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 유엔 인권레짐이 북한 인권정책에 미치는 효과
2. 북한의 인권 정책의 변화 유도
둘째, 북한 당국이 전방위 실리외교를 추진하는 한 기본권과 자유 권에 대한 실질적 수용에 있어서 국내 입법에서 획기적인 변화는 예 상되지 않으나 기존의 제도를 실천하는 측면에서 현재의 관행보다 자 유와 관대함의 수준이 점진적으로 확대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인권 실태의 지속적이고 긍정적인 변화는 개방 정책의 적극적인 추진으로 국제적 접촉과 상호의존성의 증대가 변화를 촉진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중국의 변화가 중요한 선례가 되고 있 다. 중국의 개혁과 개방 그리고 국제적 상호의존성의 증대는 인권에 대한 정책을 국제적 인권 규범에 순응하는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84) 북한도 개방정책을 적극 전개하는 경우에 사회적 변화에 따 른 시민적․정치적 권리의 확대 등 인권 실태의 실질적 개선도 조심 스럽게 낙관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 북한 인권정책의 변화 가능성과 그 방향 105
북한도 우리의 관심 분야를 이해할 것이다. 특히 지도자의 원칙적인 관심 표명은 북한의 인권 실태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을 일으키고 국 제사회의 여론을 지속시키는데 필요하고, 특히 정부 부처간 정부의 대북인권 정책에 대한 부처간의 공조와 일관된 정책 추진에 절대 필 요하다. 남북 교류와 경제협력을 지원하여 북한의 개방을 촉진시키는 것은 북한 사회변화를 유도하는 방법이 될 것이다. 또한 국내적으로 인권단체와 연구소의 활동을 지원하여 인권 전문가 양성 및 국내외에 북한 인권에 대한 정보 제공의 기능을 수행하게 해야 한다. 북한의 법제화가 국제규범과 일치하는지를 비교 연구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 련하고 이에 대한 지원을 지속해야 한다.
대외적인 활동으로 정부는 아시아지역에 존재하고 있지 않는 지역 인권레짐을 설립하여 북한의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기존의 APEC회 원국들과 동북아 국가들이 지역인권레짐의 주체가 될 수 있다. 이러 한 다자간 협의체의 틀 속에서 북한을 인권문제 해결의 구도 속에 참 여시키는 것도 효과적일 수 있다.85) 또한 유엔 인권레짐을 통해 북 한 인권 문제에 대한 관심을 지속시킴으로 북한에 외교적 압력을 가 하고, 특히 인권이사회를 통해 이사회가 이미 북한에 권고한 문호개 방을 강력히 요구하여 북한 인권에 대한 객관적 상황 파악을 실시하 도록 해야 한다. 또한 공개처형 금지 등 이사회가 권고한 기타 중요 한 권고 사항의 준수 여부를 모니터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증거 위주 로 인권이사회 등 국제사회에 제공해야 한다. 한편 북한이 제공하는 정례적인 보고서의 유용성을 감안하여 유엔 및 국제 인권레짐 등이 실시하는 교육과 다자적 포럼 등에 북한이 참여하도록 지원을 확대하 는 외교적 노력을 추구해야 한다.
민간차원에서는 남북관계 활성화를 선도하여 대북접촉 증대를 통 85) 통일연구원, 「북한 인권상황 변화 평가지표 개발」(2002. 9. 30), p. 76.
해 중장기적으로 북한 사회의 변화를 촉진시키는 데 기여해야 한다.
또한 북한의 인권 문제에 관심이 많고 적극적인 활동을 벌이고 있는 국제적인 비정부기구와 협조 체제를 구축하여 북한 인권에 대한 문제 제기와 관심을 국제사회에 유발시키는 운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해야 하고,86) 필요한 경우에 범국민적인 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
86) 위의 책, pp. 82-83.
참고문헌 107
참고문헌
1. 영문
Bailey, Sydney D. “The Security Council.” in Philip
Alston. ed.
The United Nations and Human
Rights: A Critical Appraisal .Oxford : Clarendon
Press, 1995.Boerfijn, Ineke. “Towards a Strong System of Supervision.”
