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 기자의 상호작용 전문성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현대사회에서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호작용 전문성에 대한 새로운 개념적 이해를 제시하였다. 특히 상호작용 전문성을 대표적인 사회과학적 직업군인 기자직군을 통해 살펴 보았다. 이에 따라 추상적 개념으로 제시되어 왔던 상호작용 전문성을 실제적 개념으로 전환시켰다.
둘째, 상호작용 전문성의 실천과정을 제시함으로써 상호작용 전문성 이론의 외연을 확대하였다. 이를 통해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의 수준이 점차 높아진다는 것을 실제적으로 증명하였다. 또 문제의 복잡성 수준 (난이도)에 따라 기자들이 사실을 드러내고 방법론을 찾는 방식이 다르 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이에 따라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과 상호작용을
통한 문제해결의 방식을 보여주었다.
셋째, 각 과정별로 어떤 기준이 있는지 탐색해 포착 기준, 학습 수준, 전달 기준을 제시하여 상호작용 전문성의 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시사점 을 제공하였다. 특히 기존의 전문성과는 조금 다른 양상을 띠는 양상을 각 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다.
넷째, 상호작용 과정의 속성인 상호주관성, 신뢰성, 호혜성의 성격을 드러내었다. 이 같은 특성을 확인함으로써 상호작용을 많이 할수록 생기 는 이점과 상호작용 속에서 영향을 미치는 무형의 가치들이 무엇인지를 보여주었다.
또 본 연구를 통해 기존의 상호작용 전문성을 갖춘 인재를 육성하기 위 한 실천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상호작용 전문성의 실천 과정과 그 속성을 알고 이를 지속적으 로 내면화하도록 도와야 한다. 기존 전문성과 달리 상호작용 전문성은 다년간의 경험적인 노하우를 갖고 있음에도 어떤 주제를 착안할 때마다 그 영역을 파악하는 학습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특징을 지닌다. 상호작용 학습은 그 영역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사람을 만남으로써 배우며, 이는 전문성 실천 과정 전반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 상호작용 학습은 매우 빠 르고 효과적이다. 그런데 상호작용 학습의 전제 조건은 전문가와 대화할 정도로까지 지식의 수준을 올려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여러 경로를 통해 지식을 많이 습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동시에 상호작용 학습 은 완전한 사실에 대한 담보가 아니므로 사실에 대한 크로스 체크와 사 실 검증 등이 필요하다. 또 다양한 사람들의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서 스 스로 열려 있고, 유연하고 포용적인 사고와 태도가 중요하다. 이 같은 상 호작용 학습의 속성을 알고 있다면 양질의 결과물을 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상호작용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학습에 임하여야 한다.
기존 전문성과 달리 상호작용의 특성은 상호주관성, 신뢰성, 호혜성을 기 반으로 하고 있다. 상호주관성을 통해서는 자신의 생각을 다른 사람과 나누고, 자신의 생각을 객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신
뢰성을 통해서는 스스로가 믿음을 줄 수 있고 신뢰를 줄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하며, 신뢰라는 자산을 통해 사람을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는 시사점을 지닌다. 또 호혜성을 통해 자신의 이득만이 아니라 다 른 사람에게도 도움이 되는 방향을 생각하고, 이를 관계적인 측면에서 생각해 보아야 한다는 의의가 있다. 이 같은 상호작용의 특성에 대한 이 해를 통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네트워크를 형성해 나갈 수 있다. 이를 고 려하지 않는다면 관계가 유지되지 못하고, 단선적인 수준에서 끝나 버리 는 우를 범하게 된다.
셋째, 수용자 민감성을 유지해야 한다. 이 상호작용 학습의 목적은 수 용자 전달에 있다. 이 때문에 수용자가 어떤 것을 알고 싶어하는지에 대 한 관심을 꾸준히 지속하여야 한다. 수용자가 알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이를 고려하여 전달의 수준을 조절한다. 수용자가 당장 관심이 없더라도 수용자에게 꼭 알려주어야 하는 내용이라고 판단했다면 그 내 용의 의미를 이해시켜야 하며, 물리적 한계를 고려하여 핵심내용 위주로 내용을 조직하고 배치한다. 이 때 이해도와 설득력을 높이도록 노력해야 하며, 수용자의 눈에 띄고 흥미를 갖도록 영향력을 높이는 방안도 고려 하여야 한다.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한다면 다 음과 같다. 우선 상호작용 전문성의 형성과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실천 과정을 다루었기 때문에 상호작용 전문성이 형성되 어 가는 과정에 대한 연구가 있다면 기자들의 상호작용 경험의 특성과 맥락을 보다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둘째로 상호작용 전문성이 발현되는 다른 직업군에 대한 연구가 필요 하다. 기자라는 직업적 맥락에서만 발현되는 특성이 있을 것이므로 분야 의 특성이 반영되어 있다. 다른 분야에서 적용된다면 더욱 흥미로운 결 과를 보일 수 있으며, 상호작용 전문성에 대한 이해가 제고될 수 있다.
셋째로, 이번 연구는 상호작용 전문성이 높은 집단만을 대상으로 하여 수행되었다. 기여적 전문성과 상호작용 전문성의 차이를 비교 분석한다 면 두 전문성의 차이를 확연히 비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상호작용 전문성은 모든 양상이 단일하게 나타나는 정형화된 방식이 아니라 문제별로, 상황별로 자유도가 높은 하나의 틀이라는 것이 분명하 다. 상호작용 전문성이 높은 기자들은 작은 힌트를 놓치지 않고 중요한 기사로 연결시키며, 꾸준한 학습을 바탕으로 영역 지식을 쌓고, 정보를 확인하며 검증하여 자신의 수준을 높여 가고, 이를 바탕으로 대중에게 전달하는 방식을 고안하였다. 대중에게 알리고 싶은 문제라는 판단으로 처음 부딪치는 문제에 대해 상호작용을 통해 답을 구해 가는 이 같은 기 자의 숨겨진 노고를 알린 것이 본 연구의 가장 큰 의의라고 믿는다.
