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북한의 인권 정책 변화 가능성과 그 방향

V. 유엔 인권레짐이 북한 인권정책에 미치는 효과

1. 북한의 인권 정책 변화 가능성과 그 방향

유엔 인권레짐이 북한 인권정책에 미치는 효과 101

고 있다. 북한 당국은 유엔 인권레짐에 대한 외교적 수용의 폭을 확 대하는 등 국제 인권레짐에 대한 사회화에 순응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전반적인 사회화 정도에서 외교적 수용과 실행적 수용에서 만족할 수는 없으나 괴리를 보이면서 조금씩 진전을 보이고 있다. 이것은 대 외적으로는 유엔 인권레짐의 권한의 한계와 국내적으로는 정치적, 문 화적 특수성에 기인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 당국이 직면한 위기사태 를 해소하기 위해서 최근에 유엔 인권레짐과 다자간 인권기구들이 주 최하는 다양한 포럼과 교육 프로그램에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 하고 있어 유엔 기구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는 것은 긍정적 인 발전으로 평가된다.83)

현재까지 유엔 인권레짐이 북한의 국내 입법과 실천에 의미 있는 변화를 주지 못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부분적인 영향, 즉 국내 입 법화(헌법 및 형법) 차원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고 일정한 효과를 거 두고 있다. 이와 같이 국제사회의 관심 증대와 압력으로 북한의 법적, 제도적 틀이 조금씩 개선되어 가는 것은 중장기적인 측면에서 개인의 권리를 보호하는 잠재력을 증대시키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북한이 과거에 비해 국제 인권레짐과 양자 및 다자적 포럼에 참 여하고 있는 것은 그 자체가 긍정적 결과로 간주될 수 있다.

그러나 생명권과 신체의 자유 등 기본권에 대한 위협이 지속되고, 특히 자유권의 인정과 확대를 최고 지도자의 유일 지배체제에 대한 도전요인으로 간주하고 있어 획기적인 진전을 거두기 어렵고, 현재 북한이 직면한 체제 불안 요인 등으로 당분간 인권에 대한 문호 개방 이나 자유권의 급격한 확대 등 인권정책에 급격한 변화를 기대하기는

83) Tsedev Hulan, Associate Human Rights Officer (HCHR: 유엔인권고 등판무관실0, 2002. 5. 28), 제네바 사무실에서 필자와의 인터뷰

결론: 북한 인권정책의 변화 가능성과 그 방향 103

어렵다. 또한 북한 당국은 아직도 국제외교나 유엔 인권레짐에 정상 적으로 대하지 못하고 감정적, 잠정적으로 대응하는 경향이 있다(예

로써 1997년 유엔인권이사회 탈퇴 선언 및 2001년 7월 인권이사회

심사 결과 토론회 과정에서의 태도 등).

현재까지 유엔 인권레짐이 북한의 실질적 인권 개선에 커다란 성공 을 거두지 못하고 있으나 점진적인 효과를 보고 있다. 북한의 법 및 형법 개정 등에서 알 수 있듯이 국제인권규범과 유엔의 압력이 권위 주의 국가인 북한에도 직·간접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북한 당국도 북한의 체제 유지와 국제적 지위 향상을 위해서 유엔 등 국제인권포럼을 기피하는 것보다는 적극 참여하는 것 이 인권게임에 이득이라는 인식하고 있는 곳으로 판단된다. 사실 인 권개선을 위해서 국내적 압력과 국제적 압력이 합쳐질 때 시너지 효 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북한에서 이와 같은 상호보완적인 작용을 기 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국내적 압력을 기대할 수 없는 상황에서 정치 지도자의 정치적 의지가 절대적으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국 제적 압력은 독립변수보다는 매개변수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 재 북한의 국내적 압력은 기대하기 어려우나 김정일 정권과 체제 유 지를 위한 지도층의 필요성은 더욱 중요한 국내적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북한 당국은 유엔 인권레짐과 국제적 인권 포럼에 참여하는 한 북한의 인권정책에 점진적인 변화가 일어날 것이다.

북한 인권 정책의 변화 방향은 북한의 체제적 특성과 전통적 유산 을 감안한다면 김정일 정권과 체제 유지에 도전을 주지 않는 선에서 점진적이고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첫째, 앞에서 기술한바와 같이 유엔과 국제적 인권레짐에 참여가 확대되면서 외교적 수용 측면에서 진전이 있을 것이고, 이것은 부분 적으로 실질적 수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북한 당국이 전방위 실리외교를 추진하는 한 기본권과 자유 권에 대한 실질적 수용에 있어서 국내 입법에서 획기적인 변화는 예 상되지 않으나 기존의 제도를 실천하는 측면에서 현재의 관행보다 자 유와 관대함의 수준이 점진적으로 확대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인권 실태의 지속적이고 긍정적인 변화는 개방 정책의 적극적인 추진으로 국제적 접촉과 상호의존성의 증대가 변화를 촉진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중국의 변화가 중요한 선례가 되고 있 다. 중국의 개혁과 개방 그리고 국제적 상호의존성의 증대는 인권에 대한 정책을 국제적 인권 규범에 순응하는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84) 북한도 개방정책을 적극 전개하는 경우에 사회적 변화에 따 른 시민적․정치적 권리의 확대 등 인권 실태의 실질적 개선도 조심 스럽게 낙관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