Human Rights Quarterly. 17. 4 (November 1995).
Boven, Theo van. “The Role of the United Nations Secretariat.” in Alston. ed.
United Nations and Human Rights.
---. “Human Rights and Development:
The UN Experience.” in David P. Forsythe. ed.
Human Rights and Development: International Views.
London: Macmillian, 1989.Brezezinski, Zbigniew. “New Dimensions: Foreign Policy and Human Rights.”
Current(September 1966).
Cassese, Antonio. “The General Assembly: Historical Perspective 1945-1989.” in Alston, ed.
United Nations and Human Rights.
Cranston, Maurice.
What are Human Rights?
NewYork: Basic Books, 1964.
Damrosch, Lori Fisler. ed.
Enforcing Restraint:
Collective Intervention in Internal Conflicts. New
York: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Press, 1993.
Donnelly, Jack.
Universal Human Rights in Theory and Practice.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1989.
Evans, Gareth and Mohamed Sahnoun, “The
Responsibility to Protect.”
Foreign Affairs
(November/December 2002).
Falk, Richard. “The New Interventionism and the Third World.”
Current (November 1999).
Forsythe, David P. “The United Nations and Human Rights 1945-1985.”
Political Science Quarterly.
100 (Summer 1985).
______.
Human Rights and World politics. 2nd rev. edn.
Lincol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89.
______. “The UN Secretary-General and Human Rights:
The Question of Leadership in a Changing
Context” in Benjamin Rivilin and Leon Gordenker.
eds.
The Challenging Role of the UN Secretary- General : Making “The Most Impossible Job in the World” Possible. Westport: Praeger, 1993.
______. “The UN and Human Rights at Fifty: An
Incremental but Incomplete Revolution.”
Global Governance 1, 3(September-December 1995).
______. “The United Nations, Democracy, and the
Americas.” in Tom J. Farer. ed.
Beyond
Sovereignty: Collectively Defending Democracy
in the Americas.
Baltimore: Johns Hopkins참고문헌 109
University Press, 1996.
______. “The United Nations, Human Rights, and
Development.”
Human Rights Quarterly
19, 2(May 1997).Gordimer, Nadine. “Reflections by Nobel Laureates.” in Yeal Danieli, Elsa Stamatopoulou and Clarence J.
Dias, des.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Fifty Years and Beyond.
Amityville, NY:Batwood, 1988.
Haas, Ernest B.
Human Rights and International
Action: The Case of Freedom of Association.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1970.
Hannum, Hurst. “The Specter of Session.”
Foreign
Affairs
(March/April 1998).Howard Tolley, Jr.
The UN Commission on Human
Rights. Boulder: Westview, 1987.
Humphrey, John P.
Human Rights and the United
Nations: A Great Adventure.
Dobbs Ferry:Transnational, 1984.
Joffe, Josef. “Rethinking the Nation-State.”
Foreign Affairs
(November/December 1999).Keyar. “The Role of the UN Secretary-General.” in Adam
Roberts and Benedict Kingsbury. eds.
United
Nations, Divided World: The UN's Roles in
International Relations.
2nd edn. Oxford :Clarendon, 1993.Kent, Ann.
China, the United Nations and Human Rights.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99.Klotz, Audie. “Norms Reconstituting Interests: Global Racial Equality and US Sanctions Against South Africa.”
International Organization
50,4(Summer 1995).Leblanc, Lawrence J.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United Nations Lawmaking on Human Rights.
Lincol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95.Loescher, Gil.
Beyond Charity: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the Global Refugee Crisi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3.______. “Refugees: A Global Human Rights and Security Crisis.” in Tim Dunne and Nicholas J. Wheeler.
eds.
Human Rights in Global Politics.
Cambridge: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Luttwak, Edward. “Where Are the Great Power?” Foreign
Affairs 73(July/August, 1994)
Mayall, James. ed.
The New Interventionism: United Nations Experience in Cambodia, Former Yugoslavia, and Somalia.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McGoldrick, Dominic.
