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서비스 주도 경제성장

(1) 비공식 경제와 서비스 부문

최근 여러 저소득 개도국에서 비공식 경제가 비교적 좋은 성장 실적 을 보인 기본적 배경은 ‘서비스 주도 경제성장’이라는 새로운 현상에서 찾을 수 있다. 비공식 경제활동은 서비스 부문에서 특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서비스 부문의 발전이 곧 비공식 경제의 성장으로 귀 결된 것이다.

저소득 개도국에서 비공식 경제는 일반적으로 서비스업에 집중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인도의 경우 소매업의 4분의 3 이상, 부동산 및 기 타 서비스의 약 3분의 2, 음식숙박업 및 운수업의 약 2분의 1은 비공식 적인 성격을 갖는 것으로 추정된다(<그림 Ⅳ-1>). 반면 제조업과 광 업에서는 비공식 경제 비중이 4분의 1 이하이다. 그 결과 인도에서는 농업을 제외할 경우 비공식 경제의 4분의 3 이상이 서비스업으로 구성 되어 있으며, 농업을 비공식 경제에 포함시킬 경우에는 비공식 경제의

2분의 1이 서비스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그림 Ⅳ-2>).

이런 사정은

인도뿐만 아니라 대다수 저소득 개도국에서 비슷할 것으로 추측된다.

한 가지 더 눈여겨보아야 할 것은 비공식 경제가 서비스 부문 중에 서도 일부 업종에 집중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우선 국방 및 공공행정 은 당연히 비공식 경제와 관계가 없으며, 교육, 보건 등 공공성이 강한 부문에서도 비공식 경제 비중은 낮다. 반면 도소매업과 음식숙박업, 운 수업, 개인 서비스 같은 전통적 민간 서비스에서는 비공식 경제 비중이 높다.

비공식 경제활동이 전통적 민간 서비스 부문에 집중되는 이유는 별 로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다. 광업, 제조업 같은 산업 부문이나 금융 같은 현대적 서비스는 비교적 많은 자본과 큰 조직, 그리고 어느 정도 이상의 기술이 있어야 경제활동이 가능하므로 공식적으로 등록된 법 인기업들이 주된 경제주체가 될 가능성이 높다. 공공행정, 교육, 보건 등의 부문은 국가기관 또는 공공기관이 담당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역 시 비공식 경제가 설 자리가 크지 않다. 반면 도소매업과 음식숙박업, 운수업, 개인 서비스 등의 전통적 민간 서비스는 적은 자본과 작은 조 직으로도 경제활동이 가능하므로 비공식 생산자들이 활동할 수 있는 여지가 크다.

그림 Ⅳ-1 인도의 부문별 비공식 경제 비중

자료: Neelkanth Mishra and Ravi Shankar, “India’s Better Half: The Informal Economy,” Equity Research, No. 9 (July 2013), p. 6.

국제비교를 통해 본 북한 비공식 경제 (Ⅰ): 기본적 성장요인 73 그림 Ⅳ-2 인도 비공식 경제의 부문별 구성

자료: Neelkanth Mishra and Ravi Shankar, “India’s Better Half: The Informal Economy,” p. 10.

비공식 경제활동이 집중되어 있는 전통적 민간 서비스는 전체 경제 에서 얼마나 큰 비중을 차지할까? 일반적으로 소득수준이 상승할수록 서비스 부문의 비중은 커진다. 즉 저소득 국가에서는 서비스 부문의 비중이 낮은 편이다. 하지만 저소득 국가의 서비스 부문 비중도 고소 득 국가에 비해 낮을 뿐, 절대적 수준은 상당히 높아서 공식 통계상으 로도 전체 경제의 약

50%에 이른다(<표 Ⅳ-1>).

또한 저소득 국가 비공식 경제 중 일부가 공식 통계에 반영되어 있지 않으며 비공식 경 제가 서비스 부문에 집중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실제 서비스 부문 비

중은

50%보다 높을 것으로 추측된다.