참 고 문 헌
고영복(2000). 사회학 사전. 사회문화연구소.
구현정(2009), 대화의 기법: 이론과 실제, 경진문화.
구현정(2008), 대화분석론과 말하기 교육,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33,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19-4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2020). https://stdict.korean.go.kr/.
김경모, 신의경(2013). 저널리즘의 환경 변화와 전문직주의 현실: 반성적 시론. 언론과학연구, 13(2), 41-84.
김도연, 오헌석(2007). 개발잠재력이 있는 일터 경험의 유형과 특성에 관 한 연구. HRD연구, l9(1), p.123
김사승(2004). 전문기자의 전문성과 뉴스의 질을 구축하는 취재보도 관 행의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 한국언론학보, 48(2), 56-78.\
김성재(2005). 언론노동의 현실과 지역 언론인의 정체성. 언론과학연구, 5(2), 105-140.
김승현(2014). 학습 대화의 교육 내용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대 학원.
김영욱(2002). 위기관리의 이해: 공중관계와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서 울: 책과 길.
김윤옥(2007). 상호주관성에 바탕을 둔 화법교육연구. 박사학위논문. 한국 교원대학교대학원.
남재일(2006). 기자 재교육 현황과 문제. 관훈저널, 101, 162-168.
류혜현, 오헌석(2016). 학습민첩성 연구의 쟁점과 과제. HRD 연구, 18(4), 119-147.
류혜현(2015). 기술경영 인재의 전문성 확장 과정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 울대학교대학원.
박진우, 송현주 (2012). 저널리스트 전문직에 대한 인식의 변화. 한국언 론정보학보, 49-68.
박성석(2013). 관계 중심 대화 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내용 연구. 석사학
위논문. 서울대학교대학원.
박형준. (2013). ‘공정성’ 개념과 평가에 대한 기자들의 인식 연구. 언론 과학연구, 13(1). 262-289.
민병곤(2013), 학습을 위한 화법의 위상과 과제, 선청어문 40, 서울대학 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411-432.
배을규, 동미정, 이호진 (2011). 전문성 연구 문헌의 비판적 고찰: 성과, 한계, 그리고 HRD 함의. HRD 연구, 13(1), 1-26.
서정우(1998). 언론인 전문성 지수 연구. 한국언론연구원.
서동인, & 오헌석. (2014). 과학기술분야 융합연구자의 교역지대 교류경 험 및 의미. 아시아교육연구
,
15(2), 111-140.오문자. (2009). ‘대화’의 유아교육적 의미: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열린유 아교육연구, 14(5), 41-63.
오정희, & 김성숙. (2011). 교사-유아 간 교실대화의 의미 탐색: 이야기 나누기 시간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6(4), 33-59.
오헌석(2006). 전문성 개발과정 및 핵심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 학회지, 직업능력개발.
오헌석, 김정아(2007). 전문성 연구의 주요 쟁점과 전망. 기업교육연구, 9(1), p.143
오헌석, 최지영, 최윤미, 권귀헌(2007). 과학인재의 성장 및 전문성 발달 과정에서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907-918.
오헌석, 배형준, 김도연. (2012). 과학기술분야 융합연구자의 융합연구 입 문과 과정에 관한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3(4), 337-357.
유동엽(1997), 대화 참여자의 대화 전략에 관한 연구: 상호작용을 대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온기찬. (1996). 전문성의 본질과 직관에서의 역할에 관한 연구. 교육학 연구, 34(3). 53-85.
윤초희(2004), 또래 협동학습 맥락에서의 아동담화: Vygotsky식 견해의 확대, 교육학연구 42(3), 한국교육학회, 91-122.
윤영철. (2003). 한국 언론전문직주의를 말한다: 분열과 충돌. 한국언론 학회 심포지움 및 세미나. 한국언론학회. 1-22.
이상기, 강민영(2012). 웹 2.0 시대 언론 전문직 요건에 대한 재고찰. 언 론과학연구, 12(2), 415-450.
이상훈(2014). 대학교수의 문제발견 과정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이준웅, 김경모(2008). ‘바람직한 뉴스’의 구성조건: 공정성, 타당성, 진정 성. 방송통신연구, 9-44.
이준웅(2010). 한국 언론의 경향성과 이른바 사실과 의견의 분리 문제.
한국언론학보, 54(2), 187-209.
임동욱(2003). 설득커뮤니케이션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전형준(2016). 기자 경력 및 기자 전문성에 따른 취재활동 분석-메르스 취재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4(10), 381-391.
조용환(1999). 질적연구: 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홍순태, 이상국(2013). 협동학습과정에서 나타난 한국 대학생들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영어영문학연구, 55(3), 555-59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편찬부. (1991). 한국 민족 문화 대백과 사전. 한 국 정신 문화 연구원.
한정선, 이경순(2005). 협력적 지식창출 과정의 규명: 활동이론을 통한 e-learning의 분석. 교육공학연구, 21(1), 29-62.
Addis, M. (2013). Linguistic competence and expertise.
Phenomenology and the Cognitive Sciences, 12(
2), 327-336.Albæk, E. (2011). The interaction between experts and journalists in news journalism.
Journalism, 12
(3), 335-348.Amabile, T. M. (1988). A model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organization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10
(1), 123-167.Anderson, C. (2008). Journalism: Expertise, authority, and power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