IEA, Electricity Informations. 2008

OECD/IEA, Energy Statics Manual, 2004

OECD/IEA, A Handbook of Definitions, Methods and Sources used in the Statistical Work of the International Energy Agency. 1987

United Nations, Concepts and Methods in Energy Statistics with Special Reference to Energy Accounts and Balances. 1982

United Nations, Energy Statistics: A Manual for Developing Countries.

1991

United Nations, Energy Statistics: Definitions, Units of Measure and Conversion Factors. 1987

日本 經濟産業硏究所, 綜合エネルギ 統計, 2007

부록 71

< 부록 >

1. 수도권 열배관 현황

수도권 열배관 현황도

2. 열병합발전

○ 열병합발전은 동일한 연료를 사용하여 열과 전기를 동시에 생산하는 에너지시스템으로서 CHP(Combined Heat and Power), Cogeneration 등으로 부름.

○ 산업체는 일반적으로 저압 보일러를 설치하여 생산 공정에 증기를 공급하고 전기는 한전에서 판매하며, 열병합발전으로 전기와 열을 공 급함으로서 1차 에너지를 35~40%수준 절감시켜 생산원가를 줄이고 전기 공급의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형식 시 스 템 구 성 특 성

증 기 터 빈 플 렌 트

①배압터빈 플랜트

• 1종류의 증기공급

• 증기 및 전력부하비례

• 한전과 병렬운전

• 경제적 운전

②추기배압터빈 플랜트

• 2종류의 증기 공급

• ①과 동일  

③추기복수터빈 플랜트

• 1~2종류의 증기공급

• 발전부하율을 높게 유지

• 병렬 및 단독 운전

• 소요전원 독자 학보

가 스 터 빈 플 렌 트

④가스터빈 +폐열보일러

• 전기를 생산하고 폐열 보일러에서 증기를 생 산 공급

⑤복합싸이클 +추기방식

• 폐열보일러에서 나온 증기로 스팀 터빈에서 발전(일부 증기 공급 또 는 100% 발전 가능)

부록 73

○ 열병합발전 종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