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상호작용의 개념
상호작용(相互作用)이란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사람이 주어진 환경에서 다른 사람이나 사물과 서로 관계를 맺는 모든 과정과 방식’을 의미한다.
마주보고 대면하는 상호작용 행위를 대화(對話)라고도 하는데, 대화란 마 주할 대(對)와 말씀 화(話)를 합한 말로 마주 대하여 이야기를 주고받음, 또는 그 이야기 자체를 의미한다.
우리말로는 대화 혹은 상호작용으로 표현하지만 영어에는 이에 상응하 는 의미를 가진 단어들이 talk, dialogue, conversation, discourse, discussion, communication, interaction과 같이 다양하다. 아래에서는 상 호작용과 관련한 개념을 살펴본다.
사전적 의미에 따르면 talk는 (어떤 중요한 일에 대한) 대화 혹은 논 의, dialogue는 (책 연극 영화 속의) 대화, conversation은 두 사람이나
대화 및 상호작용의
지시어 의미
communication 언어뿐 아니라 몸짓 등의 기호를 매개수단으로 한 정 신적이고 심리적인 포괄적 전달 교류 행위
talk 가벼운 인사부터 주고받는 논의에 이르기까지 모든 대화의 총칭, 보다 짧고 비격식적임
conversation 다소 길고 사적인 대화
discussion 중요하게 여겨지는 주제에 대한 다소 상세한 대화 discourse 무겁고 중요한 것에 대한 담화 혹은 담론
dialogue (책, 연극, 영화 속의) 대화 interaction
누군가와의 대면적 만남에서 서로 관련되는 이해를 포함하는 대화 방식. conversation, discussion, discourse의 전제 조건이 됨. 상호작용으로 번역됨.
[표 II-1] 대화와 상호작용의 다양한 지시어(김승현, 2014).
보통 사적으로나 비격식적으로 주고받는 대화를 뜻한다. discussion은 논 의(중요하게 여겨지는 것에 대한 다소 상세한 대화)의 의미이고, discourse는 담화 혹은 담론과 같이 대화와는 다소 다른 의미로 사용한 다. communication은 라틴어의 ‘나누다’는 뜻을 의미하는 commnicare를 어원으로 해 언어뿐 아니라 몸짓 등의 기호를 매개수단으로 해 정신적이 고 심리적인 전달 교류 행위로 본다. interaction은 사회적 행위자들이 대면적 만남에서 관련되는 과정과 방식을 말하고 있다(김승현, 2014).
interaction, 즉 대면 소통은 일반적으로 사회적 행위자들이 대면 만남 에서 서로 관련되는 과정과 방식(고영복, 2000)으로 정의할 수 있다. 대 면 소통은 의사소통 활동에 참여하는 이들이 상대방의 발화를 더 잘 이 해하기 위해 행하는 피드백과 수정, 그리고 확인 과정 등을 통한 의미 협상(Dauhty & Pica, 1986; Ellis, 1985; Long, 1983; 1996; 홍순태, 2013 재인용)을 가리키는 것으로 초점하여 정의할 수 있다. 이 대면적 소통을 통해 개인은 각자의 생각을 나누고, 사고를 자극한다.
상호작용에 관련한 학문적 논의에 관련해서는 크게 언어학적 접근, 사 회인류학적 접근, 교육학적 접근으로 나눌 수 있다. 우선 언어학적 접근 은 주로 상호작용에서의 언어 대화(talk in interaction) 그 자체를 연구 하는 것이다. 이는 텍스트언어학과 담화분석(discourse analysis) 및 대화 분석(conversation analysis)과 화용론(speech act)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구되었다. 담화 분석은 문법이나 억양, 대화 순서와 같은 미시적인 단 위에서부터 문맥, 정보의 흐름과 의사소통의 원칙까지 확장되기도 한다.
사회인류학적으로 상호작용은 Mead(1930)나 Durkheim(1972)같은 인류 학자 및 사회학자로부터 나온 개념으로, 개인이 사회 속에서 의미를 생 성해내는 과정 자체에 관심을 둔다. 그는 개인의 자아가 타인과의 상징 적 상호작용에 의하여 형성된다고 보았다. 그는 인간은 타인과 집단적인 맥락에서 협동할 필요성이 있고, 협동을 지속 촉진함으로써 타인과의 상 호작용을 통해 성장하고 발전한다는 것이다.
교육학적 접근으로는 대표적으로 상호작용에 따른 학습을 탐구한 사회 적 구성주의를 들 수 있다. Vygotsky(1978)은 학습이 문화적으로 형성되
며, 개인의 의미 과정에 있어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이 큰 영향을 미친 다고 설명하고 있다. Vygotsky는 정신기능의 발달과정에서 개인이 다른 개인과 상호작용하고, 이를 내재화(internalization)함으로써 외부에서 내 부로 조절 과정을 겪는다고 설명했다.
상호작용과 관련한 이론들은 언어, 지식, 사고, 학습 등의 다양한 개념 이 얽혀 있어 어느 하나의 학문 틀로만 바라보기 어려운, 복합적인 의미 로 얽혀 있다. 예컨대 질적 연구의 하나인 문화기술지(민속지학, ethnography)은 언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대화분석을 그 주된 내용으로 삼고 있으면서 사회학적, 인류학적 기반을 갖고 있다. 포괄적으 로 보면 개인이 사회 그리고 사회에 속한 다른 개인과 끊임없이 소통하 며 변화하고 성장해 가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언어가 사고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음을 밝힌 Vygotsky(1978)는 지식 의 구성이 단지 인간의 개인적 인지 작용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속한 사회적, 문화적 배경과의 상호작용을 전제로 함을 강조하였 다. 대화를 통한 협상 과정을 바탕으로 상대방을 이해하고 나아가 지식 을 구성할 수 있다는 믿음은 Vygotsky 등 사회 구성주의 이론의 근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연구의 기저에는 개인의 사고가 사회와 밀접한 관련 속에서 발생한다는 것, 이 과정에서 언어가 도구적으로 활용된다는 것에 대한 공통적인 인식이 자리하고 있다. 사고는 본질적으로 사회적 과정이 며, 사회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은 언어를 통하여 사고를 촉진, 변화, 진 보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Kuhn, 1992;
윤초희, 2004 재인용).
