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원림기는 원림의 건립부터 作記시기에 이르기까지의 원림 변천사를 기술하며

113)黃庭堅, 앞의 글(앞의 책, 179쪽.) 114)위의 글(위의 책, 179쪽.)

115)劉攽, <兗州美章園記>(《全宋文》 권1504, 190쪽.)

116)蔡襄, <葛氏草堂記>(《全宋文》 권1018, 193쪽.)

作 家 作 品 主 題

歐陽修(1007-1072)

1. <海陵許氏南園記> 頌德, 交遊

2. <真州東園記> 頌德, 交遊, 營造沿革, 地理

3. <李秀才東園亭記> 頌德, 交遊

王安石(1012-1086) 4. <揚州新園亭記> 頌德, 營造沿革 蘇轍(1039-1112) 5. <洛陽李氏園池詩記> 頌德, 隱逸, 地理 蘇軾(1037-1101) 6. <靈璧張氏園亭記> 頌德, 交遊, 地理

李格非(1045-1105) 7. 《洛陽名園記》 頌德, 交遊, 營造沿革, 地理 蘇舜欽(1008-1048) 8. <滄浪亭記> 隱逸, 超然, 地理

司馬光(1019-1086) 9. <獨樂園記> 地理, 燕息, 免德 王禹偁(954-1001) 10. <李氏園亭記> 頌德, 交遊 尹洙(1001-1047) 11. <張氏會隱園記> 隱逸

園主의 교체뿐만 아니라 원림의 초기 건축부터 증⋅개축과 관련한 세세한 내력 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글이다. 원림의 구조물과 주변 경관, 원림 속에 위치한 각종 경물, 원림 내 주요 행사, 원주와 작자와의 관계, 원주와 교유한 인물 등을 작자의 개성에 따라 광범위하게 혹은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다.

북송 원림기에서 다루고 있는 주된 내용은 頌德, 同樂, 交遊, 憂國, 免德, 隱逸, 營造沿革, 地理 등으로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117)

[표 2] 작품 주제 분류표

117)이 표 상의 주제 분류는 陳怡蓉의 <北宋園亭記散文研究>(東海大學. 碩士, 1995)에 실린 부록을 크게 참조하였다. 진이용은 北宋園亭記散文의 주제를 이하와 같이 7가 지로 분류하였다.[①頌德同樂, ②憂國憂民 ③隱逸生活 ④超然物外 ⑤治國勉德 ⑥營 造沿革 ⑦其他: 地理, 燕息] 본고에서는 이상의 분류에 ‘交遊’라는 항목을 추가하고 진이용의 기존 분류를 재검토하여 표로 제시하였다. 본고의 32편 원림기 작품 중 진이용의 논문과 중복되는 작품은 1, 2, 3, 4, 6, 9, 10, 12, 16, 17, 18, 22, 23, 24, 25, 29, 31, 32번 작품으로 총 18편이다.

作 家 作 品 主 題 黃庭堅(1045-1105) 12. <東郭居士南園記> 隱逸, 超然, 交遊 晁補之(1053-1110)

13. <金鄉張氏重修園亭記> 交遊, 地理, 頌德

14. <歸来子名緡城所居記> 地理, 燕息, 免德

韓琦(1008-1075)

15. <定州众春園記> 頌德, 同樂

16. <相州新修園池記> 頌德, 同樂, 地理

沈括(1031-1095) 17. <揚州重修平山堂記> 地理, 頌德

18. <夢溪自記> 地理, 燕息, 免德

米芾(1051-1107) 19. <西園雅集圖記> 交遊

朱長文(1039-1098) 20. <樂圃記> 地理, 燕息, 免德 文同(1018-1079) 21. <武信杜氏南園記> 頌德, 營造沿革 範純仁(1027-1101) 22. <薛氏樂安莊園亭記> 頌德, 隱逸, 地理 蔡襄(1012-1067) 23. <葛氏草堂記> 營造沿革, 隱逸 蔡確(1037—1093) 24. <繁昌縣北園記> 營造沿革 張詠(946—1015) 25. <春日宴李氏林亭記> 交遊

趙鼎臣(1070-未詳) 26. <尉遲氏園亭記> 地理, 隱逸, 交遊 劉跂(1053-1118) 27. <馬氏園亭記> 超然

鄭俠(1041-1119) 28. <來喜園記> 燕息, 免德 謝逸(1068-1113) 29. <小隱園記> 隱逸, 交遊 劉敞(1019-1068) 30. <東平樂郊池亭記> 地理, 同樂 劉攽(1023-1089) 31. <兗州美章園記> 地理, 免德 唐庚(1070—1120) 32. <李氏山園記> 燕息

제 3 절 북송 원림기의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