표 Ⅳ-1 국가 그룹별 GDP 대비 서비스업 비중 평균(2010년)

(단위: %)

국가 그룹 서비스업 비중 국가 그룹 서비스업 비중

고소득 국가(OECD) 75 중하위 소득 국가 52

고소득 국가(비OECD) 63 저소득 국가 49

중상위 소득 국가 54 세계 평균 70

자료: World Bank,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2014).

서비스 부문 내부 구조도 소득수준에 따라 상당히 달라진다. 선진국 에서는 금융이나 부동산‧사업서비스업 같은 현대적 서비스와 교육

,

보건 등 공공성이 강한 서비스의 비중이 높은 데 반해, 저소득 국가에서는 도소매업, 음식숙박업, 운수업 등 전통적 서비스의 비중이 높다. 예를 들어 한국이 아직 저소득 개도국이었던 1960년대 중반과 최근의 서비 스 부문 내부 구조를 비교해 보면, 1960년대 중반에 전통적 서비스의 상대적 비중이 월등히 높았음을 알 수 있다(<표

Ⅳ-2>).

전통적 서비스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도소매 및 음식숙박 업의 경제적 비중 추이를 살펴보는 것도 흥미롭다. 한국의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의 경제적 비중은 개발 초기에는 상승하다가 나중에는 장 기간 하락세를 보였다(<그림 Ⅳ-3>). 개발 초기의 상승은 농림어업의 비중 하락에 따른 상대적 상승의 성격이 강하며, 나중의 장기적 하락은 공공 서비스와 현대적 서비스의 상승에 따른 상대적 쇠퇴 현상이다.

즉 한국의 경험은 서비스 부문에서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 같은 전통적 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개도국에서는 상당히 높다는 사실을 보여준 다. 이런 특징은 대다수 저소득 개도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요컨대 저소득 개도국에서 비공식 경제 비중이 높게 나타나 는 것은 비공식 경제활동이 일어나기 쉬운 전통적 서비스의 경제적 비 중이 높다는 사실을 기본적 배경으로 하고 있다.

국제비교를 통해 본 북한 비공식 경제 (Ⅰ): 기본적 성장요인 75 표 Ⅳ-2 한국의 산업별 생산구조

(단위: %)

산업 분류 부가가치 비중

1965 2010

농림어업 40.2 2.3

광업 2.1 0.2

제조업 17.3 31.1

전기, 가스 및 수도업 1.1 2.3

건설업 3.6 5.0

서비스업 35.6 59.1

정부 서비스 공공행정 및 국방 5.2 7.2

정부+민간 서비스 교육 서비스업 2.1 5.4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1.5 4.1

민간 서비스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 15.1 11.5

운수창고통신업 4.0 7.5

금융 및 보험업 1.0 5.5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업 4.2 15.2

기타 서비스업 2.3 2.7

합계 100.0 100.0

자료: ① 1965년은 낙성대경제연구소 Historical Statistics of Korea 데이터로부터 재 인용, <http://www.naksung.re.kr> (검색일: 2014.6.8).

② 2010년은 한국은행 경제통계 시스템(서비스업 내부 세부 분류 중에서 일부를 합하여 분류를 단순화함).

그림 Ⅳ-3 한국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의 경제적 비중 추이

(단위: %)

자료: 낙성대경제연구소 Historical Statistics of Korea 데이터 파일로부터 재인용,

<http://www.naksung.re.kr> (검색일: 2014.6.8).