이런 의미에서 대화는 지식과 연결된다. Bruner(1997)은 지식을 창조 하는 한 방법으로서 집단 토론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지식은 구성원 간 이야기의 교환, 교섭에 의해 창조되고 공유된다는 의미이다(오정희, 김성 숙, 2011) Edward & Mercer(1987)은 Common knowledge, 즉 ‘공동 지 식’이라는 용어를 통해 상호작용적 소통을 통해 구성되는 지식을 명명했 다. Mercer(2000)는 공동 지식과 관련한 개념을 더욱 발전시켜 사회적인 기능과 인지적인 기능을 관련짓기 위해 상호 사고(interthinking)이란 개
념을 제안했다. (Grugeon et al, 2001; 이창덕 외 공역, 2007).
Harbermas(2006)도 ‘상호 이해’라는 개념을 강조하고, 언어적 의사소통에 는 상호 간의 이해라는 목적이 내재되어 있다고 생각하며, 이성의 능력 을 주관적인 인식능력으로 보지 않고 객관적인 규칙을 인지하고 따를 수 있는 능력으로 이해한다(김윤옥, 2007, 김승현, 2014, 재인용)
학습 대화에 대해 연구한 김승현(2014)은 지식의 구성이 일어나는 과 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기존의 개인적 지식은 화자가 문제에 대하여 최초로 가지고 있었던 지식이다. 대화가 시작되면 화자는 자신이 가진 개인적 지식을 다른 이에게 표현하기 시작한다. 자신의 생각을 구 체적인 언어로 정리하여 나타내는 것으로부터 지식의 정교화가 발생하기 시작하며, 다른 사람의 생각을 듣는 것으로 새로운 관점과 다양한 내용 들을 경험하게 된다. 또 지식을 탐색하면서 화자는 본격적으로 인지적 갈등을 겪고 이 가운데서 기존의 지식에도 조정이 일어난다.
화자는 다른 사람의 지식을 알게 됨으로써 자신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지식과 비교하게 되고, 의문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질의를 함으로써 상대 의 지식을 확인한다. 질의를 받은 이도 응답의 과정에서 자신의 지식을 고찰하고, 부족한 부분을 깨닫거나 그 부분을 보완해 나가면서 조정의 과정을 거친다. 이와 같이 습득하게 된 지식을 놓고 내적, 외적인 조정을 거치면서 나의 생각과 상대의 생각을 더 명료하게 파악하게 되고, 이 과 정에서 나와 다른 사람의 주장의 합의점을 찾아가게 된다.
이처럼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을 구성해 나간다는 측면에서 타인과의 대화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화 속에서 개인은 잘 모르는 곳을 알게 되고, 그 내용을 이해하게 되며, 더 나아가서는 조정을 거치고 합의 점을 찾아간다. 이를 통해 ‘상호 이해’에 도달하게 된다. 이 과정을 한 사 람이 아니라 다양한 사람과의 사이에서 반복하게 되면 사안을 보다 명확 하게 보고, 종합적으로 이해하게 되는 눈이 길러지게 된다.
나. 상호작용의 유형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면적 상호작용이 모두 학습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지만, 어느 상호작용은 구성적 학습의 모습을 띤다. 또 어떤 상호작 용은 학습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다음은 대화의 유형 분류이다.
표에서 언급된 대부분의 대화 유형이 상호작용 중에 일어나지만, 이 중 정보탐색을 위한 대화와 탐구 대화가 학습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탐 구 대화는 연구나 조사 등 자신이 입증하고자 하는 가설을 위해 근거를 찾고 지식을 획득하는 것이다. 정보 탐색은 정보의 필요를 위해 전문가 와 만나서 이루어지거나 인터뷰, 심문 등에서 이루어진다. 이외의 상호작
유형 상황 주요 목적 참여자 목적 이득
설득
(persuasion) 의견의 갈등
서로 다른 의견 의 통합으로 갈 등의 해결
상대방 설득 입장 이해 탐구
(inquiry) 증거의 필요 가설의 입증 근거를 찾고
진실인지 확인 지식 획득 협상
(negotiation)
이해관계의 충돌
양측이 합의할 만한 합리적인 절충안
자신이 원하는 것의 최대화 조화 정보 탐색
(information- seeking)
정보의 필요 정보의 교환 정보를 얻거나 주는 것
목적 활동 의 도움 숙의
(deliberation)
딜레마 혹은 선택
최선의 가능한 행동의 결정
개인적 목적의 증진
우선순위 형성 논쟁
(quarrel)
개인적 언쟁
더 깊은 갈등을 드러내기
상대방 공격,
상대방 이기기 감정 분출 토론
(debate) 대립 관계 양측의 주장을
선명히 하기 제3자 설득 정보 확산 교육대화
(pedagogical) 무지 교육과 학습 지식 전달 지식 전환 [표 II-2] Walton & Krabbe(1995), 대화의 유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