The Human Rights Committee.
Oxford: Clarendon, 1991.
참고문헌 111
Nowak, Manfred.
UN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CCPR Comments.
Arlington: Angel, 1993.Morello, Ted. “Veto Vanishes: Thaw Clears Way to the
United Nations' Membership for Korea.”
Far
Eastern Economic Review(December 5, 1990).
Muller, A.S. D. Raic, and J.M. Thuranszky, eds.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Its Future Role after Fifty Years.
The Hague: Martinus Nijhoff, 1997.O'Donovan, Declan. “The Economic and Social Council.”
in Alston, ed.
United Nations and Human Rights.
Oberdorfer, Don.
The Two Koreas: A Contemporary
History. Reading, Mass: Addison-Wesley, 1997.
Ping Yu. “Post-Deng China: Justice with Chinese
Characteristic.”
Human Rights Dialogue.
Vol. 8.Cambridge Council of International Affairs: New York(March, 1997)
Pye, Lucian W.
The Spirit of Chinese Politics.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68.
Resenau, James N. “Security in a Turbulent World.”
Current History
(May 1995).Schabas, William A. “Spare the RUD or Spoil the Treaty: The United States Challenges the Human Rights Committee on the Subject of Reservations.”
in David Forsythe. ed.
The United States and
Human Rights: Looking Inward and Outward.
Lincol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000.
Sen, Armatyya. “Human Rights and Economic Achievements.”
in Joanne Bauer and Daniel A. Bell(ed.).
The East Asian Challenge for Human Right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Solomon, Richard H.
Mao's Revolution and the Chinese Politics.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1971.Soo Yeon, Kim and Bruce Russett. “The New Politics of Voting Alignments in the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International Organization 50, 4
(Autumn 1996).
Speth, James Gustave. “Poverty: A Denial of Human Rights.”
Journal of International Affairs
52,1(Fall 1998).Valticose, Nicolas. “The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in Karel Vasak. ed.
The International Dimensions of Human Rights.
edited for the English edition by Philip Alston (Westport, for UNESCO, 1982).Zacher, Mark W. “The Decaying Pillars of the Westphalian Temple: Implications for International Order and Governance” in James N. Rosenau and Ernst-Otto zempiel. eds.
Governance Without Government:
Order and Change in World Politic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참고문헌 113
2. 국문
박재영. “북한의 대유엔 및 국제기구정책.” 양성철, 강성학(공편).
「북한외교정책」.
서울: 서울 프레스, 1995.통일원.
「월간북한동향」 144호, 1993. 6.
통일연구원.
「북한 인권상황변화 평가지표 개발」, 2002. 9. 30.
「동아일보」.
「연합뉴스」.
「조선일보」.
「중앙일보」.
3. 북한원전
김정일. “인민대중중심의 우리식 사회주의는 필승불패이다.”
「김정일 선집」 11권
. 평양: 조선노동당출판사. 1981.______. “사회주의는 과학이다.”
「김정일 선집」
13권. 평양: 조선노동당출판사. 1998.
리봉학. “자본주의 사회는 부빅부, 빈익빈의 반동적 사회.”
「근
로자」 6호, 1997.사회과학원출판사.
「조선말대사전
2」.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2.전인철. “제국주의자들의 <평화적 이행> 전략은 파산을 면치 못한다.”
「근로자」, 1990.11.
조선로동당출판사 편. “주체의 혁명관을 튼튼히 세울 데 대하여.”
「친애하는 지도자 김정일동지의 문헌집」.
평양: 조선로동 당출판사, 1992.______. “사회주의건설의 력사적 교훈과 우리 당의 총로선.”
「친애
하는 김정일 동지의 문헌집」.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조선중앙통신사. “주체사상에 대하여.”
「조선중앙년감
1983」. 조 선중앙통신사, 1982. 3. 31.______.
「정치용어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70.“참다운 인권을 옹호하여.”
「로동신문」 1995. 6. 24.
“국가의 자주권을 떠난 인권이란 상상할 수 없다.”
「로동신
문」. 2000. 4.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