(2) 개발도상국의 서비스 주도 성장 사례

제Ⅱ장에서 살펴본 것처럼 지난 20~30년 동안 저소득 개도국(인도 등 남아시아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성장 실적은 그 이전 시기에 비해 두드러지게 향상되었는데, 그 주된 배경으로 흔히 서비스 주도 경 제성장이 거론된다.62

62_저소득 개도국의 서비스 주도 성장에 관한 본문의 논의는 다음 문헌들을 참고한 것 이다. 인도 등 남아시아에 대해서는 Ejaz Ghani, “Is Service-led Growth a Miracle for South Asia?,” Ejaz Ghani (ed.), The Service Revolution in South Asia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Ejaz Ghani and Homi Kharas,

“The Service Revolution in South Asia: An Overview,” Ejaz Ghani (ed.), The Service Revolution in South Asia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조. 아프리카에 대해서는 Margaret S. McMillan and Kenneth Harttgen, “What is Driving the ‘African Growth Miracle’?,” NBER Working Paper, No. 20077

국제비교를 통해 본 북한 비공식 경제 (Ⅰ): 기본적 성장요인 77 개도국의 서비스 주도 성장은 미리 예측하기 어려웠던 새로운 현상 이라고 할 수 있다. 과거의 지배적인 통념은 제조업이야말로 경제성장을 주도할 수 있는 부문이며, 따라서 산업화, 즉 제조업의 비중 제고가 주된 성장전략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오늘의 선진국들도

18~19세기

에 산업혁명을 통해 제조업이 획기적으로 발전함으로써 현대적 경제 성장 궤도에 진입할 수 있었으며, 20세기 개도국의 주된 성장 사례인 동아시아에서도 역시 제조업 주도 성장이 이루어진 바 있다.

서비스업이 아니라 제조업이 경제성장의 주도 부문이 될 수 있다는 통념에는 타당한 근거가 있다. 첫째, 제조업은 서비스업보다 훨씬 더 자본‧기술집약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으므로 자본 투자와 기술 향상에 따라 훨씬 더 빠르게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반면 서비스업은 기본적으로 노동집약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어 생산성 향 상 여지가 훨씬 작다. 둘째, 현대적 경제성장에서는 대외무역이 대단히 큰 역할을 하는데, 제조업은 대체로 교역 가능한 상품, 즉 교역재

(tradables)를 생산하는 데 비해 서비스업은 대체로 교역 불가능한 서

비스, 즉 비교역재(non-tradables)를 생산하므로 서비스업보다는 제 조업의 성장 잠재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지난 20~30년 동안 인도 등 남아시아 지역과 사 하라 이남 아프리카(이하 아프리카로 약칭) 지역의 저소득 개도국에서 는 제조업보다 서비스업이 더 빨리 성장하여 경제성장을 주도하는 새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2014) 참조. 동아시아에 대해서는 Marcus Noland, Donghyun Park, and Gemma B. Estrada, “Developing the Service Sector as Engine of Growth for Asia: An Overview,” ADB Economics Working Paper, No. 320 (Asian Development Bank, 2012); Donghyun Park and Kwanho Shin, “The Service Sector in Asia: Is It an Engine of Growth,”

ADB Economics Working Paper, No. 322 (Asian Development Bank, 2012) 참조.

로운 현상이 나타났다. 아래 <그림 Ⅳ-4>에서 볼 수 있듯이, 인도와 아프리카의 GDP에서 서비스업의 비중은 지난 30여 년 사이에 40%대 에서 55% 이상으로 빠르게 상승하였다.63 또한 <그림 Ⅳ-5>에서 볼 수 있듯이, 인도와 아프리카 모두 제조업보다 서비스업의 성장속도가 한층 더 빨랐다. 서비스업의 비중이 제조업보다 높고 서비스업의 성장 속도가 더 빨랐으므로 인도와 아프리카의 경제성장은 확실히 서비스 부문이 주도했다고 볼 수 있다.

그림 Ⅳ-4 인도와 아프리카의

GDP

중 서비스업 비중 추이

(단위: %)

자료: World Bank,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2014).

63_저소득 개도국의 비공식 서비스업이 GDP 통계에 잡히지 않는 경우가 많음을 고려 할 때, 실제 서비스업 비중은 이보다 더 높을 것으로 추측된다.